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9/03 23:32: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71318029
Subject [일반] <희생> - 다시, 근원의 질문으로. (스포)
근 2주가 지난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CGV 아트하우스에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전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처음 접하게 되었구요, <희생>을 봤습니다.

<희생>의 이야기는 굉장히 난해합니다. 스토리를 요약하기도 쉽지 않구요, 어찌보면 굉장히 뜬금없는 일들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당황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이번 글은 어찌보면 리뷰라기 보단 그저 하나의 감상문에 가까운 글일 수도 있겠네요.

니체, 윤회 등의 이야기들이 초반부를 나오지만, 아무래도 영화의 가장 중심에 놓여진 이야기는 성서적 신화의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동시에, 그 신화적 이야기를 어떻게 개인이 '받아들이느냐'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네요. 영화의 오프닝 크레딧을 장식하는 다빈치의 '동방박사들의 경배'와, 죽어버린 나무를 심어 물을 준다는 이야기로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것은 그 신화적 이야기로 걸맞은 시작과 끝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믿음이 없던 이가 세상의 종말 앞에서 구원 받은 뒤로, 집을 불살라 희생제를 지내고, (다시) 말문이 트인 아이의 유일한, 그리고 영화의 끝을 장식하는 대사로 '빛이 있으라'를 되묻는 것은, 그런 점에서 하나의 거대한 윤회 내지 원을 그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앞서 언급한 윤회나 니체 같은 것들이 빠져도 될 것 같으면서도, 또 굉장히 중요한 물음들을 던지고 있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영화 외적으로 바라보면, 이 영화는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유작입니다. 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고 만든 작품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 점에선 이 영화는 약간... 유서 같기도 합니다. 모든 것이 끝났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확실한 세상의 끝에서는 번뇌하고, 또 구원을 바라기도 하구요. 바흐의 마태수난곡이 흘러나오며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말하는 이 영화는 분명 냉전 막바지의 공포감을 담고 있으면서도, 그 상황을 자세히 묘사하진 않으면서 상당히 '일반적'인 이야기로 변환합니다.

