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9/03 21:13:08
Name 대장군
Subject [일반] [웹소설] 깊이가 있는 대역 소설 2개 추천 (수정됨)
'탐관오리가 상태창을 숨김'의 완결로 심심한 분들께 2가지 대역 소설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두 소설은 모두 전문적인 지식이 작품에 잘 녹아 있습니다.

1. 경제왕 연산군
https://novel.munpia.com/414764
* 94화까지 연재
* 사학과와 경제학부를 복수전공한 대학생이 연산군에게 빙의해서 조선의 경제를 발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 문체는 가볍고 블랙코미디, 각종 패러디가 많습니다.
* '위에 정책이 있으면, 아래에는 대책이 있다'가 잘 나타납니다.
주인공이 '대영제국의 지혜'를 이용해서 정책을 시행하면, 조선인들은 근대적인 이유로 여러 가지 사건 & 사고를 일으킵니다.
* 작중 나오는 경제적 개념과 흐름이 이해가 안 될 때는, 독자들의 댓글이 도움이 됩니다.
* 작가는 산업혁명에는 기술 발전에 이외에 법, 사회 그리고 제도적 발전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2.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
https://novel.munpia.com/372155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10130726
https://page.kakao.com/content/63034031
* 676화까지 연재 (2부 연재 중) & 작가가 잦은 연참을 합니다. 
* 고종 시기 군관에 빙의한 주인공이 조선의 생존을 위해서 노력합니다.
* 문체는 약간 무겁고 작품 진행은 느리고 고구마가 있습니다.
* 하지만 장교 출신 작가가 군사 부분에 대한 고증과 묘사에 영혼을 갈아 넣었습니다.
* 전투신, 전략과 전술 묘사의 디테일과 수준은 제가 본 어떤 소설 보다도 좋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선제일검
24/09/03 21:39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진짜 있네요. 요즘 대역 작품들이 물오르고 있지요. 원소스 멀티유즈로 잘 터지면 뭔가 더 큰 흥행이 올 거 같습니다.
크레토스
24/09/03 21:42
수정 아이콘
대역소설들 다른 분야로 바꾸긴 애매해보입니다.
웹툰화 많이 하던데 그냥저냥이지 대박친 건 없는 거 같고
드라마화, 영화화 하려면 사극급 제작비 들면서 본격 사극보단 마이너한 느낌이죠
조선제일검
24/09/03 21:50
수정 아이콘
아직은 원소스 멀티유즈 성공 모델이 없는 것도 맞지요 흐흐
그래도 나름 꽤 좋게 보는 이유는 대역 판 자체가 성장하고 있다고 느껴서입니다. 탐태창, 1588, 경제왕 연산군이 작년 말 ~ 올해 나온 작품으로 기억하는데, 새로운 분기마다 나오는 작품들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작가마다 봐도 직전에 낸 작품보다 성장하고 있고, 대역 판 전체를 봐도 직전 분기 작품들보다 새로운 맛을 잘 비벼내고 있어요. 이렇게 건강한 경쟁으로 성장하는 판은 나중에 뭔 일을 내도 낸다고 생각해서 기대를 겁니다. 웹툰이나 드라마로 정말 잘 버무리면 뭔가 새로운 성공모델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
VictoryFood
24/09/05 00:28
수정 아이콘
최근 대군으로 살어리랏다 웹툰 봤는데 소설보다 더 재밌게 봤습니다.
드라마로도 잘 나올 수 있을 거 같은데 제작비 생각하면 쉽게 달려들 순 없겠죠.
피를마시는새
24/09/03 22: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평)

경제왕 연산군
- 초반부의 파격적인 전개는 좋았지만, 최근 전개가 점점 힘이 빠진다는 느낌을 주네요. 또한 문체가 점점 설명문처럼 바뀌는 것 같습니다. 문체는 대부분의 대역물에서 2~3권을 지나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장르적 한계에 해당하긴 합니다만..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
- 대역물은 다른 장르보다 독자들이 사이다를 기대하는 부문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이 작품은 고구마가 좀 강합니다. 저는 이겨내지 못하고 하차했습니다.
