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9/03 21:13:08
Name 대장군
Subject [일반] [웹소설] 깊이가 있는 대역 소설 2개 추천 (수정됨)
'탐관오리가 상태창을 숨김'의 완결로 심심한 분들께 2가지 대역 소설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두 소설은 모두 전문적인 지식이 작품에 잘 녹아 있습니다.

1. 경제왕 연산군
https://novel.munpia.com/414764
* 94화까지 연재
* 사학과와 경제학부를 복수전공한 대학생이 연산군에게 빙의해서 조선의 경제를 발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 문체는 가볍고 블랙코미디, 각종 패러디가 많습니다.
* '위에 정책이 있으면, 아래에는 대책이 있다'가 잘 나타납니다.
주인공이 '대영제국의 지혜'를 이용해서 정책을 시행하면, 조선인들은 근대적인 이유로 여러 가지 사건 & 사고를 일으킵니다.
* 작중 나오는 경제적 개념과 흐름이 이해가 안 될 때는, 독자들의 댓글이 도움이 됩니다.
* 작가는 산업혁명에는 기술 발전에 이외에 법, 사회 그리고 제도적 발전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2.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
https://novel.munpia.com/372155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10130726
https://page.kakao.com/content/63034031
* 676화까지 연재 (2부 연재 중) & 작가가 잦은 연참을 합니다. 
* 고종 시기 군관에 빙의한 주인공이 조선의 생존을 위해서 노력합니다.
* 문체는 약간 무겁고 작품 진행은 느리고 고구마가 있습니다.
* 하지만 장교 출신 작가가 군사 부분에 대한 고증과 묘사에 영혼을 갈아 넣었습니다.
* 전투신, 전략과 전술 묘사의 디테일과 수준은 제가 본 어떤 소설 보다도 좋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선제일검
24/09/03 21:39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진짜 있네요. 요즘 대역 작품들이 물오르고 있지요. 원소스 멀티유즈로 잘 터지면 뭔가 더 큰 흥행이 올 거 같습니다.
크레토스
24/09/03 21:42
수정 아이콘
대역소설들 다른 분야로 바꾸긴 애매해보입니다.
웹툰화 많이 하던데 그냥저냥이지 대박친 건 없는 거 같고
드라마화, 영화화 하려면 사극급 제작비 들면서 본격 사극보단 마이너한 느낌이죠
조선제일검
24/09/03 21:50
수정 아이콘
아직은 원소스 멀티유즈 성공 모델이 없는 것도 맞지요 흐흐
그래도 나름 꽤 좋게 보는 이유는 대역 판 자체가 성장하고 있다고 느껴서입니다. 탐태창, 1588, 경제왕 연산군이 작년 말 ~ 올해 나온 작품으로 기억하는데, 새로운 분기마다 나오는 작품들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작가마다 봐도 직전에 낸 작품보다 성장하고 있고, 대역 판 전체를 봐도 직전 분기 작품들보다 새로운 맛을 잘 비벼내고 있어요. 이렇게 건강한 경쟁으로 성장하는 판은 나중에 뭔 일을 내도 낸다고 생각해서 기대를 겁니다. 웹툰이나 드라마로 정말 잘 버무리면 뭔가 새로운 성공모델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
VictoryFood
24/09/05 00:28
수정 아이콘
최근 대군으로 살어리랏다 웹툰 봤는데 소설보다 더 재밌게 봤습니다.
드라마로도 잘 나올 수 있을 거 같은데 제작비 생각하면 쉽게 달려들 순 없겠죠.
피를마시는새
24/09/03 22: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평)

경제왕 연산군
- 초반부의 파격적인 전개는 좋았지만, 최근 전개가 점점 힘이 빠진다는 느낌을 주네요. 또한 문체가 점점 설명문처럼 바뀌는 것 같습니다. 문체는 대부분의 대역물에서 2~3권을 지나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장르적 한계에 해당하긴 합니다만..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
- 대역물은 다른 장르보다 독자들이 사이다를 기대하는 부문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 작품은 고구마가 좀 강합니다. 저는 이겨내지 못하고 하차했습니다.
