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9/03 07:04:35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69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29. 나나니벌 라(蠃)에서 파생된 한자들

우레 뢰(雷, 畾)에서 파생된 한자들 중, 가는실 멱(糸)이 붙은 가둘 류(纍)의 축약형인 여러 루(累)를 거쳐서 파생된 글자들로 소라 라(螺)와 노새 라(騾)가 있다. 이 두 글자는 또 다른 공통점이 있다. 현재의 형태는 일종의 속자로 본자가 따로 있는데, 그 본자의 형태가 유사하다는 것이다.

66d5a17b199fc.png?imgSeq=34038

두 글자 모두 부수는 속자와 본자가 동일하고, 나머지 부분도 서로 동일하다. 없을 망(亡), 입 구(口), 달 월(月), 무릇 범(凡)이 합한 듯한 뭔가 특이하게 생긴 한자다. 앞으로는 이 한자를 蠃-虫라고 쓰겠다. 다만 왼쪽의 蠃는 소라 외에도 '나나니벌'이라는 뜻이 있고, 한국어문회의 한자급수시험에서도 이쪽으로 나온다.


螺와 騾보다 蠃와 驘가 근본 있는(?) 한자임을 입증하듯이 저 특이하게 생긴 한자는 갑골문에서부터 등장한다. 금문에서는 계집 녀(女)와 결합한 찰 영(嬴)의 용례가 더 많으므로, 이 두 한자의 과거 형태를 살펴보자.

66d634bf30568.png?imgSeq=34060

짐승이름·나나니벌·소라·노새 라의 변천. 


소전과 현재 형태는 복잡하기만 할 뿐 대체 뭔지 알아볼 수 없는 글자인데,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어떤 동물의 형태를 본떴다는 것은 분명히 알 수 있다. 무슨 동물인지를 모르는 게 문제일 뿐. 이 동물은 여러 마디가 있고, 발이 많이 있거나 발이 아예 없고, 머리가 있고, 귀나 더듬이 같은 게 머리에 달려 있다. 금문에서는 몸이 펴지기도 하지만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대부분 몸이 동그랗게 말려 있다. 참고로, 금문의 嬴에서 동물 빼고 나머지 부분은 女에 해당한다.


《설문해자》에서는 '혹자는 짐승 이름이라 한다.'라는 모호한 설명만 달려 있기 때문에 학설이 분분하다. 왕온지(王蘊智)는 용을 닮은 신수라 했는데, 초나라 간백문자를 보면 용 룡(龍)과 닮아 보인다. 일본의 한 블로그에서도 이 한자에서 파생된 嬴이 중국의 고대 8성 중의 하나라는 점을 들어 씨족을 나타내는 신수라는 설을 지지하고 있다.


이학근(李學勤)은 《자원》에서 동그란 몸은 소라나 달팽이가 동그랗게 말린 모습을 뜻하고 머리에 붙은 것은 더듬이를 뜻하는 것으로, 둥근 껍데기가 있는 연체동물인 소라나 달팽이를 가리킨다고 보았다. 나중에 달팽이는 冎(살발라낸뼈 과)를 더해 蝸(달팽이 와)로 분화했고, 소라는 累(여러 루)를 더해 螺로 분화했다. 두 한자의 음은 고대 한자 기준으로 유사한데, 이는 나중에 나올 나나니벌을 과라(蜾蠃)라는 연면사로 부르는 것에서도 엿볼 수 있다.

또 다른 설은 나나니벌의 상형이라는 것으로, 몸은 날개가 달린 날씬한 나나니벌의 몸매를 본뜬 것이고 머리에는 더듬이가 달린 모양이라는 것이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나나니벌을 한자로 과라라고 부른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3/Turbo_cornutus_%28horned_turban_snail%29_2_%2825031884946%29.jpg/525px-Turbo_cornutus_%28horned_turban_snail%29_2_%2825031884946%29.jpg

蠃-虫의 뜻으로 추정되는 짐승인 소라.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c/Red-banded_Sand_Wasp_%28Ammophila_sabulosa%29_%2811087045346%29.jpg/640px-Red-banded_Sand_Wasp_%28Ammophila_sabulosa%29_%2811087045346%29.jpg

蠃-虫의 뜻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짐승인 나나니벌.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한편, 이 글자는 노새를 뜻할 수도 있는데, 아무리 봐도 저 짐승이 노새 같이 보이지는 않고 노새를 뜻하는 말과 소리가 같아서 가차한 것으로 보인다.


짐승이름·나나니벌·소라·노새 라(蠃-虫, 급수 외 한자)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蠃-虫)+羊(양 양)=羸(야윌 리): 이수(羸瘦), 피리(疲羸) 등. 어문회 준특급

(蠃-虫)+果(열매 과)=臝(벌거벗을 라): 나물(臝物), 과라(果臝) 등. 어문회 특급

(蠃-虫)+虫(벌레 훼)=蠃(나나니벌 라): 과라(蜾蠃), 수라(須蠃) 등. 어문회 특급

(蠃-虫)+馬(말 마)=驘(노새 라): 여라(驢驘), 육라(六驘) 등. 급수 외 한자

66d631b59ebcc.png?imgSeq=34059

짐승이름·나나니벌·소라·노새 라에서 파생된 한자들.


(蠃-虫)의 해석이 분분하기 때문에 (蠃-虫)에서 파생된 한자들의 해석도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나나니벌처럼 날씬한 데서 羸가 나왔을 수도 있고, 소라나 신수처럼 동그란 동물에서 臝가 나왔을 수도 있다. 臝는 벌거벗다 외에도 동그란 열매인 하눌타리를 가리키는데, 위에서 나온 과라(果臝)가 바로 하눌타리다. 이외에도 약하게서있을, 위축될 라(䇔)라는 한자도 있고, 논병아리 라(鸁)라는 한자도 있는데, 각각 날씬하다와 동그랗다 쪽에 속한다.

