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6 21:43:31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61717379
Subject [일반] 칸예 웨스트, 언니네 이발관, 프랭크 오션 잡담.
지난 금요일은 칸예 웨스트의 '리스닝 파티'를 빙자한 근 4년 만의 콘서트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저런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가, 칸예 웨스트의 부인인 비앙카 센소리가 감격하는 것 같은 장면을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우리는 때때로, 예술가들의 아픔을 향유합니다. 그러니까, 예술가의 비감, 사건이든 정서는 어떤 변화를 불러옵니다. 그리고, 어떤 예술가들은 그런 감정들로부터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주된 창작의 방식이 그런 슬픔과, 우울 같은 것인 예술가도 있습니다.

칸예 웨스트라는 뮤지션은 그런 점에서 그런 스타일의 예술가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농담삼아, 사고를 칠때마다 좋은 앨범이 나오기도 했었고, 본인의 조울증에 대한 이야기도 꽤 자주 얘기된 뮤지션이니까요.
칸예 웨스트의 공연을 유튜브 라이브로 보고, 오지 않는 잠을 포기하고 유튜브를 떠돌면서 이런 저런 공연 영상과 뮤직비디오를 보다가 이래저래 찾아듣다보니, 한 밴드와 한 솔로 가수에 대한 곡들로 이어지더라구요. 바로, '언니네 이발관'과 '프랭크 오션'이었습니다.

언니네 이발관과 프랭크 오션은 '슬픔'이라는 정서를 공유하는 뮤지션들이면서, 한 쪽은(언니네 이발관의 이석원) 은퇴선언 후 전업 작가로 전향했고, (새로운 곡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긴 했다고 들었습니다만) 다른 쪽은 마지막 앨범이 8년 전인, 사실상 음악 활동이 멈춰버린 뮤지션들입니다. 저는 이 사실이 묘하게.... 양가적인 감정이 들더라구요.

예전에, 그런 얘기를 들었던 거 같습니다. 아마 윤종신씨였던 거 같은데, '더 이상 슬픈 이별 노래를 쓰기 어렵다는 생각을 했다.'였던가요?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는 삶을 살고 있다보니,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인 '슬픈 이별 노래'를 만들고 부르는 게 쉽지 않다는 이야기를 했던 게 기억이 났습니다. 본인의 감정과 생각과, 본인에게 일어난 일들을 어떤 방식으로 승화시키는 게 예술가들의 작업이라면, 언니네 이발관, 더 정확하게는 프론트맨 이석원과 프랭크 오션이라는 가수는 그 감정과, 생각과, 사건들은 대체로 '비감'에 기반해왔던 예술가들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더 이상 작업을 하지 않는 이 뮤지션들에게 아쉬움을 느끼면서도, 이 사람들이 어쩌면, 아주 어쩌면, 본인의 삶 속에서 그런 슬픔이라는 감정을 떨쳐내는 과정에 있는 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어떤 치유의 과정을 겪으면서, 더 이상 표출하지 않기 위해서, 혹은 표출하지 않아도 되기에 음악을 멈춘 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아름답고 어두운 뒤틀린 환상'에 대해 노래하고, 누군가는 '우리는 영원히 살 것'이라고 노래하는, 다채롭고 풍성한 음악들이 우리의 삶을 훨씬 풍요롭게 한다는 데는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 같습니다. 슬픔과 우울을 다루는 예술가도 분명 있고, 또, 어떤 의미로는 다른 사람의 슬픔과 우울을 위로하는, 혹은 그저 옆에 있어주는 것 만으로도 역할을 다하는 예술도 분명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어떤 우울과 비감이 사람을 잡아먹는 성격의 것은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게 예술가든, 감상자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人在江湖身不由己
24/08/26 22:46
수정 아이콘
[아름다운 것]은 음반 발매 시점 기준으로 [아름다웠던 것]이지만 저에겐 계속 [아름다운 것]으로 남아 있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24/08/27 01:5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가끔씩보면 약간의 우울과 비감. 어두운 밤은 창작자에게 오랜 친구같기도 합니다. 어떤면에서 헝그리정신과도 맞닿아있는거같아요. 앨범이 대박나서 배가 부르면 이제 결혼도 하고 자식도 낳고 정신없이 행복하게 살잖아요? 그러면 어느덧 자주보던 오랜친구들도 일년에 한번 보게될까말까… 그렇게 점점 멀어지지요.  
마일스데이비스
24/08/27 03:57
수정 아이콘
자신의 이야기와 감정을 음악으로 쓰는 사람은 할말이 없어지는 순간 음악이 더이상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전문 작사가들은 사실상 이야기꾼이죠..
백년후 당신에게
24/08/27 07:43
수정 아이콘
악동뮤지션의 이찬혁도 그런이야기를 했죠. 그 때의 나와는 다르기에 예전처럼 노래가 나올 수 없다 라는.. 자신의 경험이던, 자신의 생각이던 계속 그때를 바라는 것 은 너무 욕심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리니시아
24/08/27 09:07
수정 아이콘
때에 맞는 그 무언가에 충실한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낍니다.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항상 그자리에 같은 모습으로 있길 바라지만 결국 아티스트도 사람이거든요. 항상 같을순 없겠죠.
문득 아래 링크 글이 생각나네요.

