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8 14:06:18
Name 포졸작곡가
Subject [일반] 빈..체로.........빈.....체........................................로.. (수정됨)
Turandot는 Giacomo Puccini의 주요 오페라 중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 Nessun Dorma를 가져 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오페라 아리아 중에선 이 아리아 만큼 유명한 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요~

우선 (고)파바로티 테너의 영상을 보고 가실게요~

도도한 투란도트 공주는 자신과 결혼 하기 위해선 자기가 내는 문제 3개를 다 맞춰야한다고 으름장 놓습니다.
(못 맞히면 끔살... 굳이 왜 목숨을 걸고 청혼을 할까 싶지만 아무튼...)
먼나라 왕자인 칼리프는 당당하게 3문제를 다 맞추고는 청혼을 하는데
투란도트는 뒤통수 칩니다....(아니,,, 난 결혼하겠다 한적 없는데....~~)
칼리프는 역으로 투란도트에게 문제를 내죠~
다음 날 아침까지 내 이름을 알아 맞추면 패배를 인정하겠다고,,,
투란도트는 이름을 알아 맞추기 위해 주변을 괴롭힙니다...
(잠도 자지 말고 저 남자 이름을 알아내라~!!!!)
이런 궁중 내 소문을 들은 칼리프는 승리를 확신하며 저 노래를 부릅니다....

네순 도르마~~~






안드레아 보첼리가 부른 버전입니다.
여기서 마지막 클라이막스의 vincero(나는 승리하리라)부분만 들어보죠~

빈..체로~~~~~~~~~~빈.....체~~~~~~~~~~~~~~~~~~~~~~~~~~로~~~~~~~~~~~~~~~~~~~~

이런 식으로 대충 음 길이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오호라.... 갑자기 악보가 궁금해지네요~



12e835f6f814aa.png?scale=width<span class='bd'>[740]</span>,options<span class='bd'>[limit]</span>
어라??????
두 번 째 '빈체로'에서 늘임표 같은게 없.......
poco allarg. 이거는 조금(!!!) 폭 넓게 느려진다 정도의 빠르기 변화를 지시합니다...

악보대로라면 대충
빈..체로~~~~~~~~ 빈....체..로~~~~~~~~~~
이 정도 연주하는게 맞습니다!!!

그 동안 우리가 들었던 빈체로는 뭐였지????

1926년 4월 25일에 밀라노 라 스칼라에서 초연된 이 곡은
100년이 다 되가는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절찬리에 연주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작곡가의 원 의도와 연주자(특히 성악가)들의 해석의 차이가 보입니다.
작곡가는 이 부분에서 살짝 느리고 폭 넓에 진행하면서 마지막 음인 ro에 클라이막스를 두었다면
성악가는 ce를 더 길게 끌면서 자신의 기량을 과시하는데 초점을 두게 되죠~크크크
ce가 B음이라서 테너가 기량을 뽐내기 적당한 고음이기도 하구요.....

그게 나쁘다는건 아니구요...
오페라의 흥행은 성악가님들의 스타성에 있습니다..
성악가님들의 스타성은 최고음을 오가는 그 분들의 기량과 직결되구요~
푸치니야 이 아리아는 흔히 지나가는 노래 중 하나지만,,,
(보통 작곡가는 관현악과 합창 구성에 더 많이 에너지를 쏟습니다..)

오히려 테너 분들이 이런 포인트를 찾아내서 더 강조해준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지금은 어느 누구도 원 악보대로 연주하시는 분 없지요~^^

(성악도 나름 구전되는 면이 강한 예술 분야라 스승의 해석이 제자에게 그대로 내려가기도 합니다...
즉 스승이 빈.....체~~~~~~~~~~~~~~~~~~~~~~~~~~로~~~~~~~~~~~~~~~~~~~~
했으면 제자도 빈.....체~~~~~~~~~~~~~~~~~~~~~~~~~~로~~~~~~~~~~~~~~~~~~~~
한다는 얘기)

실제로 오케스트라 리허설할 때 지휘자가 이렇게 얘기하는 것도 봤습니다...
"저기 30마디에서 4번째 박 리듬은 무시하시고, 4분음표 그 다음은 온음표에 페르마타(늘임표)로 합니다.
지휘 잘 보시고 따라오세요..."

 /////

요약
1.투란도트는 위대한 곡이다.
2.네순 도르마는 위대한 곡이다.
3.마지막 가사 vincero는 원 악보와 상당히 다르게 해석한다.
4.그게 굳어져서 전승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시대
24/08/28 14:10
수정 아이콘
뭐.. 트로트 가수들도 라이브 할 때는 자기 멋대로 박자 늘렸다 줄였다 하는걸요. 그걸 알아서 맞추는 게 오부리(?) 밴드의 역할이고요.
파바로티님이 그렇게 하겠다는데 맞춰드려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jjohny=쿠마
24/08/28 14:11
수정 아이콘
엇 그렇네요. 크크
재밌는 포인트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4/08/28 14:16
수정 아이콘
네순 도르마 악보에 동그라미가 쳐져있으니 미션임파서블5가 생각나네요
24/08/28 14:18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lUDDmAbkNMc
이제는 '나는 솔로'로 더 유명해진 최용호 씨의 Nessun Dorma 한 번 듣고 가시겠습니다.
은때까치
24/08/28 14:18
수정 아이콘
오 그러게요....... 빈 체~~~~~로~~~~~ 밖에 못 들어본거 같은데 악보는 정반대인게 신기하네요. 근데 모두가 그렇게 부르면 후대 어느 시점엔가 와서 악보가 은근슬쩍 수정되지 않나요? 누구누구 (유명한 이름) 수정판 이렇게.....
포졸작곡가
24/08/28 14:21
수정 아이콘
작곡가의 유작이긴 한데 저 원본으로 출판사에서 출판해왔기 때문에 이제와서
누가 무슨 권리로 수정해서 가는 건 거의 힘들긴 할겁니다...

