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1/08 12:39:07
Name 식별
Subject [일반]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젊은이여, 남쪽으로 가라!"



1024px-Yellowrivermap.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Yellow_River_-_panoramio.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전통적으로 '중국'은 황하 유역을 말하는 표현이었다. 그러나 진한 시대와 남북조 시대라는 수백년의 세월을 거쳐 이 경계는 점차 남쪽으로 확장하였고, 



Yangtze_river_map.pn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Dusk_on_the_Yangtze_River.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양자강(장강) 유역이 새로운 중국의 경계로 편입되었다. 




西晉時期北方各族分布圖-ko.pn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삼국지 시대를 거쳐 북방에 오랑캐들이 쳐들어오자 끊임없는 전쟁과 약탈을 피해 수백만의 북중국인들이 남쪽에 흘러들어와 정착하기 시작했다. 



1024px-John_Constable,_The_Wheat_Field.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황하 유역의 북중국 지역은 불규칙한 강우량과 그로 인한 홍수, 황충, 가뭄, 토양 염류화로 인해 끊임없이 고통받곤 했다. 이곳에선 주로 밀농사가 이루어졌다. 



Rice_farmers_Mae_Wang_Chiang_Mai_Province.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이에 반해 남중국은 규칙적인 강우량을 갖고 있었기에 수리관개에 유리했고, 벼농사를 지을 수 있었다. 토양이 비옥했고, 각종 상품작물도 재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강우량으로 인해 늪과 밀림, 그리고 그로 인한 열병이 창궐하는 악독한 환경이었기에, 남중국의 농부들은 한동안 이점을 살릴 수 없었다. 


1671633004329-z7hik4d30h.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Yue_statue.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그러나 늘 그렇듯이 인간의 적극적인 개입은 모든 것을 뒤바꾸어 놓았다.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고 온몸이 문신으로 뒤덮여있던 야만족들은 새로운 백성이 되었고, 늪지대는 개간되어 배수와 관개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남중국 농업 혁명의 주체는 북쪽에서 흘러들어온 옛 호족들이었다. 그들은 남쪽에서 새로운 왕이 되었다. 곧, 이들 대가세족은 황제도 마음대로 건드릴 수 없는 존재가 되었고, 자연스레 지역문화와 문학에서의 새로운 장르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Cao_Cao_scth.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이 시기 서정시의 원류는 북중국 지역의 호족이었던 조조에게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그의 아들인 조식의 칠보시가 오늘날에도 유명하다. 칠보시 자체는 후대의 창작임이 분명하지만, 호족들 사이에서 새로운 문학 양식이 태동했다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시를 짓는다는 것은, 호족들 사이에선 고도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행위의 일종이었다. 오늘날 많은 현대인들의 일상생활 및 소통에서 개인 메신저와 소셜 미디어를 떼어놓고 이야기 할 수 없듯, 이 시기의 시는 귀족들만의 차별화된 언어나 다름없었다. 어떤 귀족이 시를 짓지 못한다면, 그는 벙어리나 다름 없었다. 군권을 지닌 대장군이나 만인지상의 황제도 이 법칙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YuanJiang-Penglai_Island.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Meandering_Stream_at_Lan-ting_Yamamoto_Jakurin_Hanging_scroll_color_on_silk.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예술과 정치 사이의 밀고 당기는 상호고발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강남의 시인들은 자신들이 정치권력과 떨어져 있음을 강조하며 자신들이 하는 예술의 순결함을 강조했다. 그들은 스스로를 깨끗하다 자부했고, 그들이 하는 말은 깨끗한 말, 청담(淸談)이 되었다. 이들의 청담만을 따로 모아놓은 『세설신어』에는 항구를 따라 늘어선 대가문의 저택과 별장의 사교모임 풍경이 생생히 드러나 있어서, 그들이 주위의 세상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어떤 정치인의 심기를 거스른 시인들은 이 화려한 도원경에서 끌려나와 저잣거리 한복판에서 효수되곤 했다. 깨끗한 말의 대가가 더러운 목의 받침대가 되는 시대였기에. 


1024px-7_sages_of_the_bamboo_grove_wittig_collection_painting_16.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죽림칠현

 어떤 이들은 아예 속세를 등지고 은거하기 시작했다. 본래 진한대의 정치인들은 종종 부패를 경계한다는 이유로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나, 남북조 시대에 들어서는 어떠한 예술적, 종교적 열망이 또다른 동기로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아예 자연인이 되어 산 속 혈거인처럼 살아가는 경우도 있었지만, 서울 외곽의 인적 드문 곳에 별장을 짓고 오직 복잡한 세상일로부터만 등을 지기도 했다.


800px-Wang_Xizhi_by_Qian_Xuan.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본래 자연은 야만적인 공간이었고, 개척해야할 대상이었을 뿐이지만, 이 때부터는 아예 주거공간 안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귀족들은 원림(園林)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인공정원을 조성하여 산책하는 것을 예술적 행위로 여겼다. 



800px-Hui_Yuan.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혜원(慧遠)


The_Three_Laughers_of_Tiger_Ravine,_Soga_Shohaku_-_Indianapolis_Museum_of_Art_-_DSC00768.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호계삼소(虎溪三笑): 여산에 은거하던 승려 혜원이 도연명과 육수정을 배웅하다가 세속의 경계인 호랑이 계곡을 넘어버렸다.  

 자연으로 간 것은 귀족 뿐만이 아니었다. 도사와 스님들도 자연 속으로 갔다. 그들은 중동의 여러 은자들이 그러했듯, 자연에서 새로운 레시피를 찾아내는 데에서 적극적이었다. 계보가 오늘날에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각종 한약과 단약이 이 때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다. 