24/09/03 22:01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은 정말 잘 썼죠. 작년 공모전보다 올해 공모전이 재미있는 게 훨씬 많은 느낌입니다.
조선쿠데타는 읽어볼 생각이긴 한데 보는 게 너무 많아서 까다롭스키 신작 찍먹한 다음에 읽어 봐야겠네요
24/09/03 22:18
수정 아이콘
저는 조선쿠데타는 2부 250화 정도에서 중도 하차했습니다.
1부까지는 전투나 전장 묘사가 세밀하고 사실적이어서 좋았는데

2부에서 1차 대전에 참여하면서
이게 분대 > 소대 > 중대 > 대대 > 연대 > 사단 > 군단 순으로 1회 전투를 전부 쪼개서 묘사하고 설명하다보니
정작 소설으로서 내용은 없고 그냥 무슨 전쟁시뮬레이션을 가장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듯 했습니다.

굳이 보신다면 1부는 추천, 2부는 비추합니다.
wersdfhr
24/09/03 22:23
수정 아이콘
첫번째거는 아직 모인게 너무 적어서 안봤고 두번째거는 초반 무료연재분 정도 보다가 안맞아서 하차했습니다 ㅠ
그냥사람
24/09/03 22:28
수정 아이콘
추천감사합니다.
일각여삼추
24/09/03 22:58
수정 아이콘
둘 다 재밌게 봤고 추가로 대영제국 선비의 공정무역 추천합니다. 아직 40화밖에 안 됐지만 이 분야 명작 검은머리 미국 대원수 작가답게 느낌이 좋습니다.
고등어자반
24/09/04 09:04
수정 아이콘
저는 처음에 이 글의 제목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무슨 약을 했길래 웹소설 제목이 '확산성 밀리언 아편'...?!!
이후 제목에 마약류 언급이 들어 있으면 곤란하다는 이유로 급히 제목을 바꿨다고 하더군요.
일각여삼추
24/09/04 09:15
수정 아이콘
갑자기 제목이 바뀌어서 놀랐는데 그런 뒷사정이 있었군요
24/09/04 00:31
수정 아이콘
대역이 요즘 붐이라 좋네요. 전 한국배경 작품으로는 조선 혁명의 시대 추천합니다. 외교를 중심으로한 템포가 긴 소설이라. 긴 만큼 나라가 발전해나가면서 외교 정치적으로 국가의 흐름이 변화하는 과정을 잘 표현하는데 흥미로워요.
Mephisto
24/09/04 10:11
수정 아이콘
별로 위대한 대한제국이다 추천까진 아니고......
이런 소설도 있으니 한번 기회되면 읽어보시라 정도로 댓글달아봅니다.
우리나라가 악의축이 되는 대역소설은 또 처음인지라 크크....
24/09/04 10:16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은 그냥 상황설명만 늘어놔도 웃겨서 좋아합니다 크크
쿠데타는 전투파트가 참 좋긴한데 분량 늘이기가 좀 신경쓰이죠
우유크림빵
24/09/04 12:14
수정 아이콘
둘 다 맛있게 보고 있는 작품들이네요. 점점 대역소설들 수준이 올라가는 것 같아서 행복합니다.
Lainworks
24/09/04 13:28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이 정말 잘 쓴 대역입니다. 소설적으로 말맛과 문장력이 최고다 이런 건 아니지만, 대역물 소비층을 사이다 국뽕맨 / 역사지식 기반 드립 상상력맨으로 나누면 후자쪽에는 어마어마하게 매력적이죠.
채권이 현대인(조선) 에게 작용하는 묘사를 보면 정말 감탄이
이리떼
24/09/04 16:15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 보면서 조선 기반 대체역사물 볼 때마다 느끼던답답함이 많이 해소되는 기분이었습니다.