https://m.ppomppu.co.kr/new/bbs_view.php?id=gameforum&no=365950
24/08/27 17:20
수정 아이콘
nell의 Walk Through Me, Healing Process 앨범의 감성이 다시는 오지 않는 것이 당연함을 알면서도 너무나 아쉽단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480 [일반] 지금이 인적 서비스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시대가 아닐까요? [22] 럭키비키잖앙11453 24/10/17 11453 4
102478 [일반] 항상 건강 관리 잘 하세요 여러분 [237] 모래반지빵야빵야26778 24/10/17 26778 215
102477 [일반] 공립 고교가 사라지고 있는 일본 고교 야구 (feat. 고시엔의 존폐) [15] 간옹손건미축9313 24/10/17 9313 52
102476 [일반] [2024여름] 일본 시마네현 아다치 미술관 [16] Karolin8115 24/10/17 8115 6
102472 [일반] [2024여름]여름 막바지 대만 여행 [3] Nothing Phone(1)6840 24/10/16 6840 3
102470 [일반] <조커2 : 폴리 아 되>에 관한 옹호론 (1,2편 스포有) [106] 오곡쿠키9333 24/10/16 9333 7
102469 [일반] [2024여름] Fourteen years ago and now [5] 제랄드5201 24/10/16 5201 8
102468 [일반] 2024년 노벨경제학상 - 국가간의 번영 격차에 대한 연구 [30] 대장군10992 24/10/15 10992 2
102466 [일반] 카리스마와 관료제 그리고 그 미래 [14] 번개맞은씨앗8602 24/10/15 8602 0
102465 [일반] [2024여름] 아기의 터 파는 자세 / 덤 사진 (움짤 용량 주의) [23] 소이밀크러버9458 24/10/15 9458 27
102464 [일반] [2024여름] 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여해봅니다. [6] 뿌루빵5974 24/10/15 5974 10
10246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1. 등불반짝거릴 형(熒)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5542 24/10/15 5542 3
102462 [일반] PGR21 2024 여름 계절사진전을 개최합니다 及時雨4794 24/09/21 4794 0
102461 [일반] [역사]빔 프로젝터는 왜 TV보다 비쌀까? | 프로젝터의 역사 [8] Fig.18405 24/10/14 8405 8
102460 [일반] 가을 테마 음원이 오늘 발매되었는데... 지금이 가을 맞을까요?-_-;; [2] dhkzkfkskdl5773 24/10/14 5773 0
102459 [일반] [예능] 흑백요리사 감상문(스포 있음) [14] 라울리스타9528 24/10/14 9528 25
102458 [일반] 병무청 설립이래 최초 "자발적 대리입대" 적발 [43] 계피말고시나몬11293 24/10/14 11293 1
102457 [일반]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이 드라마 미쳤네요!!! [44] Anti-MAGE11684 24/10/14 11684 3
102456 [일반] [서평]《왜 내 사랑은 이렇게 힘들까》- 모든 애착이 다 가치가 있지만, 모든 사람이 다 안정 애착을 누릴 수 있다 [2] 계층방정5842 24/10/14 5842 4
102455 [일반] 전성기 이주일 선생님의 위상을 나름 느낄 수 있는 사진 [42] petrus12829 24/10/13 12829 4
102454 [일반] 요즘 본 영화 [8] 그때가언제라도11948 24/10/12 11948 2
102453 [일반] 『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18] meson12636 24/10/12 12636 36
102452 [일반] 고급 휘발유는 왜 비싼가? 및 잡설 [22] 좁쌀12424 24/10/12 12424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