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1/01 07:50:57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96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6. 국문할 국(鞫)에서 파생된 한자들

지렁이 인(蚓)의 초기 형태에서 고를 균(勻)이, 고를 균(勻)에서 큰소리 굉(訇)이 파생되었다. 이 큰소리 굉(訇)에서 파생된 한자들이 있으나 대부분 상용 한자가 아니므로 다루지 않았다.

큰소리 굉(訇)이 들어가 있는 한자로 일상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한자로는 국문할 국(鞫)이 있는데, 어문회 한자 시험에서는 이 한자를 성/국문할 국(鞠)과 동자 관계로 놓고 鞫은 준특급, 鞠은 2급 한자로 지정해 鞠보다는 鞫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인명용 한자에서는 이 둘을 별개로 수록했다.

비록 현대에는 鞫을 쓸 자리에도 鞠을 쓰고 있지만, 두 한자는 원래 별개의 한자다. 《설문해자》에서는 鞫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6721313d2087f.png?imgSeq=37642

鞫의 소전과 해서화(⿱竹⿰幸⿹勹言). 출처: 小學堂


즉, 鞫은 원래 수갑을 나타내는 다행 행(幸)과 사람 인(人), 그리고 말을 뜻하는 말씀 언(言)이 뜻을 나타내 죄인을 무릎 꿇리고 말로써 신문하는 것을 나타내는 한자며, 큰소리 굉(訇)과는 무관하다. 《설문해자》에서는 때로는 言이 생략되기도 한다고 한다. 그런데 위의 대 죽(竹)은 왜 들어가 있는 걸까? 허신은 이 竹이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해설했는데 이에 따르면 鞫은 竹에서 파생된 한자인 것이다.

6720e0767af34.png?imgSeq=37611

마왕퇴한묘에서 출토된 성/국문할 국(鞠). 출처:  자오핑안(趙平安),〈“국문할 국”과 상관 있는 여러 글자들의 풀이〉(釋“鞫”及相關諸字).


그러나 전한에서 출토된 성/국문할 국(鞠)을 보면 幸 위에 올라가 있는 글자가 竹이 아니라 스물 입(廿)같이 보이기도 하고 입 구(口) 같이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는 갑골문에서 출토된 다음 문자와 바로 연결된다.

6720e6fd03994.png?imgSeq=37612

鞫의 갑골문. 출처: 小學堂


본래 이 문자는 잡을 집(執)의 갑골문으로 여겨졌다.

6720e75b867ee.png?imgSeq=37613

執의 갑골문과 해서. 출처: 小學堂


그러나 잘 살펴보면 執에는 없는 口가 幸 위에 겹쳐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형태가 따로 갑골문이나 금문에 나오기도 한다.

67213000dd11f.png?imgSeq=37641

鞫의 왼쪽 부분이 독립적인 문자로 쓰인 갑골문. 출처: 小學堂


執에 있는 다행 행(幸)은 수갑이나 칼 등 형틀의 일종으로 보는데, 幸 위에 口가 겹쳐지면서 목에 칼을 걸친 모습이 되었다. 따라서 이 문자가 鞫의 갑골문이 되고, 목에 칼을 걸친 사람을 나타낸 것이다. 후에 뜻을 강화하기 위해 말씀 언(言)이 추가되고, 위의 口는 廿이나 竹 등으로 변형되다가(《설문해자》에 수록된 게 이 형태) 마침내 아래의 幸과 융합하면서 가죽 혁(革)으로 와전된 것이 현재의 鞫이다.

이 한자는 음과 뜻이 비슷한 수갑 곡(梏)·외양간 곡(牿)과도 연결된다. 실제로 梏·牿과 鞫이 상통하는 관계로 쓰인 용례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갑골문을 執이 아닌 鞫으로 따로 해석한 것이기도 하다.

