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1/18 22:14:08
Name dhkzkfkskdl
Subject [일반] MZ세대의 정의를 뒤늦게 알게 되었네요.
안녕하세요.
'후회 가득한 밤'이라는 곡과 '나는 하고픈 대로 해'곡으로 찾아왔습니다.
곡을 작곡하면서 주변에 감기 걸려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습니다.
저도  감기 기운이 있었지만 다행히 그냥 지나갔습니다.
급격하게 찾아온 추위에 여러분도 감기조심하세요.^^



센치한 밤, 밀려들어오는 후회를 막을 수 없는 서정적인 가사와 시온의 음색이 잘 어울리는 곡입니다.
(유튜브, 멜론은 물론 애플, 지니, 벅스 등의 다른 플렛폼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가사는 밑에 적어 놓겠습니다.

아! 그리고 MZ의 정의를 뒤늦게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정의에 따르면 80년도 초반인 저도 MZ세대더군요.
그래서 MZ세대의 느낌이 물씬 나는 KPOP 아이돌 스타일도 함께 작곡해봤습니다.
이 곡은 영상에 자막으로 가사가 나옵니다.



아무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이 너무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후회 가득한 밤' 가사 ----------->  

오랜 시간 지나 이제야
그날 너와 마주쳐도
가슴 깊이 묻어둔 기억
다시 떠올라 눈물이 나

밤하늘의 별빛처럼 사라져버린 꿈
우리의 사랑도 그렇게 끝이 났어
눈물로 채운 날들 이제는 추억 속에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때의 우리

다른 길로 걸어왔지만
너의 웃음에 멈춰버려
헤어진 후의 시간들
돌아가고 싶어져

후회 가득한 밤
그날의 기억이 고개를 들어
눈물이 흘러 내려와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널 놓치지 않았을 거야

행복했던 그 순간들아
잊지 못할 그날들아
너를 만난 그때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

밤하늘에 쏘아 올렸던
우리의 추억 찾고 싶어
시간은 무심히 가지만
널 놓친 것에 가슴이 아려와

후회 가득한 밤
그날의 기억이 고개를 들어
눈물이 흘러 내려와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널 놓치지 않았을 거야

기억 속에 남아있는 너의 미소 그리워
너와 함께 했던 날들 모두 다 잊을 수 없어
하지만 이젠 알아 우리가 갈 길은 달라
서로를 위해서 이제는 놓아줄게

눈부신 햇살 아래 사라져가는 그림자
우리의 사랑도 그렇게 멀어져 갔어
헤어짐의 아픔 가슴 속에 남아
이제는 서로 다른 길을 걸어야 해

시간이 흘러도 지울 수 없는 너의 기억
내 마음 깊은 곳에 남아있는 상처
하지만 이젠 알아 우리가 갈 길은 달라
서로를 위해서 이제는 놓아줄게

후회 가득한 밤
그날의 기억이 고개를 들어
눈물이 흘러 내려와 (흘러 내려와)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면
널 놓치지 않았을 거야