24/09/03 22:01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은 정말 잘 썼죠. 작년 공모전보다 올해 공모전이 재미있는 게 훨씬 많은 느낌입니다.
조선쿠데타는 읽어볼 생각이긴 한데 보는 게 너무 많아서 까다롭스키 신작 찍먹한 다음에 읽어 봐야겠네요
24/09/03 22:18
수정 아이콘
저는 조선쿠데타는 2부 250화 정도에서 중도 하차했습니다.
1부까지는 전투나 전장 묘사가 세밀하고 사실적이어서 좋았는데

2부에서 1차 대전에 참여하면서
이게 분대 > 소대 > 중대 > 대대 > 연대 > 사단 > 군단 순으로 1회 전투를 전부 쪼개서 묘사하고 설명하다보니
정작 소설으로서 내용은 없고 그냥 무슨 전쟁시뮬레이션을 가장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듯 했습니다.

굳이 보신다면 1부는 추천, 2부는 비추합니다.
wersdfhr
24/09/03 22:23
수정 아이콘
첫번째거는 아직 모인게 너무 적어서 안봤고 두번째거는 초반 무료연재분 정도 보다가 안맞아서 하차했습니다 ㅠ
그냥사람
24/09/03 22:28
수정 아이콘
추천감사합니다.
일각여삼추
24/09/03 22:58
수정 아이콘
둘 다 재밌게 봤고 추가로 대영제국 선비의 공정무역 추천합니다. 아직 40화밖에 안 됐지만 이 분야 명작 검은머리 미국 대원수 작가답게 느낌이 좋습니다.
고등어자반
24/09/04 09:04
수정 아이콘
저는 처음에 이 글의 제목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무슨 약을 했길래 웹소설 제목이 '확산성 밀리언 아편'...?!!
이후 제목에 마약류 언급이 들어 있으면 곤란하다는 이유로 급히 제목을 바꿨다고 하더군요.
일각여삼추
24/09/04 09:15
수정 아이콘
갑자기 제목이 바뀌어서 놀랐는데 그런 뒷사정이 있었군요
24/09/04 00:31
수정 아이콘
대역이 요즘 붐이라 좋네요. 전 한국배경 작품으로는 조선 혁명의 시대 추천합니다. 외교를 중심으로한 템포가 긴 소설이라. 긴 만큼 나라가 발전해나가면서 외교 정치적으로 국가의 흐름이 변화하는 과정을 잘 표현하는데 흥미로워요.
Mephisto
24/09/04 10:11
수정 아이콘
별로 위대한 대한제국이다 추천까진 아니고......
이런 소설도 있으니 한번 기회되면 읽어보시라 정도로 댓글달아봅니다.
우리나라가 악의축이 되는 대역소설은 또 처음인지라 크크....
24/09/04 10:16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은 그냥 상황설명만 늘어놔도 웃겨서 좋아합니다 크크
쿠데타는 전투파트가 참 좋긴한데 분량 늘이기가 좀 신경쓰이죠
우유크림빵
24/09/04 12:14
수정 아이콘
둘 다 맛있게 보고 있는 작품들이네요. 점점 대역소설들 수준이 올라가는 것 같아서 행복합니다.
Lainworks
24/09/04 13:28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이 정말 잘 쓴 대역입니다. 소설적으로 말맛과 문장력이 최고다 이런 건 아니지만, 대역물 소비층을 사이다 국뽕맨 / 역사지식 기반 드립 상상력맨으로 나누면 후자쪽에는 어마어마하게 매력적이죠.
채권이 현대인(조선) 에게 작용하는 묘사를 보면 정말 감탄이
이리떼
24/09/04 16:15
수정 아이콘
경제연산 보면서 조선 기반 대체역사물 볼 때마다 느끼던답답함이 많이 해소되는 기분이었습니다.
아.. 진짜 아무런 물적, 정신적 토대 없이 다짜고짜 산업혁명 일으키던 게 얼마나 어이가 없던지..