《설문해자》에서는 鞫에서 言이 빠진 형태를 '생략형'으로 보았지만, 이상의 분석에 따르면 오히려 이게 원형이고 鞫은 나중에 만들어진 한자다. 이 한자는 유니코드에도 수록되어 있지만, 기본 평면 밖이라 그대로 쓰면 깨지기 쉬운 한자이므로 파자해서 ⿱竹⿰幸人으로 쓰겠다. ⿱竹⿰幸人은 《설문해자》에서 두 글자의 성부로 쓰이고 있는데, 바로 다할 국(⿱宀⿱竹⿰幸人)과 뻐꾸기 국(⿰鳥⿱竹⿰幸人)이다. 설문해자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67213898d91bb.png?imgSeq=37644 다하다{窮}를 뜻한다. 집 면(宀)의 뜻을 따르고 ⿱竹⿰幸人는 소리를 나타낸다.

672139d732ef3.png?imgSeq=37645은 ⿱宀⿱竹⿰幸人에서 혹 구멍 혈(穴)의 뜻을 따른 것이다.

67213aac2c325.png?imgSeq=37647갈국(秸⿰⿱竹⿰幸人鳥)이라는 새인데, 곧 뻐꾸기{尸鳩}를 뜻한다. 새 조(鳥)의 뜻을 따르고 ⿱竹⿰幸人는 소리를 나타낸다.

그 외에도 ⿱竹⿰幸人가 아니라 ⿱竹⿰幸⿹勹言의 생략형에서 파생되었다고 서술한 한자도 있다.

6721423ba8dc9.png?imgSeq=37648누룩{酒母}이다. 쌀 미(米)의 뜻을 따르고 ⿱竹⿰幸⿹勹言의 생략형이 소리를 나타낸다.

672166804fa26.png?imgSeq=37651혹 보리 맥(麥)의 뜻을 따르고 鞠의 생략형이 소리를 나타내 이렇게 쓰기도 한다.

672160510ca08.png?imgSeq=37649일정(日精 - 국화의 별명)으로, 가을에 꽃이 핀다. 풀 초(艸)의 뜻을 따르고 ⿱竹⿰幸⿹勹米의 생략형이 소리를 나타낸다.

67216136ce55d.png?imgSeq=37650혹 생략해 이렇게(⿱艸⿰幸人) 쓰기도 한다.

竹과 艸는 비슷하게 생겨서, 둘 다 원래 鞫의 형태에서 幸 위에 있던 口가 廿을 거쳐 변형된 형태로 보이는데 《설문해자》에서 ⿱竹⿰幸人는 국문하다로, ⿱艸⿰幸人는 국화로 달리 풀이한 것을 보면 어느 시점에서 鞫이 국화의 뜻으로 가차되어 쓰였다가 ⿱艸⿰幸⿹勹米의 형태로 독립해 나간 것 같다.


한편 鞠은 《설문해자》에서는 “답국(축국)을 뜻한다. 가죽 혁(革)이 뜻을 나타내고 움큼 국(匊)이 소리를 나타낸다. ⿱竹⿰幸⿹勹革은 鞠에서 혹 ⿱竹⿰幸人의 뜻을 따른 것이다.”라고 풀이해 革과 匊이 합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위의 마왕퇴한묘에서 발굴된 형태를 보면 《설문해자》에서 서술한 혹체가 원래의 글자인 것 같다. 지금 이 글자는 성, 국문하다, 다하다, 기르다 등 《설문해자》에 나와 있는 축국 외에도 다양한 뜻으로 쓰이는데, 이 중 '다하다'는 지금은 쓰이지 않는 ⿱宀⿱竹⿰幸人를 흡수한 것 같다.