원본은 원본대로 남아오고, 관습은 관습대로 가고...

이런 식으로 하겠죠~
알카즈네
24/08/28 14:25
수정 아이콘
첫번째 영상 마지막 클라이막스 후 음악과 일체가 된 듯 한 파바로티의 표정이 정말 인상적입니다.
작곡가님이 들려주시는 클래식 이야기 너무 좋은데 자주 올려주세요.
24/08/28 14:27
수정 아이콘
즉홍연주에서 비롯된 카덴차가 그대로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고는 들어 본 것 같은데 성악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있군요.
24/08/28 14:42
수정 아이콘
빈..체제.........빈.....체........................................제..
24/08/28 14:57
수정 아이콘
사실 푸치니는 좀 더 서정적인 테너를 원했다고 하죠.
*alchemist*
24/08/28 15:17
수정 아이콘
로그네이션 그 장면에 나오는 노래구만유~
원숭이손
24/08/28 15:18
수정 아이콘
자이언티가 불르면 원래대로 돌아올텐데
서린언니
24/08/28 15:45
수정 아이콘
(마음이) 빈 채~~~~~ 로~~~~~
콩순이
24/08/28 17:26
수정 아이콘
재밌어요^^ 종종 올려주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Amy Sojuhouse
24/08/29 02:20
수정 아이콘
푸치니는 여성을 위해서도 한자락 주셨죠. 잔니 스키니에서의 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24/08/29 08:50
수정 아이콘
그래도 파바로티옹 버전이 아니면 맛이 안사는걸
호떡집
24/08/29 13:25
수정 아이콘
저 분들이야 레전드고, 저는 폴포츠 때문에 알게된 음악인데 최근에는 이노센트 마수구라는 사람이 부른 버젼이 좋아서 매일 설거지하면서 듣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515 [일반] 관심 전혀 없는 상태여도 어느 날 갑자기 저절로 생각나는 좋은 음악들 [6] 시나브로7609 24/10/23 7609 0
102514 [일반] IMF의 2024 GDP 예상치가 공개되었습니다. [42] 어강됴리10503 24/10/23 10503 5
102513 [일반] <베놈: 라스트 댄스> - 딱 예상만큼, 하던만큼.(노스포) [16] aDayInTheLife6002 24/10/23 6002 0
102512 [일반] 요기요 상품권의 피해자가 될 줄 몰랐네요(티몬사태관련) [8] 지나가는사람9053 24/10/23 9053 2
102511 [일반] 천재와 소음 [5] 번개맞은씨앗6881 24/10/23 6881 8
102510 [일반] 중세 러시아에는 영국인들의 식민지가 있었다? [38] 식별8798 24/10/23 8798 20
102509 [일반] 에어팟4 구매 (feat TQQQ 각인) [26] 오징어개임8676 24/10/23 8676 0
102508 [일반] PGR21 자유게시판은 침체되고 있는가? [169] 덴드로븀14380 24/10/23 14380 31
102507 [일반] 파워 P+오타쿠의 일본 오사카 여행기 (스압) [14] 시랑케도6566 24/10/23 6566 11
102506 [일반] [서평]《소녀들의 감정 수업》 - “당신은 날 이해하지 못해요” [2] 계층방정5650 24/10/22 5650 7
102505 [일반] 군대 줄다리기 썰 (오징어 게임 1기 스포있음) [11] 수퍼카6404 24/10/22 6404 0
102504 [일반] 방랑의 역사를 알아보자 [6] 식별7228 24/10/22 7228 20
102502 [일반] [약스포] 이 애니 추천합니다! '푸른 상자' [19] 무무보리둥둥아빠8622 24/10/22 8622 2
102500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3. 성/법칙 려(呂)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4640 24/10/22 4640 5
102499 [일반] (드라마) (스포주의)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3,4회 감상 후기 [20] Anti-MAGE9936 24/10/21 9936 0
102498 [일반] PGR21 2024 여름 계절사진전 결과를 공개합니다. [10] 及時雨7665 24/10/21 7665 8
102494 [일반] 난봉꾼의 문제 [27] 번개맞은씨앗13461 24/10/20 13461 7
102493 [일반] [팝송] 벨리 새 앨범 "Water the Flowers, Pray for a Garden" 김치찌개6084 24/10/20 6084 1
102491 [일반] 결혼 결정사 해본 후기 [59] 개좋은빛살구27711 24/10/20 27711 43
102490 [일반] [2024여름] 뜨거웠던 안동 월영교 [4] 계층방정7580 24/10/19 7580 6
102489 [일반] 인테리어 할 때 돈부터 주면 안된다는 말 [32] 능숙한문제해결사13472 24/10/19 13472 7
102488 [일반] [2024여름] 여름의 양재천과 수국(데이터 주의) [1] nearby6931 24/10/19 6931 4
102487 [일반] [2024여름] 무더위를 끝내는 폭우 [1] 진산월(陳山月)7065 24/10/19 7065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