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30 05:17:35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51
Subject [일반] 깃 우(羽)에서 파생된 한자들 - 자랑하다 등 (수정됨)

지난 글에서 다룬 한자는 꿩 적(翟)의 아랫부분인 새 추(隹)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나머지 윗부분, 깃 우(羽)에서 파생된 한자를 다루고자 한다. 羽 역시 隹처럼 부수 글자로 수많은 형성자에서 뜻을 담당하고, 隹와는 달리 현대에도 널리 쓰이고 있지만, 隹처럼 형성자의 성부가 되기도 한다.


羽의 시대에 따른 변화는 다음과 같다.

66a4b13871a11.png?imgSeq=31444

왼쪽부터 羽(깃 우)의 갑골문, 금문, 전국시대 초나라 죽간, 소전.

금문에서 전국시대 죽간 문자로 넘어가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 갑골문과 금문은 깃털이 난 새의 날개 한쪽 전체의 모양을 본뜬 모습이다. 그러던 것이 전국시대로 들어가면서 지금의 형태로 바뀌었다. 이는 학설의 변화로, 예전에는 羽는 갑골문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를 겪지 않았던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원래는 羽의 갑골문으로 보던 글자가 빗자루를 뜻하는 彗(살별 혜)의 갑골문으로 해석이 바뀌었다.

66a4b4ac1c36f.png?imgSeq=31445

살별 혜(彗)의 갑골문(a), 전국시대 초나라 문자(b), 설문해자 고문(c), 설문해자 소전(d), 설문해자의 이체자(e).

彗a만 보면 彗보다는 羽가 더 비슷해 보이지만, a부터 e까지의 변천을 보면 彗a가 羽의 갑골문에서 彗의 갑골문으로 바뀐 이유를 좀 더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彗 자를 설명할 때 하겠다.

이러다 보니 習, 翟 같이 갑골문에서부터 보이는 羽가 들어간 글자들은 실은 羽가 아니라 彗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다행히도 羽에서 소리를 가져온 형성자들은 소리로도 羽의 파생임을 보여주거니와 갑골문이나 금문에는 나오지도 않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도 없다.


羽(깃 우, 우화(羽化), 백우선(白羽扇) 등. 어문회 준3급)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羽+木(나무 목)=栩(상수리나무 허/우): 허허(栩栩), 포허(苞栩) 등. 어문회 특급

羽+玉(구슬 옥)=珝(옥이름 후): 어문회 준특급

羽+言(말씀 언)=詡(자랑할 후): 후후(詡詡), 장후(奬詡) 등. 어문회 특급

66a4ba15182e3.png?imgSeq=31447

羽에서 파생된 한자들.


珝(옥이름 후)와 詡(자랑할 후)는 대개는 사람 이름에 쓴다. 珝를 이름에 쓴 사람으로는 삼국지의 설종의 아들인 설후(薛珝), 선조가 가장 총애한 아들인 신성군 이후(李珝) 등이 있다.

詡를 이름에 쓴 사람으로는 전한의 장후(蔣詡), 후한의 우후(虞詡), 삼국지의 가후(賈詡), 북위의 효명제 원후(元詡) 등이 있다. 그런데 珝은 옥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들이 사람 이름에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詡는 '자랑하다', '속이다'라는 부정적인 뜻이 있음에도 사람 이름에 많이 들어간다. 이는 어찌된 일일까?


주나라 이래로, 중국과 한국에서는 사람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을 금기로 여겼기에 비교적 편하게 부를 수 있는 별명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는데 그것이 바로 자다. 삼국지의 제갈공명이나 조자룡 같은 이름이 다 자로, 본명은 제갈량, 조운이다. 이러한 자를 짓는 방법 중 하나가 원래 이름과 관계 있는 한자를 쓰는 것으로, 성이 달라도 이름이 같으면 자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詡를 이름으로 쓰는 사람들의 자는 어떨까? 먼저 중국인들이다.

장후 - 자 원경(元卿)

우후 - 자 승경(升卿)

가후 - 자 문화(文和)

다음으로는 한국인들이다.

장후 - 자 원경(元卿) : 중국의 장후와 성명뿐만 아니라 자까지도 다 같다

유지후(柳之詡) - 자 성화(聖和)

조후(趙詡) - 자 경화(景和)

공통점이 보인다. 모두 자에 卿(벼슬 경)이나 和(화할 화)가 들어간다. 詡는 이름으로는 卿이나 和와 연관되는 것이다.

이제 詡의 뜻을 다시 살펴 보면, '자랑하다' 외에도 '화하다', '넓다', '두루' 등의 뜻이 있다. 《예기》에 '덕이 발양해 만물에 넓게 퍼지니'(德發揚, 詡萬物)이란 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말로써 어떤 것을 자랑하면 널리 퍼지기 때문에 '크다', '넓다', '두루' 등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두루 퍼지면 조화롭기 때문에 '화하다'라는 뜻이 다시 파생되었다. 물론 자랑하는 것은 속이는 것이 될 수 있기에 '속이다'도 파생되긴 했다.

어쨌든 詡는 이름으로써는 '넓다' 또는 '화하다'의 의미로써 쓰였을 것이고, 그래서 이름이 詡인 사람은 자로 和를 골랐다. 경(卿)은 의미로는 詡와의 연관성을 잘 모르겠지만, 중국의 명재상 안영이 신하는 임금과 조화를 이루어야지 부화뇌동하지 말라고 했으니 신하인 경(卿)은 임금과 화합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詡의 짝이 되지 않았을까?