저는 이 영화가, 떠나온 자가, 돌아갈 곳을 태워 바치는 영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점에서는 노사제의 마지막 희생제를 보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어요. 그리고, 이야기는 다시금, 다음 세대가, 처음으로 시작하는 건 아닐까, 그렇게 생이라는 게 시작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다드
24/09/04 07:17
수정 아이콘
주7일 근무로 바쁘게 살다보니 감독전 하는것도 몰랐네요. 자주 영화 보시고 사유하시는 것이 부럽습니다. 타르코프스키의 <봉인된 시간>을 읽어보시지 않으셨다면 권해드립니다. 제 인생책입니다.
aDayInTheLife
24/09/04 07:46
수정 아이콘
고생많으십니다. 저는.. 그냥 다른 거도 해보고 싶긴 한데 집중력이 딸려서 영화를 주로 보게 되더라구요.
책 추천 감사합니다. 읽어보겠습니다!
MurghMakhani
24/09/04 08:49
수정 아이콘
이동진의 언택트톡으로 봤는데 이동진씨가 자기가 언제 타르코프스키 얘기를 또 해보겠냐면서 엄청 열심히 얘기하시더라고요. 흥미로웠던 것은 이 작품이 타르코프스키 작품세계를 집대성한, 말씀하신 대로 유작인 게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작품이었던 것과는 달리 영화를 만들 당시 타르코프스키는 자신이 시한부 상태라는 것을 몰랐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들에 대한 극중 주인공의 애틋한 마음은 당시 타르코프스키 본인의 상황이 많이 투영된 거라 합니다. 아들을 러시아에 두고 이탈리아에 망명하게 되어 한참동안 볼 수가 없었다 하니... 사실 저는 영화 볼 때 왜 그렇게 아들에게 눈물겨울 정도로 애틋한 마음을 보내는지 확 와닿지는 않았는데(영화 내 중요한 사건과는 별개로 주인공-아들 간의 관계는 그저 계속 함께 사는 관계였으니까요) 해설을 들으니 좀 알겠더라고요.
aDayInTheLife
24/09/04 09:32
수정 아이콘
우왕! 언택트톡!
저도 그거로 봤으면 좋았을 텐데 주말에는 시간이 없어서..
여튼 유작의 느낌이 물씬 풍기면서도 또 막상 자신이 시한부인 걸 몰랐다니 흥미롭네요.
말을 걸던 주인공 대신 말을 하는 아이로, 어찌보면 이것도 다음 세대에게 횃불을 넘기는 영화일지도요.
24/09/04 08:59
수정 아이콘
대사 분위기 상황 발성 전개 모두 초중반에 불쾌해서 견디기가 쉽지 않았는데 오히려 영화를 다 보고 나니 감독의 의도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고민해볼 수 있는 영화였습니다
aDayInTheLife
24/09/04 09:33
수정 아이콘
굉장히 어려우면서.. 또 묘하게 의도적인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쉽진 않지만 다시금 행간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영화였습니다.
24/09/04 11:57
수정 아이콘
감독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서는 의도적으로 관객의 불편을 유도할 수도 있는 거겠죠? 알못이라 갈 길이 머네요 크크
aDayInTheLife
24/09/04 12:13
수정 아이콘
아 그래도 좀.. 떠멕여 줬으면 좋겠어요 크크크크
짐바르도
24/09/04 13:58
수정 아이콘
소싯적 영화광 혹은 영화광 지망생들의 필수 코스였죠... (사실 이해 거의 못함)
aDayInTheLife
24/09/04 14:07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 못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30 [일반] 인생은 터프하게 [9] 밥과글4809 25/09/06 4809 32
104929 [일반] 응팔류 마을 공동 육아에 대한 환상 [210] 럭키비키잖앙13688 25/09/06 13688 4
104928 [일반]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2025) _ 흐릿한 풍경 속, 선명해지는 삶의 질문 리니시아3758 25/09/06 3758 3
104926 [일반] 자본주의는 근본적으로 무엇 때문에 양극화를 일으키는가 [62] 번개맞은씨앗3938 25/09/06 3938 4
104925 [일반] 유튜버 대도서관 자택에서 숨진채로 발견 [89] EnergyFlow14624 25/09/06 14624 1
104922 [일반] 파인애플 피자 논쟁 [17] 유동닉으로5586 25/09/05 5586 0
104920 [일반] 아내 이야기 12 [10] 소이밀크러버4781 25/09/05 4781 20
104919 [일반] 사는데 대단한 무언가가 필요하진 않아요. [26] 프뤼륑뤼륑7173 25/09/05 7173 21
104918 [일반] 자고일어나니 90만원 결제.... 공통점은 광명, KT? [21] 유머8214 25/09/05 8214 4
104917 [일반] 슈카가 빵집 IPO 관련해서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 [317] 돌기름16843 25/09/05 16843 43
104916 [일반] 무엇을 위해 살아있는지 모르겠다. [43] 깃털달린뱀7939 25/09/04 7939 11
104913 [일반] 뒤틀린 황천의 호그와트, 웬즈데이 시즌2 감상 (스포유) [3] 날굴~4892 25/09/04 4892 1
104910 [일반] 아침에 목격한 자전거 사고 [32] 수리검7439 25/09/04 7439 4
104909 [일반] 데이터로 파헤친 한국 빵 값이 아시아 최고인 진짜 이유 [145] 예루리17635 25/09/04 17635 114
104908 [일반] 한참 뒤늦은 케데헌 후기. [23] aDayInTheLife5514 25/09/03 5514 2
104907 [일반] 한국 여자골프의 몰락과 일본의 굴기 [54] 無欲則剛12634 25/09/03 12634 8
104906 [일반] 66년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정상 [92] Davi4ever15852 25/09/03 15852 6
104905 [일반] 유행지난 귀칼후기 [36] seotaiji10272 25/09/02 10272 0
104904 [일반] 무인판매점 도난 관련 제가 본 케이스 [89] 슬로11632 25/09/02 11632 11
104903 [일반] 210번째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6475 25/09/02 6475 1
104901 [일반] 제프 딕슨: 우리시대의 역설 [5] onDemand4570 25/09/02 4570 7
104898 [일반] 동네 무인 문구점에서 대량 도난 사태가 있었는데.. [207] 종결자11159 25/09/02 11159 14
104897 [일반] 마침내 병장!!!!…이지만 D-211인 군인의 잡썰 [71] No.99 AaronJudge6752 25/09/01 6752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