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8 14:06:18
Name 포졸작곡가
Subject [일반] 빈..체로.........빈.....체........................................로.. (수정됨)
Turandot는 Giacomo Puccini의 주요 오페라 중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 Nessun Dorma를 가져 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오페라 아리아 중에선 이 아리아 만큼 유명한 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요~

우선 (고)파바로티 테너의 영상을 보고 가실게요~

도도한 투란도트 공주는 자신과 결혼 하기 위해선 자기가 내는 문제 3개를 다 맞춰야한다고 으름장 놓습니다.
(못 맞히면 끔살... 굳이 왜 목숨을 걸고 청혼을 할까 싶지만 아무튼...)
먼나라 왕자인 칼리프는 당당하게 3문제를 다 맞추고는 청혼을 하는데
투란도트는 뒤통수 칩니다....(아니,,, 난 결혼하겠다 한적 없는데....~~)
칼리프는 역으로 투란도트에게 문제를 내죠~
다음 날 아침까지 내 이름을 알아 맞추면 패배를 인정하겠다고,,,
투란도트는 이름을 알아 맞추기 위해 주변을 괴롭힙니다...
(잠도 자지 말고 저 남자 이름을 알아내라~!!!!)
이런 궁중 내 소문을 들은 칼리프는 승리를 확신하며 저 노래를 부릅니다....

네순 도르마~~~






안드레아 보첼리가 부른 버전입니다.
여기서 마지막 클라이막스의 vincero(나는 승리하리라)부분만 들어보죠~

빈..체로~~~~~~~~~~빈.....체~~~~~~~~~~~~~~~~~~~~~~~~~~로~~~~~~~~~~~~~~~~~~~~

이런 식으로 대충 음 길이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오호라.... 갑자기 악보가 궁금해지네요~



12e835f6f814aa.png?scale=width<span class='bd'>[740]</span>,options<span class='bd'>[limit]</span>
어라??????
두 번 째 '빈체로'에서 늘임표 같은게 없.......
poco allarg. 이거는 조금(!!!) 폭 넓게 느려진다 정도의 빠르기 변화를 지시합니다...

악보대로라면 대충
빈..체로~~~~~~~~ 빈....체..로~~~~~~~~~~
이 정도 연주하는게 맞습니다!!!

그 동안 우리가 들었던 빈체로는 뭐였지????

1926년 4월 25일에 밀라노 라 스칼라에서 초연된 이 곡은
100년이 다 되가는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절찬리에 연주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작곡가의 원 의도와 연주자(특히 성악가)들의 해석의 차이가 보입니다.
작곡가는 이 부분에서 살짝 느리고 폭 넓에 진행하면서 마지막 음인 ro에 클라이막스를 두었다면
성악가는 ce를 더 길게 끌면서 자신의 기량을 과시하는데 초점을 두게 되죠~크크크
ce가 B음이라서 테너가 기량을 뽐내기 적당한 고음이기도 하구요.....

그게 나쁘다는건 아니구요...
오페라의 흥행은 성악가님들의 스타성에 있습니다..
성악가님들의 스타성은 최고음을 오가는 그 분들의 기량과 직결되구요~
푸치니야 이 아리아는 흔히 지나가는 노래 중 하나지만,,,
(보통 작곡가는 관현악과 합창 구성에 더 많이 에너지를 쏟습니다..)

오히려 테너 분들이 이런 포인트를 찾아내서 더 강조해준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지금은 어느 누구도 원 악보대로 연주하시는 분 없지요~^^

(성악도 나름 구전되는 면이 강한 예술 분야라 스승의 해석이 제자에게 그대로 내려가기도 합니다...
즉 스승이 빈.....체~~~~~~~~~~~~~~~~~~~~~~~~~~로~~~~~~~~~~~~~~~~~~~~
했으면 제자도 빈.....체~~~~~~~~~~~~~~~~~~~~~~~~~~로~~~~~~~~~~~~~~~~~~~~
한다는 얘기)

실제로 오케스트라 리허설할 때 지휘자가 이렇게 얘기하는 것도 봤습니다...
"저기 30마디에서 4번째 박 리듬은 무시하시고, 4분음표 그 다음은 온음표에 페르마타(늘임표)로 합니다.
지휘 잘 보시고 따라오세요..."

 /////

요약
1.투란도트는 위대한 곡이다.
2.네순 도르마는 위대한 곡이다.
3.마지막 가사 vincero는 원 악보와 상당히 다르게 해석한다.
4.그게 굳어져서 전승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시대
24/08/28 14:10
수정 아이콘
뭐.. 트로트 가수들도 라이브 할 때는 자기 멋대로 박자 늘렸다 줄였다 하는걸요. 그걸 알아서 맞추는 게 오부리(?) 밴드의 역할이고요.
파바로티님이 그렇게 하겠다는데 맞춰드려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jjohny=쿠마
24/08/28 14:11
수정 아이콘
엇 그렇네요. 크크
재밌는 포인트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4/08/28 14:16
수정 아이콘
네순 도르마 악보에 동그라미가 쳐져있으니 미션임파서블5가 생각나네요
24/08/28 14:18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lUDDmAbkNMc
이제는 '나는 솔로'로 더 유명해진 최용호 씨의 Nessun Dorma 한 번 듣고 가시겠습니다.
은때까치
24/08/28 14:18
수정 아이콘
오 그러게요....... 빈 체~~~~~로~~~~~ 밖에 못 들어본거 같은데 악보는 정반대인게 신기하네요. 근데 모두가 그렇게 부르면 후대 어느 시점엔가 와서 악보가 은근슬쩍 수정되지 않나요? 누구누구 (유명한 이름) 수정판 이렇게.....
포졸작곡가
24/08/28 14:21
수정 아이콘
작곡가의 유작이긴 한데 저 원본으로 출판사에서 출판해왔기 때문에 이제와서
누가 무슨 권리로 수정해서 가는 건 거의 힘들긴 할겁니다...