그런 의미에서 삼국지의 가후는 이름과 삶의 아이러니가 돋보인다. 이름이 후고 자가 문화이니, 이름이 널리 알려져서 세상을 조화롭게 하는 것이 이름의 뜻일 것 같다. 그러나 동탁의 잔당들을 위해 일하고 조조의 맏아들과 아끼는 장수를 죽이고는 조조와 그 나라를 섬겼기 때문에, 조조에게 중용을 받으면서도 자기 세력을 만들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조용하게 살면서 고위직을 역임하다 세상을 떠났다.

아예 작정하고 은거한 사람으로는 전한의 장후가 있지만, 결국 나중에 한을 뒤엎고 신이라는 새 왕조를 세우는 왕망의 전횡에 반발해 관직을 버린 것이라 은거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였다. 그는 경으로써 정권에 부화뇌동할 수 없었고, 조화를 이루는 것은 바로 정치를 그만두는 것이었다. 이름은 같을지라도 걷는 길은 달랐다.


※ https://namu.wiki/w/%E6%A0%A9https://namu.wiki/w/%E6%A9%A1 글 내용을 무단 도용해 저작권을 침해한 부분을 삭제했습니다. 해당 내용을 작성한 나무위키 편집자 aovalover님께 사죄드립니다.


요약

羽(깃 우)는 새의 날개를 본뜬 한자로, 금문에서 전국시대로 넘어가면서 모양이 많이 바뀌었다.

羽에서 栩(상수리나무 허)·珝(옥이름 후)·詡(자랑할 후)가 파생되었다.


※ 저작권을 침해한 무단 도용으로 일부 내용을 삭제했습니다.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리어
24/07/30 07: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살벌 혜의 시대에 따른 변화중 d,e는 나머지 것들과 달리 차이가 별로 없군요
계층방정
24/07/30 08:41
수정 아이콘
예. 그냥 대나무 죽(竹)을 얹은 거니까요. 그렇지만 a가 b에서 대나무 죽(竹)을 뺀 글자일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줬을 것 같습니다.
24/07/30 12:22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계층방정
24/07/30 21:20
수정 아이콘
항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4/07/30 12:2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삼국지에서 제일 좋아하는 인물이 가후랑 노숙이라 더 흥미롭군요 크크
계층방정
24/07/30 21: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도 가후 이름이 왜 자랑할 후(詡)일까 내심 고민했는데 이번에 답을 찾은 것 같아요.
전기쥐
24/07/30 13: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고보니 촉한 장군 관우(關羽), 한국 만화가 고우영(高羽榮) 등 이름에 우(羽)가 제법 쓰이네요. (고우영 삼국지에서 작가가 심심하면 관우랑 같은 한자가 이름에 들어간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죠)
계층방정
24/07/30 21:23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 이름에 깃 우(羽)가 들어가는 사람들도 있었죠! 깃 우 용례에 관우를 넣을까 말까 고민해놓고는 미처 생각을 못 했네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827 [일반] 주호민씨가 뻑가와 악플러들을 고소한 것 같습니다. [157] 짭뇨띠17572 25/08/21 17572 0
104825 [일반] 2만9천명의 소득세 신고를 놓친 세금어플 사건 [30] 안녕!곤10091 25/08/21 10091 26
104824 [일반] 우리는 수출을 다변화 할 수 있는 것이 맞는가? [45] 깃털달린뱀5251 25/08/21 5251 7
104823 [일반] 가정환경이 나쁜 사람은 거르라는 말에 대한 시시한 고찰 [39] 김아무개5620 25/08/21 5620 17
104816 [일반] [역사] 수학 그거 방정식만 풀면 되는 거 아니냐(아님) [12] Fig.14653 25/08/20 4653 9
104815 [일반] 우리나라 공공병원의 현실 [59] 진공묘유7566 25/08/20 7566 28
104813 [일반] 소원 성취. 차를 바꾸다. [56] 쉬군5280 25/08/20 5280 26
104811 [일반]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수학기초 [108] 번개맞은씨앗11076 25/08/20 11076 5
104810 [일반] 교토 포켓몬 맨홀 투어 [25] 及時雨5398 25/08/20 5398 10
104807 [일반] 남프랑스 감성의 대표가 된, 신성 로마 제국의 프로방스 [6] 계층방정3668 25/08/19 3668 11
104803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7] 공기청정기2818 25/08/19 2818 0
104802 [일반] 널리 알려졌거나 매력적으로 표현되었다면 때는 이미 늦은 것 [2] 번개맞은씨앗3838 25/08/19 3838 2
104800 [일반] 집에서 진행한 방탈출 놀이 - 육아만렙을 꿈꾸며 [17] 오타니3343 25/08/19 3343 20
104799 [일반] 약사들은 '우려' 소비자들은 '만족'... '창고형 약국' 구석구석 살펴보니 [64] 페이커756714 25/08/19 6714 0
104797 [일반] 교토, 여름이었다 [44] 及時雨5226 25/08/19 5226 8
104794 [일반] PGR21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친일 의견에 대해서.. [125] 헤일로10309 25/08/18 10309 9
104791 [일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27] 번개맞은씨앗5929 25/08/18 5929 1
104786 [일반] 요즘 젊은애들은 일본을 어떻게 생각할까? [126] 럭키비키잖앙11189 25/08/17 11189 3
104785 [일반] 이스라엘, ‘가자 주민 이주’ 5개국과 논의… ‘인종청소’ 현실화하나 [43] 베라히7433 25/08/17 7433 5
104784 [일반] <스탑 메이킹 센스> - 기묘한 폭발력과 에너지. [2] aDayInTheLife3472 25/08/17 3472 1
104781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4] 일신2005 25/08/17 2005 5
104778 [일반]  지포스 RTX 50 슈퍼 가격 유출 [14] SAS Tony Parker 4382 25/08/17 4382 1
104777 [일반] 루머: 갤럭시 S26 프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유출 [46] SAS Tony Parker 4857 25/08/17 48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