한편 누룩 국(麴)은 지금은 보리 맥(麥)이 뜻을 나타내고 움큼 국(匊)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쓰지만, 원래는 鞠이 《설문해자》에 나오는 누룩 국(⿱竹⿰幸⿹勹米)과 같은 한자였을 것이다. 鞠에 있는 쌀 미(米)를 옛날에는 麥으로 바꿔 쓰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것도 鞠이 匊에서 소리를 가져온 한자가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그렇다면 본디 鞠은 누룩(⿱竹⿰幸⿹勹米), ⿱竹⿰幸⿹勹革은 축국을 뜻했으나 두 한자가 나중에는 같은 한자로 쓰이면서 鞠이 ⿱竹⿰幸⿹勹革의 의미까지 흡수한 것이다.


지금의 鞠은 원래의 뜻 외에도 鞫, ⿱竹⿰幸⿹勹革, ⿱宀⿱竹⿰幸人의 뜻을 흡수하면서 鞫에서 파생된 한자들을 대표하는 한자처럼 되었다. 그렇다면 '기르다'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현재에는 발견되지 않은 鞫에서 파생된 한자가 따로 있었을 수도 있다. 鞠이 그냥 '기르다'로 가차해서 썼을 수도 있지만.


⿱竹⿰幸人(국문할 국, 급수 외 한자)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竹⿰幸人+米=⿱竹⿰幸⿹勹米→鞠(성/국문할 국): 국문(鞠問/鞫問), 축국(蹴鞠) 등. 어문회 2급

⿱竹⿰幸人+言=⿱竹⿰幸⿹勹言→鞫(국문할 국): 국문(鞠問/鞫問), 친국(親鞠/親鞫) 등. 어문회 준특급

鞠에서 파생된 한자는 다음과 같다.

鞠+艸(풀 초)=蘜→菊(국화 국): 국화(菊花), 수국(水菊) 등. 어문회 준3급

6723fa7e86a72.png?imgSeq=37796

⿱竹⿰幸人(국문할 국)에서 파생된 한자들.


鞫은 목에 칼을 차고 있는 사람에게서 출발해 죄인을 국문하다는 뜻을 지니게 되었고, 국문은 죄를 탐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궁구하다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죄인이 국문을 받는 모습에서 따서 공손한 태도를 나타내고자 몸을 굽히는 모습도 가리키는데, 이 뜻 역시 鞠이 가져가 국궁(鞠躬)이라는 단어에서도 鞠을 쓴다.


한편 鞠의 뜻 중 누룩은 술을 길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기르다는 뜻은 누룩에서 인신된 것이 아닐까 한다.


⿱宀⿱竹⿰幸人의 뜻을 지닌 ⿱宀⿱竹⿰幸人의 파생자는 다음과 같다.

⿱宀⿱竹⿰幸人은 宀(집 면)이 뜻을 나타내고 ⿱竹⿰幸人(=鞫)이 소리를 나타내며, ⿱竹⿰幸人의 뜻을 가져와 죄가 다할 때까지 캐내는 것처럼 다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이 한자는 다할 궁(窮)과 음과 뜻이 모두 비슷하다.


요약

鞫(국문할 국)은 예전에는 ⿱竹⿰幸⿹勹言·⿱竹⿰幸人의 형태로 썼는데, 갑골문의 목에 칼을 찬 죄수를 나타낸 문자가 변형된 것으로 죄수를 심문하는 것을 뜻한다.

⿱竹⿰幸人에서 鞠(성/국문할 국)·鞫(국문할 국)이 파생되었고, 鞠에서 菊(국화 국)이 파생되었다.