24/09/04 17:56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재미있나보군요. 앞에 조금만 보다 말았는데 봐야겠네요
라이엇
24/09/04 18:57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 보면서 드는 생각은 코락스에 이어 대역계 메타를 바꿀 작가가 등장한게 아닌가 싶더군요.
24/09/05 10:07
수정 아이콘
경제왕 연산군은 소재만 보면 다른 대역에서도 볼수있는 소재들인데
- 정말 조선사람들이라면 이런 리액션이었을 것이다.
- 현대인과 조선사람들과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은 이렇게 차이나고 현대적인 경제학이 적용되면 그에 따라 이런 흐름이 될것이다.
라는 것을 잘 표현했죠.
대역 좋아하시는 분들은 신선해서 재밋게 보실 작품이고
대역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호불호가 좀 갈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279 [일반] 모아보는 개신교 소식 [13] SAS Tony Parker 8746 24/09/16 8746 0
102278 [일반] [서평]《최고의 선택을 위한 최고의 질문》 - 섬김의 필수 덕목, 질문 [6] 계층방정5669 24/09/16 5669 0
102277 [일반] 하늘이 참 맑은 나날입니다. [12] 及時雨6174 24/09/16 6174 7
102276 [일반] [팝송] 그리프 새 앨범 "Vertigo" 김치찌개4454 24/09/16 4454 0
102275 [일반] 애니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 추천 [10] 김삼관8232 24/09/15 8232 4
102274 [일반] 추석과 이상기후 그리고 음식 피해 [21] 파르셀8701 24/09/15 8701 11
102273 [일반] '원조 기상캐스터' 김동완, 89세 별세…일기예보 대중화 주축(종합) [12] 강가딘8624 24/09/15 8624 3
102272 [일반] [팝송] 원리퍼블릭 새 앨범 "Artificial Paradise" [1] 김치찌개6387 24/09/15 6387 0
102271 [일반] 추석에 겪었던 경험 하나가 생각네요. [11] 항정살9995 24/09/14 9995 12
102270 [일반] 추석맞이 국산 수산물 온누리 상품권 환급행사 [22] 설탕가루인형형11688 24/09/14 11688 1
102268 [정치] 이준석 "金 여사 텔레그램 문자 본 A의원은 바로 나…총선 개입? 애매" [231] 항정살28306 24/09/13 28306 0
102267 [정치] 추석 앞두고 일제히 20~29.9%를 기록하는 尹 대통령 지지 전여론조사들 [16] 사브리자나12543 24/09/13 12543 0
102266 [정치] 개혁신당, '김건희 특검법' 반대→찬성…"국민의힘 이탈표 있을 것" [34] 전기쥐11706 24/09/13 11706 0
102265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32. 묶을 속(束)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6182 24/09/13 6182 3
102264 [정치] 尹지지율 20%·국민의힘 28%…정부 출범 이후 동반 최저치 [132] 덴드로븀15931 24/09/13 15931 0
102262 [정치] 더이상 샤이 트럼프는 없다? [49] DpnI11774 24/09/13 11774 0
102261 [일반] 수습 기간 3개월을 마무리하며 [6] Kaestro6879 24/09/13 6879 10
102260 [일반] 취업이 끝이 아니구나 [35] 푸끆이10842 24/09/12 10842 21
102259 [일반] [Reuter] 삼성전자, 외국지사 일부부서에 대해 최대 30% 정리해고 계획 [30] Nacht11843 24/09/12 11843 8
102258 [일반] 첫차 두 달, 1,000km 운전 후 감상 및 잡설 [23] 사람되고싶다8398 24/09/12 8398 3
102257 [정치] 전직 페루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어제 세상을 떠났습니다 [12] 보리야밥먹자8857 24/09/12 8857 0
102256 [일반] 과거 신경숙 작가의 표절 논란 당시 창비 백낙청 편집인 반응을 생각하면 많이 실망스럽죠. [19] petrus9480 24/09/12 9480 2
102255 [일반] 처음처럼 소주 페트에 배신당했습니다. [31] 샤크어택14214 24/09/11 14214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