기억 속에 남아있는 너의 미소 그리워
내 마음 깊은 곳에 남아있는 상처
하지만 이젠 알아 우리가 갈 길은 달라
서로를 위해서 이제는 놓아줄게

기억 속에 남아있는 너의 미소 그리워
눈물로 채운 날들, 추억 속 한 곳에
이제는 안녕 서로의 길을 가고 있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1/19 03:04
수정 아이콘
MZ 세대라는 용어는 전세계에서 한국만 쓰는 용어고, 너무 넓은 세대를 아우르는 용어라 사실 효용성이 없지요.
이걸 한국 사회가 MZ 위 세대가 주도권을 잡은 사회이고 그 세대가 그냥 자신과 다른 세대를 칭하는게 편해서 쓰는거라는 해석도 있더군요.
망고베리
24/11/19 06:33
수정 아이콘
두 세대를 통으로 묶어도 상관없을만큼 한국이 초저출산이라는 걸 의미하지요
허락해주세요
24/11/19 07:45
수정 아이콘
MZ세대는 1980년부터 2004년생까지라 초저출산과 별 상관 없습니다
Phlying Dolphin
24/11/19 10:05
수정 아이콘
MZ세대도 초저출산은 아니지만 저출산 시작구간이기는 합니다. 60/70년대생에게 머리수로 밀리죠. 그것이 MZ세대를 싸잡는 한 원인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허락해주세요
24/11/19 11:07
수정 아이콘
그것도 아닙니다. MZ세대는 모두 합치면 약 1,650만명이고 6~70년대생은 모두 합치면 약 1,670만명입니다. 그렇게 차이나지도 않아요.
MZ세대가 싸잡히는 데 "소수"라는 건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대한민국 인구 1/3이 MZ세대인데요.
평온한 냐옹이
24/11/19 08:39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M세대와 Z세대를 소비 타겟으로 함께 묶는 경우가 많더군요. 아마도 두 세대 모두 맘에 들면 비싸도 과감히 소비하는 패턴이 비슷해서 그런 것 같아요.

하지만 외국에서는 이 두 세대가 물과 기름처럼 서로 반목하는 경우가 많아서, 한국에서의 이런 현상이 신기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나이가 많다는 점이 핸디캡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아서, 80년대생 M세대는 오히려 이런 타겟팅에 만족감을 느낄 수 있지만, 불만을 표하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한 것 같네요.

그래서 그런지 한국식 접근이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4/11/19 17:58
수정 아이콘
저는 그것보단 라이프스타일이 동일한 계층이 예전보다 넓어져서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
예전에는 20대 대학생+취업 30대 결혼+출산 40대 육아 이렇게 딱딱 구분되었는데
이젠 20~40대까지도 결혼 거의 안 하고 각자의 취미생활을 영위하며 삶의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아서 묶는다고 봅니다.
몬테레이
24/11/19 09:58
수정 아이콘
글로벌하게는

Baby Boomer: 1945~1964
Generation X 1965~1981
Generation Y(Millennial) 1981~1994
Generation Z 1995~2010 이렇게 나눕니다.