원본은 원본대로 남아오고, 관습은 관습대로 가고...

이런 식으로 하겠죠~
알카즈네
24/08/28 14:25
수정 아이콘
첫번째 영상 마지막 클라이막스 후 음악과 일체가 된 듯 한 파바로티의 표정이 정말 인상적입니다.
작곡가님이 들려주시는 클래식 이야기 너무 좋은데 자주 올려주세요.
24/08/28 14:27
수정 아이콘
즉홍연주에서 비롯된 카덴차가 그대로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고는 들어 본 것 같은데 성악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있군요.
24/08/28 14:42
수정 아이콘
빈..체제.........빈.....체........................................제..
24/08/28 14:57
수정 아이콘
사실 푸치니는 좀 더 서정적인 테너를 원했다고 하죠.
*alchemist*
24/08/28 15:17
수정 아이콘
로그네이션 그 장면에 나오는 노래구만유~
원숭이손
24/08/28 15:18
수정 아이콘
자이언티가 불르면 원래대로 돌아올텐데
서린언니
24/08/28 15:45
수정 아이콘
(마음이) 빈 채~~~~~ 로~~~~~
콩순이
24/08/28 17:26
수정 아이콘
재밌어요^^ 종종 올려주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Amy Sojuhouse
24/08/29 02:20
수정 아이콘
푸치니는 여성을 위해서도 한자락 주셨죠. 잔니 스키니에서의 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24/08/29 08:50
수정 아이콘
그래도 파바로티옹 버전이 아니면 맛이 안사는걸
호떡집
24/08/29 13:25
수정 아이콘
저 분들이야 레전드고, 저는 폴포츠 때문에 알게된 음악인데 최근에는 이노센트 마수구라는 사람이 부른 버젼이 좋아서 매일 설거지하면서 듣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265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32. 묶을 속(束)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6136 24/09/13 6136 3
102261 [일반] 수습 기간 3개월을 마무리하며 [6] Kaestro6829 24/09/13 6829 10
102260 [일반] 취업이 끝이 아니구나 [35] 푸끆이10782 24/09/12 10782 21
102259 [일반] [Reuter] 삼성전자, 외국지사 일부부서에 대해 최대 30% 정리해고 계획 [30] Nacht11771 24/09/12 11771 8
102258 [일반] 첫차 두 달, 1,000km 운전 후 감상 및 잡설 [23] 사람되고싶다8342 24/09/12 8342 3
102256 [일반] 과거 신경숙 작가의 표절 논란 당시 창비 백낙청 편집인 반응을 생각하면 많이 실망스럽죠. [19] petrus9424 24/09/12 9424 2
102255 [일반] 처음처럼 소주 페트에 배신당했습니다. [31] 샤크어택14136 24/09/11 14136 9
102253 [일반] 최악의 교통 도시는 부산이 아니다? [142] 빅팬17617 24/09/10 17617 2
102252 [일반] 메이플 창팝과 BTS [42] 사람되고싶다10774 24/09/10 10774 7
102251 [일반] [역사] 천 원짜리가 다 씹어먹던 카메라의 역사 [15] Fig.111540 24/09/10 11540 15
102250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31. 남을 영(贏)에서 파생된 한자들 [9] 계층방정6186 24/09/10 6186 4
102248 [일반] 루머:스냅드래곤 8 4세대 가격 20% 인상.240달러 & 플래그십 기기 인상 전망 [21] SAS Tony Parker 7377 24/09/09 7377 3
102247 [일반] 내 인생을 강탈당하고 있습니다. [107] 카즈하16963 24/09/09 16963 101
102246 [일반] 산타할아버지가 없어? [29] Timeless8269 24/09/09 8269 25
102245 [일반] <룩 백> - 백아절현, 혹은, 그럼에도 나아가야 하는 것.(스포) [20] aDayInTheLife7074 24/09/09 7074 4
102244 [일반] 부탁을 받아들이면 의무가 발생하지만, 부탁을 거절하면 의무는 발생하지 않는다…? [21] 니드호그11476 24/09/08 11476 7
102243 [일반] (그알)비눌치고개에서의 33분, 아내 교통사고 사망 사건 [11] 핑크솔져10728 24/09/08 10728 4
102239 [일반] [팝송] 오늘의 음악 "오아시스" [4] 김치찌개5897 24/09/08 5897 2
102238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1] 공기청정기5649 24/09/08 5649 3
102236 [일반] 땡볕에서 KISS OF LIFE 'Sticky'를 촬영해 봤습니다. ㅠㅠ 메존일각5412 24/09/07 5412 22
102235 [일반] [서평]《과학적 창조론: 창조의 복음》 - 과학적 방법론으로 창세기 1장을 독해하다 [19] 계층방정6280 24/09/07 6280 3
102232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29. 가릴 간(柬)에서 파생된 한자들 [4] 계층방정5223 24/09/07 5223 4
102231 [일반] 사기 경험담 [24] 시무룩8280 24/09/06 8280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