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26 22:41:11
Name pecotek
Subject [일반] 운동 고수보다 나보다 늦게 시작한 나보다 더 초보가 나를 조급하게 한다.
그 어떤분야에도 적용 되는 이야기지만 일단 제가 지금 퇴근 후 열심히 하고 있는 크로스핏
인생은 패배해도 게임(운동)은 지면 안돼 생각하면서 지금 당장은 못 이겨도 언젠가는 다 이겨질것들이라 혼자 생각하며 1년쯤 열심히 하고 있는데요. 원래 저보다 오래 운동한분들 저보다 중량 잘 치는거 보면 저 사람들은 나보다 오래 했지 나중에 내가 열심히 해서 잡으면 되지 라고 생각하는데 저보다 운동 오래 안 한 신입이 제 중량 따라잡으면 위기감을 느낍니다;;;;
최근에 와드 중량 공격적으로 올리고 있는 이유가 원래 있던 고인물들이 아니라(어차피 지금 못 이길거라고 생각함) 금시에 제수준 정도는 따라오는 신입이 크네요. 개네 때문에 억지로 원레 안하던 중량을 계속 도전하게 됩니다.
게임이던 운동이든 남자가 뭐 지려고 하지는 않잖아요. 하질 말던가 기왕 하는거 싹 다 이길 생각을 해야지!!!


한줄요약 - 어제의 나와의 싸움, 원래 잘하던 분들과의 경쟁보다 나보다 못하던 친구들이 치고 올라오는걸 볼때 더 분발하고 강제 성장하게 된다는 이야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라니라고
24/07/26 22:52
수정 아이콘
부상조심하시고 운동화이팅입니다!
샤크어택
24/07/26 23:05
수정 아이콘
Mat Fraser, Rich Froning 같은 사람 영상을 유튜브로 보시는 것도 부상 방지턱 역할은 될 것 같네요. 어차피 못 따라가니까요? 멋지십니다.
24/07/26 23:30
수정 아이콘
강호동이 씨름 늦게 했다고 누구보다 못했을까요...
24/07/27 00:05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건강을 위한 운동이시라면 모티브가 그닥 좋지 않아 보입니다
24/07/28 19:45
수정 아이콘
늦게 시작했으면 천하장사 못 됐을수도 있죠. 운동은 시기가 중요하니까요. 크크
댓글자제해
24/07/27 00:06
수정 아이콘
그러다 다치십니다 그럼 지금 정도도 유지못하세요
과거의 자신과 겨루시길 바랍니다
애초 시작한 이유는 건강이실테니까요
다람쥐룰루
24/07/27 01:15
수정 아이콘
도전은 항상 좋습니다만 부상은 항상 안좋습니더.
24/07/27 01:23
수정 아이콘
그 신입이 웨이트 했던 분이라면 어차피 금방 따라잡힙니다.
24/07/28 19:46
수정 아이콘
웨이트 했던 친구면 원래 운동 하던 애니까라고 정신 승리해보는데 대화해보니까 아니더라구요. 흐흐
유리한
24/07/27 01:31
수정 아이콘
복싱장에서 며칠 안된 중딩이랑 스파링한적이 있었는데.. 역시 젊음이란..
트윈스
24/07/27 01:37
수정 아이콘
크로스핏에서 무게 욕심을 도대체 왜..
24/07/28 19:46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은 못 하지만 최종적으로 와드 rxd만큼은 하고 싶습니다. 일단은 여자 rxd로 운동하는게 1차 목표에요
안군시대
24/07/27 03:16
수정 아이콘
근수저라는 말이 왜 있겠습니까.. 무리하지 마시고 해피운동하시길..
TWICE NC
24/07/27 03:21
수정 아이콘
개개인마다 근육량이 다릅니다
적당히 건강 찾으면서 하세요
김삼관
24/07/27 08:19
수정 아이콘
크로스핏이 경쟁적인 분위기가 있다보니pecotak님이 느끼는 감정이 이해가 가네요 크크
지그제프
24/07/27 08:40
수정 아이콘
지면 편해요.
24/07/27 08:56
수정 아이콘
저보다 훨씬 늦게 골프 시작한 운동 신경 좋은 친구에게 밀리기 시작했을 때 그 슬픔이란…ㅠㅠ
막 치기 시작했을때 골프는 운동 신경만 가지고 안 된다고 잔소리 했었는데..
24/07/28 19:50
수정 아이콘
원래 나보다 잘했던 사람에게 밀리는건 정신승리가 가능한데 신입에게 밀리는건 쫀심이 상하죠. 크크
시무룩
24/07/27 09:25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헬스를 좋아합니다
다른 사람이 얼마나 했는지 대화를 안하니 전혀 모르고 그냥 혼자 해서 마음이 편하네요 크크
24/07/28 19:47
수정 아이콘
헬스는….. 재미가 없어서
이렇게 오래 운동 못했을 것 같아요.
기사조련가
24/07/27 09:32
수정 아이콘
부상 당하는 전형적인 테크트리입니다 거기서 멈추시고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으세요(구속 올리려고 무리하다가 아킬레스건 파열 온 1인...)
자리끼
24/07/27 09:37
수정 아이콘
특히 구기종목에선 비일비재한 일이라 그런거에 스트레스 받으면 못하죠.
내가 남들보다 잘하는 특기 생각하면서 정신승리로 버팁니다 크크
랜슬롯
24/07/27 10:44
수정 아이콘
사실 크로스핏이나 구기종목 뿐만이 아니더라도 인간은 경쟁심을 느끼기가 쉽더라구요. 그게 인간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여기에 또, 운동을 시작하고 초창기에 체중감량이 빠르게 일어나는 단계를 넘어가면 몸의 변화가 천천히 느려지죠. 그 이후로는 몇년에 걸쳐서 변화가 일어나는데 열심히 운동하고 눈바디해도 발전이 잘 안느껴지지니 이때 중량이 모티베이션이 되어주더라구요.