한국에서만 Y(밀레니얼)세대와 Z세대를 합쳐서, MZ세대로 묶는데, 무려 30년간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한국식 MZ세대 표현은 적절하지 않은 분류로 보이고, 분리를 해서 분석을 하는 게 의미가 있을 걸로 봅니다.
바꺼수
24/11/19 10:52
수정 아이콘
MZ 세대를 김난도님이 만들었다는데, 그래서 그런지 별로 정이 가지 않는 표현입니다.
24/11/19 12:11
수정 아이콘
누구였지 싶어서 검색해보니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저자였군요. 
심지어 언택트라는 희한한 말은 만든 사람도 김난도였군요!
저는 항상 MZ, 언택트같이 근본도 족보도 없는 단어들을 누가 생각해내는건가 싶었는데 이제야 알았습니다.
그야말로 유행어를 위한 유행어를 만드는 사람이 정해져있었다니 참...
율리우스 카이사르
24/11/19 16:55
수정 아이콘
한국한정 트렌드를 주도하는 나름 대단하신 분이죠. 매년 하는 이런저런 집필과 행사에 갈려나가는 서울대 대학원생분들께 애도를..
24/11/19 19:50
수정 아이콘
그런데 트렌드를 주도할만해서 한다는 생각이 잘 안드네요. 뭔가 주객이 전도된 느낌이... 
대학원생들은 진심으로 애도합니다.
페퍼민트
24/11/19 18:57
수정 아이콘
이미 또 시즌을 맞이해서
아보하, 옴니보어, 무해력 등을 밀고 계십니다
24/11/19 19:51
수정 아이콘
사람들은 여러가지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사회의 일원으로 기여를 하는 건데, 도대체 이건 뭔가 싶어집니다.
왕립해군
24/11/19 12:2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자기편한대로 세대 묶는건 공통적인 현상이니까 그러려니합니다. 인터넷에서 소위 586(정확한 기준이 있음에도)도 묶어서 40~60대 욕하고 mz도 마찬가지고.. 그냥 도매급으로 묶어서 욕하기 쉬우니까 하는거죠.
몬테레이
24/11/20 09:51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유신세대, 86세대, X세대, 밀레니움세대 등등 2000년초까지 지칭하는 세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Z세대란 말이 잠시 나오더니, MZ세대로 이 말이 치환되었읍니다. 새로 나온 세대는 새로운 이름으로 부르는 게 맞습니다. 왜 그전 세대까지 뭉뚱그려 같은 범주로 묶습니까?
M세대와 Z세대는 분명 큰 차이가 있는데, 이런 식으로 개념을 모호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지금의 MZ세대 분류라면 아버지와 아들이 같은 세대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게 맞습니까? 아주 게으른 연구자의 연구와 이를 아무 생각없이 가져다 쓴 언론의 책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09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7. 달 감(甘)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4025 24/12/10 4025 2
103096 [일반] 2024년 S&P500 회사 중 최악의 패자 TOP 10 [16] 비타에듀8355 24/12/10 8355 0
103080 [일반] 도쿄 아사쿠사, 오오토리 신사의 토리노이치 축제 [3] 及時雨4048 24/12/10 4048 1
103074 [일반] [서평]《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의식과 무의식 모두 나다 [10] 계층방정4659 24/12/10 4659 5
103065 [일반] 나라가 흉흉한 와중에 올려보는 중국 주하이 에어쇼 방문기 -1- (스압/데이터) [18] 한국화약주식회사4043 24/12/09 4043 13
103063 [일반] 저희집 반려묘가 오늘 무지개다리를 건넜습니다 [25] 독서상품권6085 24/12/09 6085 28
103018 [일반] 시리아 내전이 13년 만에 반군의 승리로 끝났네요 [21] 군디츠마라8595 24/12/08 8595 15
103009 [일반] [팝송] 얼모스트 먼데이 새 앨범 "DIVE" [2] 김치찌개3417 24/12/08 3417 0
103004 [일반] 한강 작가의 노벨 재단 강연 전체 영상 및 글 [4] 덴드로븀4846 24/12/08 4846 15
10296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6. 경계할 계(戒)에서 파생된 한자들 [3] 계층방정3813 24/12/07 3813 6
102957 [일반] 펌)고 찰리 멍거가 수시로 주절거렸던 의미심장한 말들과 행동들 [13] 슈터7399 24/12/07 7399 51
102918 [일반] gpt야 놀자03) 천일야화 같은 이야기 해줘 [1] 김아무개3344 24/12/06 3344 1
102898 [일반]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3] 바이든4874 24/12/06 4874 1
102879 [일반] [기차] 강원~부산 고속철 1시간대 연결…원주~부산 12월21일, 강릉~부산 31일 개통 [18] TheZone5068 24/12/05 5068 0
102864 [일반] 경축 비트코인 100k 돌파 [36] 8figures6143 24/12/05 6143 2
102863 [일반] 비트코인이 100,000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8] 덴드로븀4689 24/12/05 4689 0
102851 [일반] gpt야 놀자02) gpt에게 적색편이를 쉽게 설명해달라고 해보자 [6] 김아무개6034 24/12/05 6034 1
102841 [일반] 요즘 근황 [25] 공기청정기12511 24/12/04 12511 13
102812 [일반] 연세대 논술시험 효력정지에 대한 항고 인용되었다고 합니다. [24] 설탕물5996 24/12/03 5996 1
102811 [일반] [코인] 다들 수익률 좋으신가요? [98] TheZone9062 24/12/03 9062 0
102809 [일반]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근 2년간 최고의 일본주식 [12] 독서상품권8556 24/12/03 8556 0
102808 [일반] 아름다움이 모든 것을 결정하던 시대 [11] 식별7455 24/12/03 7455 11
102807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5. 놀랄 녑(㚔)에서 파생된 한자들 [3] 계층방정3630 24/12/03 363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