⿱竹⿰幸人에서 파생된 한자 중에는 국문 과정과 관련된 의미를 지니는 한자들이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계층방정
24/11/01 08: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는 미처 놓쳤는데, 갈국의 원음은 갇국입니다. 영어의 뻐꾸기 울음소리 Cuckoo랑 비슷하게 들리네요.
24/11/01 11:56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幸이 수갑에서 나왔군요
계층방정
24/11/01 21:2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묘하게 상하대칭인 게 그 때문입니다.
24/11/01 15:03
수정 아이콘
국문하다, 친국하다 할 때 국자가 이 글자인가 보네요.
계층방정
24/11/01 21:25
수정 아이콘
예, 맞습니다. 鞠과 鞫 어느 쪽으로 써도 돼요. 국문이랑 가죽 혁(革)이랑 뭔 상관이 있나 궁금했는데 결론은 자형의 와전이었네요.
如是我聞
24/11/01 15:41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계층방정
24/11/01 21:25
수정 아이콘
항상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868 [정치] 계엄 실패는 공군과 조율 실패 탓 - 원래는 11시까지 국회 점령 명령 하달 [93] 가라한11831 24/12/05 11831 0
102867 [정치] 계엄사, 비상계엄서 '필요한 인원 보내라' 요청…대법원 거부 [35] 물러나라Y8003 24/12/05 8003 0
102865 [정치] 국민의 힘, 민주당 규탄 집회 시작 [66] 법규8768 24/12/05 8768 0
102864 [일반] 경축 비트코인 100k 돌파 [36] 8figures6304 24/12/05 6304 2
102863 [일반] 비트코인이 100,000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8] 덴드로븀7826 24/12/05 7826 0
102862 [정치] 前계엄사령관 육군총장 "계엄 선포 대통령 발표 보고 알아" [48] 빼사스6883 24/12/05 6883 0
102861 [정치] 野, 尹탄핵안 7일 오후 7시께 표결 추진…"與의원들 결단 기대" [54] 물러나라Y5980 24/12/05 5980 0
102859 [정치] 윤석열의 말버릇 : 확 계엄해 버릴까? [27] 네야6646 24/12/05 6646 0
102858 [정치] 美 백악관 "한국 민주주의 강화에 계속 공개적 목소리 낼 것" [33] 철판닭갈비8258 24/12/05 8258 0
102857 [정치] '비상계엄' 선포 尹탄핵 찬성 73.6%·반대 24.0%[리얼미터] [117] Davi4ever10963 24/12/05 10963 0
102855 [정치] 계엄과 외교 참사 [58] 가라한8757 24/12/05 8757 0
102854 [정치] 추경호 "국민의힘 108명 의원 총의 모아 탄핵 부결시킬 것" [154] Davi4ever10976 24/12/05 10976 0
102853 [정치] 불타버린 잔도를 건널 수 없고, 밀린 청구서가 돌아왔습니다. [45] Judith Hopps8222 24/12/05 8222 0
102851 [일반] gpt야 놀자02) gpt에게 적색편이를 쉽게 설명해달라고 해보자 [6] 김아무개6170 24/12/05 6170 1
102850 [정치] 與, ‘尹탄핵 반대’ 당론으로 추인했다고 하네요. [341] 동지24514 24/12/05 24514 0
102849 [정치] [단독] 윤 대통령 5일 대국민담화…사과하되 임기중단· 탈당 일축할 듯 [98] 밥도둑15595 24/12/04 15595 0
102848 [정치] 한동훈 "계엄이 경고성일 수는 없어. 대통령 탈당, 대국민 사과 요구 전달" [36] EnergyFlow9754 24/12/04 9754 0
102847 [정치] [단독] 계엄군 297명, 중앙선관위 청사 덮쳐···당직자 5명 휴대전화까지 압수 [71] 카린10350 24/12/04 10350 0
102846 [정치] 계엄관련하여 서울대를 시작으로 각각의 대학에서 성명문(규탄문) 올라오는중 [19] 아롱이다롱이7990 24/12/04 7990 0
102845 [정치] 어떤 경우에도 대통령 임기 중단은 없답니다. [82] 법규8825 24/12/04 8825 0
102843 [정치] [단독]윤, 與 지도부 만나 “민주당 폭주 알리려 계엄…김용현 해임 아냐” [176] Nerion18843 24/12/04 18843 0
102842 [정치] 김용현 국방장관 "국민께 송구…대통령께 사의 표명했다" [113] Davi4ever15655 24/12/04 15655 0
102841 [일반] 요즘 근황 [25] 공기청정기12677 24/12/04 12677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