 혜원(慧遠)은 여산(廬山)에 거대한 불교공동체를 설립했고, 화양은거(華陽隱居), 화양진일(華陽眞逸), 산중재상(山中宰相) 등으로 불렸던 도홍경(陶弘景)은 대표적인 이 시기의 은거도사였다. 


Buddhist_Expansion.svg.pn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중국 문명에 틀어박혀 있던 사람들의 세계관은 외부의 자연환경에 부딪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불교도들은 자신들 마음 속의 성스러운 땅 인도를 '중국'이라 불렀고, 시인들은 자신들의 새로운 언어로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려 몸부림쳤다. 중국이라는 개념은 고통스럽게 꿈틀거리며 팽창하고 있었다. 



Chuning_-_eastern_qilin_-_P1060971.JPG 중국의 서부개척시대, 남북조 시대를 알아보자

 그러나 한편으로는, 북중국을 야만인들에게 침탈당한 이래 남조의 귀족들은 늘상 고토탈환이라는 하나의 신성한 꿈을 꾸었다. 새로운 낙원이 고향을 대체해주지는 못한 탓이었다. 이것은 남조에서 상시적 갈등 상황을 불러일으켰는데, 새로운 낙원에 만족하는 재지 엘리트 호족 세력과 조상들의 땅을 탈환하려는 군사 지휘관 세력 간의 다툼이 바로 그것이다.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탕가루인형형
24/11/08 14:25
수정 아이콘
서부개척과 도박 얘기하시다가 (계속) 이라고 써놓고
갑자기 중국이라뇨!
선생님 진도가 너무 빠른것 같습니다 크크
24/11/08 14:51
수정 아이콘
다음편을 어서 내놓으십시오!!!
24/11/08 15:23
수정 아이콘
강남의...청담이라...이게 과연 우연일까요?
마그데부르크
24/11/08 17:04
수정 아이콘
항저우
24/11/08 20:45
수정 아이콘
저 시대 역사가 굉장히 흥미롭긴한데 (계속) 이라니요 ㅠㅠ
지탄다 에루
24/11/08 21:55
수정 아이콘
진짜 너무 잼이있다
서린언니
24/11/08 22:00
수정 아이콘
축융 비욘세!
럭키비키
24/11/09 08:40
수정 아이콘
짤까지 인용하셔서 지루함이 없었습니다
동굴곰
24/11/10 10:36
수정 아이콘
자연으로 떠난 당신, 오석산을 선물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951 [정치] 우리는 비상계엄을 지금과 같이 평가할까 [5] lightstone4942 24/12/07 4942 0
102950 [정치]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번 탄핵안의 통과를 너무나도 바라는 이유 [36] 키토7765 24/12/07 7765 0
102948 [정치] 겁쟁이인게 한심스러운 밤 [15] 삭제됨8812 24/12/07 8812 0
102947 [정치] 계엄령 사태까지 오게 된 것은 검찰에 책임이 큽니다. [15] Vacuum8755 24/12/07 8755 0
102946 [정치] 국힘 의총 종료, 탄핵 반대 당론 변화 없어 [108] 하이퍼나이프14592 24/12/07 14592 0
102945 [정치] 제1일 공수여단장 인터뷰 [29] 굿샷10719 24/12/06 10719 0
102943 [정치] gpt야 놀자04) 계엄령에 대해 배워보자 [2] 김아무개4785 24/12/06 4785 0
102942 [정치] [단독] “친한계 대다수, 한동훈 앞에서 ‘탄핵 반대’” [129] 같이걸을까14011 24/12/06 14011 0
102941 [정치] 불법계엄령 당시 국회 담을 넘은 중증시각장애인 서미화 의원 [32] 린버크10366 24/12/06 10366 0
102940 [정치] [음성] 계엄령 때 군에 있는 아들과 통화한 아버지 [18] 김홍기9575 24/12/06 9575 0
102939 [정치] 어제 라이브방송으로 욕먹은 슈카 [300] 슈터16699 24/12/06 16699 0
102937 [정치] 국힘 시도지사들 "尹탄핵 피해야…거국내각 구성 후 2선 물러나라 [141] 이쥴레이16002 24/12/06 16002 0
102936 [정치] 국민의힘 - 소돔과 고모라가 될 것인가 [66] 강동원12138 24/12/06 12138 0
102935 [정치] 계엄군 지휘관 3명 직무정지…방첩·특전·수방사령관 [35] Davi4ever13056 24/12/06 13056 0
102934 [정치] 계엄 소감 [14] 공기청정기11882 24/12/06 11882 0
102933 [정치] [속보]윤 대통령, 국회로 이동 중인 듯...국회 차량·인원통제 중 [198] 항정살31417 24/12/06 31417 0
102932 [정치] ‘윤석열·한동훈 독대’…“계엄 사태 수습책 결론 못내려” [28] 삭제됨11176 24/12/06 11176 0
102931 [정치] 여인형 방첩사령관-대통령 통화내역 [22] 항정살12662 24/12/06 12662 0
102929 [정치] 오늘부터 윤석렬 탄핵 촉구 시위에 나갑니다 [28] 삭제됨7612 24/12/06 7612 0
102928 [정치] [속보] 홍장원 "尹, 계엄선포 후 '이번 기회에 잡아들여 싹 정리' 지시" [122] 물러나라Y14365 24/12/06 14365 0
102927 [정치] [긴급 생중계]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이진우 수방사령관 면담 현장 [43] 항정살8390 24/12/06 8390 0
102926 [정치] 윤가, 한동훈과 독대 후 국민의힘 의원총회 참여 가능성 있다.gisa [52] 수지앤수아11512 24/12/06 11512 0
102924 [정치] 용산 윤가, '병력 더 투입해라…계엄 또 하면 돼'.gisa [67] 수지앤수아15478 24/12/06 154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