아.. 진짜 아무런 물적, 정신적 토대 없이 다짜고짜 산업혁명 일으키던 게 얼마나 어이가 없던지..
24/09/04 17:56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재미있나보군요. 앞에 조금만 보다 말았는데 봐야겠네요
라이엇
24/09/04 18:57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보면서 드는 생각은 코락스에 이어 대역계 메타를 바꿀 작가가 등장한게 아닌가 싶더군요.
24/09/05 10:07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은 소재만 보면 다른 대역에서도 볼수있는 소재들인데
- 정말 조선사람들이라면 이런 리액션이었을 것이다.
- 현대인과 조선사람들과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은 이렇게 차이나고 현대적인 경제학이 적용되면 그에 따라 이런 흐름이 될것이다.
라는 것을 잘 표현했죠.
대역 좋아하시는 분들은 신선해서 재밋게 보실 작품이고
대역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호불호가 좀 갈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466 [일반] 카리스마와 관료제 그리고 그 미래 [14] 번개맞은씨앗8672 24/10/15 8672 0
102465 [일반] [2024여름] 아기의 터 파는 자세 / 덤 사진 (움짤 용량 주의) [23] 소이밀크러버9535 24/10/15 9535 27
102464 [일반] [2024여름] 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여해봅니다. [6] 뿌루빵6020 24/10/15 6020 10
10246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1. 등불반짝거릴 형(熒)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5612 24/10/15 5612 3
102462 [일반] PGR21 2024 여름 계절사진전을 개최합니다 及時雨4835 24/09/21 4835 0
102461 [일반] [역사]빔 프로젝터는 왜 TV보다 비쌀까? | 프로젝터의 역사 [8] Fig.18485 24/10/14 8485 8
102460 [일반] 가을 테마 음원이 오늘 발매되었는데... 지금이 가을 맞을까요?-_-;; [2] dhkzkfkskdl5839 24/10/14 5839 0
102459 [일반] [예능] 흑백요리사 감상문(스포 있음) [14] 라울리스타9593 24/10/14 9593 25
102458 [일반] 병무청 설립이래 최초 "자발적 대리입대" 적발 [43] 계피말고시나몬11353 24/10/14 11353 1
102457 [일반]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이 드라마 미쳤네요!!! [44] Anti-MAGE11754 24/10/14 11754 3
102456 [일반] [서평]《왜 내 사랑은 이렇게 힘들까》- 모든 애착이 다 가치가 있지만, 모든 사람이 다 안정 애착을 누릴 수 있다 [2] 계층방정5900 24/10/14 5900 4
102455 [일반] 전성기 이주일 선생님의 위상을 나름 느낄 수 있는 사진 [42] petrus12885 24/10/13 12885 4
102454 [일반] 요즘 본 영화 [8] 그때가언제라도12004 24/10/12 12004 2
102453 [일반] 『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18] meson12732 24/10/12 12732 36
102452 [일반] 고급 휘발유는 왜 비싼가? 및 잡설 [22] 좁쌀12500 24/10/12 12500 4
102451 [일반] 추억은 미화되기 마련이다. [17] 럭키비키잖앙10448 24/10/12 10448 8
102450 [일반] 기노시타 히데요시, 가네가사키의 전설을 쓰다 [8] 식별7310 24/10/12 7310 5
102449 [일반] [2024여름] 인생 첫 유럽 여행 [30] 시무룩5689 24/10/12 5689 13
102447 [정치]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성향 역사 기관장들의 망언 잔치 [70] 카린14612 24/10/11 14612 0
102446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0. 22-39편 정리 계층방정6447 24/10/11 6447 2
102445 [일반] <전란> 후기(노스포) [14] 라이징패스트볼9173 24/10/11 9173 2
102444 [정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야스쿠니 신사 참배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36] EnergyFlow7715 24/10/11 7715 0
102442 [일반] 선비(士)와 스승(師), 한의사(漢醫士)와 한의사(韓醫師) [25] 토니토니쵸파7955 24/10/11 795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