중량은 일단 눈에 보이고, 오늘 이 무게를 들었으면 내일은 조금 더 들생각을 하면 자극이 되고..

사실 그래서 저는 무게를 다루는 웨이트같은 운동을 할때 중량에 욕심부리게 되는건 어느정도 필연적으로 온다고 생각합니다. 크로스핏은 심지어 시간 기록이나 이런 부분들이 더 중요하니..

다치지않는 선에서 하시길..
24/07/28 19:49
수정 아이콘
시간기록은….. 어차피 무게에서 졌다고 생각해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rxd를 향해서 열심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24/07/27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진장강곤곤래? 아니구나 장강후랑추전랑이구.
이정재
24/07/27 11:24
수정 아이콘
관절을 아껴야합니다 
distant.lo
24/07/27 12:40
수정 아이콘
그러다 골로 갑니다 크로스핏 해본 적은 없지만 보기만 해도 관절 소모 장난 아닐 것 같은데요 웨이트 러닝처럼 혼자 해서 저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게 저는 좋더군요 과거의 나를 천천히 넘는 것 하나로도 충분합니다
24/07/27 13:53
수정 아이콘
크로스핏은 부하가 심하게걸리는데 경쟁운동이라..부상위험이 너무 높아요.. 경쟁심, 향상심 높은사람들이 골로가기 딱좋은 운동입니다
주변사람 의식없이 자기페이스대로 자신과의 싸움을 할줄아는사람만이 크로스핏을해야한다고 봐요 크크
환경미화
24/07/27 14:20
수정 아이콘
제목부터 읽기가 힘들어서....
당근케익
24/07/28 04:05
수정 아이콘
운동목적이 그냥 '건강'을 위한거라 마음 먹으면 세상 편해지더군요
30넘어가면서 그냥 그 생각뿐입니다
워낙 제가 경쟁심 없는 편이긴 한데...
소오르트
24/07/28 10:58
수정 아이콘
경쟁은 어제의 자기자신과 하셔야 되요. 타인이랑 경쟁하면 크로스핏 매우 위험한 운동이에요.
24/07/28 19:48
수정 아이콘
어제의 나와 경쟁하면 어느 정도 레벨에서 자기합리화해서 잘 안 느는것 같더라구요. 
Paranormal
24/07/28 19:20
수정 아이콘
다치면 지는 거에요. 운동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하는거지 자랑을 할려고 하면 수명이 줄어듭니다
24/07/28 19:57
수정 아이콘
자랑 목적이 없으면 지금처럼 열심히 안 할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머슬업을 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풀업 땡기고 있습니다.(현실은 지금 노밴드 스트릭으로 5개 밖에 못함, 원래 하나도 못 했는데 꾸준히 하니까 늘긴 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62 [일반] 상반기에 찍은 사진들 [16] 及時雨4647 25/07/06 4647 15
104461 [정치]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41] 물러나라Y11698 25/07/06 11698 0
104460 [일반]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감상(긴 글 주의!) [34] 카페알파7585 25/07/06 7585 9
104459 [일반] [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3816 25/07/06 3816 1
104458 [일반] 오징어게임 시즌 3 감성평 (스포일러 없습니다.) [40] 성야무인8311 25/07/05 8311 3
10445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2)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4) [3] 계층방정4637 25/07/05 4637 6
104456 [일반] 멀티탭에 에어컨 꽂아두신 거 아니죠? [95] 밥과글15394 25/07/05 15394 47
104455 [일반]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11] 번개맞은씨앗6979 25/07/05 6979 16
104454 [일반]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155] 전기쥐16083 25/07/04 16083 9
104453 [정치] 박선원 "멀쩡한 드론통제차량 폐차 시도…증거인멸 정황" [155] 로즈마리16749 25/07/04 16749 0
104452 [정치] 북극항로, 대왕고래와 같은 대국민 사기극이 될 것인가? [47] 삭제됨9621 25/07/04 9621 0
104451 [일반]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 못해" [65] EnergyFlow9963 25/07/04 9963 0
104450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8 [10] Poe4557 25/07/04 4557 20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61] 철판닭갈비10289 25/07/04 10289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41] 깃털달린뱀8091 25/07/04 8091 5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52] Davi4ever14515 25/07/03 14515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10] 번개맞은씨앗4781 25/07/03 4781 2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9] No.99 AaronJudge5339 25/07/03 5339 10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5] 휘군9482 25/07/03 9482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5] 철판닭갈비9841 25/07/03 9841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7] 물러나라Y11177 25/07/03 11177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71] lightstone13483 25/07/02 13483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4] aDayInTheLife4641 25/07/02 4641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