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6/16 21:36:2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481348360
Subject [일반] <포트레이트 인 재즈> 읽고 잡담. (수정됨)
<포트레이트 인 재즈> 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와다 마코토가 선정한 55명의 재즈 뮤지션에 대한 에세이입니다. 아주 긴 이야기도 아니고, 짧게 짧게 표현되어 있는데다가, 저는 재즈를 잘 모르니, 그냥 저냥 쑥쑥 읽어나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그러니까, 조금은 개인적인 경험들이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1.
제 음악 인생에서 자랑할 만한 것 중 하나는 폴 매카트니의 내한을 갔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후로도 몇몇 공연을 갔고, 그 공연 중에 티켓팅이 빡신 것도 있긴 했습니다만, 음악 좀 한다고 하는 사람 중에 그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니까요. 여튼, 그 공연 중에 기억에 남는 순간이 두 장면 있습니다. 첫번째는 아마 예상하실, 헤이 주드 의 떼창이구요, 두 번째는 더 롱 앤 와인딩 로드였습니다. 그러니까, (폴 경 본인은 편곡에 불만을 좀 가졌다곤 하지만) 개인적인 최애곡이라 전주를 듣는 순간에 울컥해버렸거든요. 그 때의 공연이 어땠는지, 그 곡의 곡이 어땠는지는 조금씩 기억에 풍화되어 가는 느낌이 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그 전주의 순간은 절대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2.
앞서도 언급했지만, 저는 재즈를 잘 모릅니다. 그런데 어쩌다보니, 서울재즈페스티벌에 간 적이 있습니다. 다만, 지금도, 그때도, 라인업보다는 그냥 분위기를 즐기는 느낌이 더 강하긴 했습니다. 여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그래도 이것저것 가기 전에 이런저런 음악을 들어보고는 했습니다. 그리고, 토요일(로 기억하는데) 메인 스테이지의 마지막 라인업이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그때의 음악은 음원으로 듣는 거 보다 훨씬 좋았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당시의 음악은 냇킹콜의 음악, 마지막 공연자는 냇킹콜 트리뷰트 밴드였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냇킹콜의 음악을 다시 들어도, 그때의 분위기가 잘 느껴지진 않더라구요.

저는 원래는 음원파입니다. 그러니까, 음악적으로 '연출'한 흐름을 좋아하고, 또, 잘 준비된 상황에서의 음악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런 경향이 있긴 합니다만, 이 두 번의 경험은 저에게 '라이브도 괜찮을지도?'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 경험들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그 이후로 조금 더 제가 다양하게 '찾아' 들어보려고 하고, 또 많은 공연을 찾아보게 된 경험들인 것 같거든요.

여전히, 재즈는 복잡하고 어렵긴 합니다. 몇 년판, 어디 레코드사 무슨 연주, 누구와 협연한 것 등등, 조금 어렵고, 솔직히 (본인들이 인정하듯) 여기 있는 픽들이 '대중픽'이라기에도 조금 애매한 앨범들이 있긴 할 거에요. 원래 하루키가 좀 마이너한 감성을 좋아하기도 하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세상이 있다는 걸 알고, 또 살짝 엿볼 수 있다는 재미는, 그리고, 그 세상에 발을 조금이나마 더뎌봤던 기억과 그 재미를 읽으면서 느낀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우 고우
24/06/17 09:23
수정 아이콘
포트레이트 인 재즈, 글도 좋고 그림도 좋죠.
쳇 베이커 글과 그림은 아직도 선명합니다.
사다드
24/06/17 10:29
수정 아이콘
친구가 재즈기획사 대표여서 아주 가끔 공연을 볼 기회가 있는데 막귀에 재즈를 전혀 모르는 제가 들어도 너무 좋다는 공연들이 많더라구요. <블루 자이언트>도 너무 좋았구요.
79년생
24/06/18 22:36
수정 아이콘
일단 책이 귀여워서 저도 소장중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793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95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21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949 4
104163 [일반] 새 교황에 미국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은 레오 14세 [42] Davi4ever8082 25/05/09 8082 2
104162 [일반] [잡담]우리가 사는 시대가 미래에서 보면 벨에포크가 아닐까 생각하곤 합니다 [8] 여기3627 25/05/09 3627 3
104161 [일반] [컴퓨터 계층]기가바이트 그래픽카드가 죽었습니다 [15] Be quiet4513 25/05/08 4513 2
104160 [일반] 회피와 기회 [12] 번개맞은씨앗8647 25/05/07 8647 6
104159 [일반] 지나가다 에어팟 맥스 사용해본 후기 [23] 김삼관10555 25/05/07 10555 0
104158 [일반] 트럼프를 분석하는것 만큼 무의미한건 없다 [74] 고무닦이11238 25/05/06 11238 10
104157 [일반] 2025년 올해의 백상 대상작품 소개 (스포) [31] 바람돌돌이9777 25/05/06 9777 1
104156 [일반] 카페인을 끊기위한 노력 [54] reefer madness10572 25/05/06 10572 11
104155 [일반] 그 날, 1편 예의바른 아저씨가 된 그 날 [12] 똥진국6249 25/05/05 6249 9
104154 [일반]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11] 식별12194 25/05/05 12194 56
10415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5)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4 [3] 계층방정3721 25/05/05 3721 5
104152 [일반] 방송인 백종원은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21] 럭키비키잖앙19765 25/05/04 19765 16
104151 [일반] 이미 지피티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네요 [28] 김아무개11707 25/05/04 11707 1
104150 [일반] 트럼프 내년 예산안에 과학계 '발칵'..."멸종 수준의 사건" [99] 전기쥐11811 25/05/04 11811 8
104149 [일반] 만독불침은 정말 있었다! [17] 如是我聞6991 25/05/04 6991 1
104148 [일반] 분식의 추억 [2] 밥과글5227 25/05/03 5227 5
104147 [일반] 사법고시 최연소+김앤장 -> 통역사 [34] 흰둥11288 25/05/03 11288 7
104146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4)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3 [5] 계층방정3457 25/05/03 3457 5
104145 [일반] 생각보다 심각한 미국의 마약 문화와 그것을 매우 경계해야 하는 이유 [53] 독서상품권11208 25/05/02 11208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