위에서 이미 소라 라와 나귀 라는 (蠃-虫) 대신 累를 쓰는 더 간단한 글자가 대체하고 있다고 했는데, 벌거벗을 라도 마찬가지로 果(열매 과)를 쓴 裸를 더 많이 쓰고 있다. 臝에서 果 대신 衣(옷 의)를 쓴 글자도 있다.


이상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귀란 뜻은 가차이므로 제외했다.

66d5b6f734d98.png?imgSeq=34046(蠃-虫)에서 파생된 한자들의 의미 관계도.


요약

蠃는 나나니벌 또는 소라를 뜻하며, (蠃-虫)는 신수, 나나니벌, 소라, 노새 등의 뜻으로 추정된다.

(蠃-虫)에서 羸(야윌 리)·臝(벌거벗을 라)·蠃(나나니벌 라)·驘(노새 라)가 파생되었다.

(蠃-虫)는 파생된 한자들에 날씬하다 또는 동그랗다의 뜻을 부여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beralist
24/09/03 09:2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진시황으로 유명한 춘추전국 진나라 국성이 영씨인데, 한자 모양이 굉장히 특이해서 어디서 튀어나온건가 했더니 유래가 여기 있었네요.
계층방정
24/09/04 06:42
수정 아이콘
정작 찰 영(嬴)은 회의자라서 형성자 위주로 다루는 본 글에는 중간에 거치는 정도로만 소개한 게 아쉽습니다.
24/09/03 11:09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소라야 그렇다 쳐도 나나니벌에까지 글자를 만들어붙이다니... 좀 많이 한가했나봅니다.
계층방정
24/09/04 06:50
수정 아이콘
항상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어 위키백과를 뒤져보니 여전히 저 나나니벌 라(蠃)를 쓰는 과라라는 단어를 여전히 쓰고 있더군요. 예를 들어 호리병벌아과를 과라아과라고 하고, 하위 분류에서도 과라라는 단어가 들어갑니다.
24/09/03 12:44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장수말벌에 관한 한자는 없죠?크크
계층방정
24/09/04 06:5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장수말벌은 그냥 대호두봉(大虎頭蜂)이라고 하는 것 같더군요.
밀리어
24/09/03 17:53
수정 아이콘
상나라 갑골문 원형은 끝에만 보면 꼬리같고 갈라진걸 보아 가장 먼저 뱀을 떠올렸습니다
계층방정
24/09/04 06:52
수정 아이콘
저도 상나라 갑골문은 뱀에 가장 가까운 것 같습니다. 근데 머리가 뱀 머리가 아니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69 [일반] [팝송] 케샤 새 앨범 "." 김치찌개3330 25/08/03 3330 1
104668 [일반] 『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8] Kaestro4793 25/08/02 4793 17
104667 [일반]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32] 깃털달린뱀6581 25/08/02 6581 1
104666 [일반] 선발 vs 계투 [7] 無欲則剛4111 25/08/02 4111 9
104664 [일반] 최근 구입하고 만족스러웠던 물건들 [11] visco6046 25/08/02 6046 1
104661 [일반] 음악도 AI한테 정복? 지브리 그림 수준이 되버린 작곡 [32] Quantumwk6458 25/08/02 6458 0
104660 [일반] 한국 관세 협정 주요외신 평가 [43] 어강됴리8277 25/08/02 8277 5
104657 [일반] '은행 시스템에는 이자가 없다'라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의 위험한 착각 [8] 계층방정4798 25/08/01 4798 6
104656 [일반] 민생지원금 다들 사용하셨나요? [58] TheZone7861 25/08/01 7861 1
104655 [일반] 백종원 축제에서 나온 카드 영수증 미스터리 [98] 페이커7512713 25/08/01 12713 34
104653 [일반] [케데헌] 늦게 써보는 혼문 이야기 [18] 네?!5931 25/08/01 5931 6
104652 [일반] 검과 바람과 늑대의 시대 [2] 식별4407 25/08/01 4407 4
104651 [일반] 대형마트가 점점 싫어집니다. [74] 공부맨12795 25/07/31 12795 5
104650 [일반]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20] vasdesd6930 25/07/31 6930 39
104649 [일반] 법과 계약이 절대적인 건 아니더라 [41] 깃털달린뱀7473 25/07/31 7473 23
104648 [일반] 예술에 대한 발칙한 생각 [1] 번개맞은씨앗2858 25/07/31 2858 1
104643 [일반] [노스포] 좀비딸 후기 [27] 타츠야4964 25/07/31 4964 1
104642 [일반] 사고는 이제 사치품이 되고 있다 - 뉴욕타임스 기고문 [40] 인간흑인대머리남캐9524 25/07/30 9524 17
104641 [일반]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극장 산업이 망하고 있는 중요한 이유 [72] Qfghh7405 25/07/30 7405 0
104640 [일반] "기상학자가 사과까지 하는 8월 더위라니, 정말 역대급인가 봅니다." [68] 윤석열11176 25/07/30 11176 0
104636 [일반] 日태평양 지역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29] Croove8562 25/07/30 8562 1
104635 [일반] 물푸레나무와 느릅나무의 시대 [3] 식별4827 25/07/30 4827 6
104634 [일반] 왜 테슬라는 TSMC가 아니라 삼성 파운드리를 선택했나 [43] 어강됴리12131 25/07/29 1213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