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1/07 12:14:46
Name 독서상품권
Link #1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01137?sid=104
Subject [일반] 오늘 미국에서 최초로 조류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수정됨)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01137?sid=104

제 생각에 저 기사에서 말하는 독감은 아래 자게에서 언급한 그 독감과 똑같은 독감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름이 아니라 조류독감이라고 하네요

최근에 중국에서 시작돼서 한국에서도 그 발병자 수가 체감상 엄청나게 느는것같던데

상당히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최근에 발생한 조류독감인지라 치사율도 코로나 초기때처럼 높을거 같아서 더 염려가 되기도 하고요

저도 그렇고 가족들도 그렇고 당분간은 상당히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미국 증시도 상당히 고점이라고 생각되는데 이 조류독감이 예전 코로나때처럼

전세계 증시 단기 대폭락을 불러올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거 같군요

물론 저는 그런일 없이 예전에 메르스 사태처럼 찻잔속의 태풍으로 짧게 끝나기를 기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ruithne
25/01/07 12:21
수정 아이콘
지금 유행하는 인플루엔자와 AI는 별개 아니었나요?
독서상품권
25/01/07 12:3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가 방금 글을 수정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둘이 연관성이 있는것 같아서 그렇게 쓴것입니다
덴드로븀
25/01/07 12:43
수정 아이콘
링크건 뉴스 제목처럼 글 제목도 조류독감으로 하는게 어떨까 싶네요.
독서상품권
25/01/07 12:50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방금 수정했습니다
25/01/07 12:34
수정 아이콘
?
덴드로븀
25/01/07 12:43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30351?sid=103
[美 최초 H5N1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위험성 의견 분분] 2025.01.07.
루이지애나주 당국은 사망자가 조류를 통해 H5N1에 감염됐으며 사람 간 감염이 일어난다는 근거는 아직 없다고 밝혔다.
사망자 발생 후 추가 감염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년간 H5N1에 감염돼 사망한 사례 = 약 500건 / 대부분 동남아시아
미국 기준 올해 66명 H5N1 감염 / 사망자 발생은 이번이 처음
맥도널드
25/01/07 12:48
수정 아이콘
최근 유행하는 독감과 조류 독감은 같나? 다르다
두 독감은 A형 독감이냐? 그렇다

그래서 헷갈리시는 듯
25/01/07 12:58
수정 아이콘
계절성 인플루엔자랑 뭐가 똑같다는 건지
기적의양
25/01/07 1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2024/2025 시즌 백신 조성입니다: A/Victoria/4897/2022 (H1N1)pdm09-like virus; A/Thailand/8/2022 (H3N2)-like virus; B/Austria/1359417/2021 (B/Victoria lineage)-like virus

H5N1은 아닙니다.
찾아보니까 H5N1 백신은 별도로 존재하네열. 가축용 백신은 전부터 있었고 사람용 백신은 시험중이라는 듯.
축산을 안해서 모르는데 보통 닭, 오리들에게 백신을 맞히나열 @_@?
숨고르기
25/01/07 13:30
수정 아이콘
지금 국내 유행중인 독감은 인플루엔자A/ H1N1 형으로 원래 돼지독감 바이러스였고 2009년에 떠들썩했던 신종플루 사태때 처음으로 확산이 시작된 바이러스입니다. 사람에게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못한 새로운 형태의 항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초기에 폭발적인 유행을 하면서 높은 치사율을 기록하지만 나중에는 계절인플루엔자로 반복되면서 독성이 순화되는 코스를 거칩니다. H5N1으로 대표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신종독감"이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어서 사람에게 감염사례가 산발적으로 확인될 때마다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지요.
웜뱃어택
25/01/07 13:33
수정 아이콘
그니까 미 중 한 에서 유행중인 독감이 전부 중국발 조류독감이라는거군요. 완벽히 이해했어!
겨울삼각형
25/01/07 13:33
수정 아이콘
아님말고
Betelgeuse
25/01/07 14:51
수정 아이콘
AI의 시대가 온다…
승승장구
25/01/07 16:52
수정 아이콘
여왕의 심복님이 복귀하시는 일은 절대 없길...
LuckyVicky
25/01/07 17:50
수정 아이콘
제목만 고치는게 아니라 내용도 고치셔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743 [일반] 나는 백종원이 좋다. [87] 불타는성전10930 25/02/11 10930 21
103742 [일반] 이민자가 살 수 있는 국제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48] 깃털달린뱀7022 25/02/11 7022 6
103741 [일반] Financial Times에 실린 부산 인구 문제 기사 [86] 휵스7626 25/02/11 7626 3
103740 [일반] 대전 초등학교에서 7세 여아가 흉기로 살해된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150] 매번같은19809 25/02/10 19809 2
103739 [일반] 사카모토 유지가 집필한 일본 드라마 ‘콰르텟’의 대사들 [11] 투투피치7516 25/02/10 7516 4
103738 [일반] 영국의 인도 통치, 정치적 영향력은 곧 경제적 이익 [4] 깃털달린뱀6389 25/02/10 6389 10
103737 [일반] (삼국지) 남중 정벌 : 북벌의 전초전 (2) -끝- [15] 글곰5361 25/02/10 5361 13
103736 [일반] 딥시크가 그냥 나온 게 아니네요. 중국 과학기술 연구력이 대단하네요. [192] 전기쥐17490 25/02/10 17490 7
103733 [일반] 딥 시크 이거... 야잘알이네요. [24] 닉언급금지9803 25/02/10 9803 1
103729 [일반] 시리즈 웹소설 추천 - <배움의 어머니> 서양식 타임루프 아카데미물. [26] Restar5277 25/02/10 5277 8
103728 [일반] [서평]《명령에 따랐을 뿐!?》 - 부도덕한 명령에 저항하는 길을 찾고자 한 어느 신경과학자의 분투 [14] 계층방정5646 25/02/10 5646 6
103727 [정치] 민주주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된 방송. [19] 굿샷12432 25/02/10 12432 0
103726 [일반] <9월 5일: 위험한 특종> - 미디어의 맨얼굴을 보다.(노스포) [11] aDayInTheLife5825 25/02/10 5825 5
103725 [일반] 생성형 AI 뭘 써야 할까? 유료결제가 필요할까? - 모델 별 평가와 가이드 [120] Quantumwk15326 25/02/09 15326 20
103724 [일반] [일상수필] 성공(LSD)과 실패(딸기케이크) 그리고 어머니의 꽃게탕은 맛있고 [5] 판을흔들어라4352 25/02/09 4352 0
103723 [일반] 과연 결혼과 출산율은 올라갈수 있을것인가?? [113] 한사영우10618 25/02/09 10618 7
103722 [일반] 유료화 임박 웹툰 추천-<이발소 밑 게임가게> 부제: 명불허전 하일권 [9] lasd2416399 25/02/09 6399 4
103721 [일반] 마우스 포테이토에서 MY FAMICOM EXHIBITION 을 관람하고 왔습니다. [2] 及時雨3728 25/02/09 3728 2
103719 [일반] 웹소설은 왜 이렇게 되었을까? [106] 김김김10232 25/02/09 10232 18
103718 [일반] 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67] meson8982 25/02/09 8982 9
103717 [일반] 티베트 지하 어딘가에 있다는 전설의 지하왕국, 샴발라 [18] 식별8644 25/02/09 8644 10
103716 [일반]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4 최고의 앨범 Best 15 [10] 김치찌개6241 25/02/09 6241 14
103715 [일반] 샘 알트만 도쿄대 질의응답 번역 [17] Q-tip10926 25/02/08 10926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