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6/16 21:36:2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481348360
Subject [일반] <포트레이트 인 재즈> 읽고 잡담. (수정됨)
<포트레이트 인 재즈> 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와다 마코토가 선정한 55명의 재즈 뮤지션에 대한 에세이입니다. 아주 긴 이야기도 아니고, 짧게 짧게 표현되어 있는데다가, 저는 재즈를 잘 모르니, 그냥 저냥 쑥쑥 읽어나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그러니까, 조금은 개인적인 경험들이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1.
제 음악 인생에서 자랑할 만한 것 중 하나는 폴 매카트니의 내한을 갔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후로도 몇몇 공연을 갔고, 그 공연 중에 티켓팅이 빡신 것도 있긴 했습니다만, 음악 좀 한다고 하는 사람 중에 그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니까요. 여튼, 그 공연 중에 기억에 남는 순간이 두 장면 있습니다. 첫번째는 아마 예상하실, 헤이 주드 의 떼창이구요, 두 번째는 더 롱 앤 와인딩 로드였습니다. 그러니까, (폴 경 본인은 편곡에 불만을 좀 가졌다곤 하지만) 개인적인 최애곡이라 전주를 듣는 순간에 울컥해버렸거든요. 그 때의 공연이 어땠는지, 그 곡의 곡이 어땠는지는 조금씩 기억에 풍화되어 가는 느낌이 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그 전주의 순간은 절대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2.
앞서도 언급했지만, 저는 재즈를 잘 모릅니다. 그런데 어쩌다보니, 서울재즈페스티벌에 간 적이 있습니다. 다만, 지금도, 그때도, 라인업보다는 그냥 분위기를 즐기는 느낌이 더 강하긴 했습니다. 여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그래도 이것저것 가기 전에 이런저런 음악을 들어보고는 했습니다. 그리고, 토요일(로 기억하는데) 메인 스테이지의 마지막 라인업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그때의 음악은 음원으로 듣는 거 보다 훨씬 좋았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당시의 음악은 냇킹콜의 음악, 마지막 공연자는 냇킹콜 트리뷰트 밴드였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냇킹콜의 음악을 다시 들어도, 그때의 분위기가 잘 느껴지진 않더라구요.

저는 원래는 음원파입니다. 그러니까, 음악적으로 '연출'한 흐름을 좋아하고, 또, 잘 준비된 상황에서의 음악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런 경향이 있긴 합니다만, 이 두 번의 경험은 저에게 '라이브도 괜찮을지도?'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 경험들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그 이후로 조금 더 제가 다양하게 '찾아' 들어보려고 하고, 또 많은 공연을 찾아보게 된 경험들인 것 같거든요.

여전히, 재즈는 복잡하고 어렵긴 합니다. 몇 년판, 어디 레코드사 무슨 연주, 누구와 협연한 것 등등, 조금 어렵고, 솔직히 (본인들이 인정하듯) 여기 있는 픽들이 '대중픽'이라기에도 조금 애매한 앨범들이 있긴 할 거에요. 원래 하루키가 좀 마이너한 감성을 좋아하기도 하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세상이 있다는 걸 알고, 또 살짝 엿볼 수 있다는 재미는, 그리고, 그 세상에 발을 조금이나마 더뎌봤던 기억과 그 재미를 읽으면서 느낀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우 고우
24/06/17 09:23
수정 아이콘
포트레이트 인 재즈, 글도 좋고 그림도 좋죠.
쳇 베이커 글과 그림은 아직도 선명합니다.
사다드
24/06/17 10:29
수정 아이콘
친구가 재즈기획사 대표여서 아주 가끔 공연을 볼 기회가 있는데 막귀에 재즈를 전혀 모르는 제가 들어도 너무 좋다는 공연들이 많더라구요. <블루 자이언트>도 너무 좋았구요.
79년생
24/06/18 22:36
수정 아이콘
일단 책이 귀여워서 저도 소장중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804 [일반] 넷플릭스 정치 드라마 '돌풍' 후기 (스포일러 주의) [42] HesBlUe15246 24/07/01 15246 12
101803 [일반] 한국 최초의 버추얼 바둑 대회가 열립니다. [35] 물맛이좋아요11216 24/07/01 11216 6
101802 [일반] 울었습니다... (인사이드 아웃2 스포 있음) [42] goldfish9731 24/07/01 9731 3
101801 [일반] [서평]《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남들을 배려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기분 수업 [10] 계층방정9231 24/07/01 9231 6
101799 [일반] 책 출판 기념 나눔합니다.(마감 및 추첨 결과) [57] 더미짱11973 24/06/30 11973 29
101798 [일반] 의외로 우리 곁에 가까이 다가온 중국차? [84] 사람되고싶다18363 24/06/30 18363 23
101797 [일반] 현 시대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글 [101] 육돌이18630 24/06/30 18630 4
101796 [일반] 입대 D-1, 잠 안 와서 써보는 잡담 [70] No.99 AaronJudge29317 24/06/30 29317 47
101795 [일반] [팝송] 자라 라슨 새 앨범 "VENUS" 김치찌개7678 24/06/30 7678 2
101794 [일반] 이런 저런 잡담 [8] 하위1%11128 24/06/29 11128 16
101793 [일반] 요즘 직접 작사를 하고 있습니다. [9] dhkzkfkskdl9062 24/06/29 9062 23
101792 [정치] 전관예우라는 용어를 안썼으면 합니다. [69] 헝그르르15173 24/06/29 15173 0
101791 [일반] 사기꾼 형벌이 낮은 이유 [74] 멜로17743 24/06/29 17743 26
101790 [정치] MBC를 과연 지킬 수 있을까요? [50] 홍철14534 24/06/29 14534 0
101789 [일반] 한 달 전 글 A/S. 중국에서 입국 후 신분을 세탁한게 확인된 앨리스 궈 필리핀 시장 [11] 매번같은12761 24/06/29 12761 6
101788 [일반] 삼국지 장각 시점에서 본 황건적의 난 [1] 식별10049 24/06/28 10049 11
101787 [일반] 하락세가 멈추지 않는 엔화 [66] 及時雨16318 24/06/28 16318 0
101786 [일반] 행복하게 잘 살고 있다는 주식 사기범 이희진 근황 [58] GOAT15823 24/06/28 15823 6
101785 [일반] 已(이미 이)에서 파생된 한자들 - 써 이, 별 태/나 이 등 [8] 계층방정8181 24/06/28 8181 5
101784 [정치] 김진표 전 국회의장 "尹, '이태원참사 조작가능성' 언급" [107] 빼사스20858 24/06/27 20858 0
101783 [일반] <핸섬가이즈> - 오묘하고 맛깔나는 (호불호는 갈릴) B급의 맛.(노스포) [24] aDayInTheLife10416 24/06/27 10416 4
101782 [일반] 물고기 입속에서 발견된 쥐며느리? [19] 식별14789 24/06/27 14789 11
101781 [정치] 美 6개 경합주 유권자 "민주주의 위협 대처, 트럼프 > 바이든" [29] 베라히12050 24/06/27 1205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