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6/08 21:56:12
Name 카미트리아
Link #1 https://novelpia.com/novel/233251
Subject [일반] [웹소설] 사이버펑크를 살아가는 불명예퇴직자를 위한 무일푼 생활 안내서.. (수정됨)
제목: 사이버펑크를 살이가는 불명예퇴직자를 위한 무일푼 생활안내서
연재: 노벨피아
장르: 사이버펑크
작가: 사만곰

현실은 검열되고 진실은 생산될수 있는 시대
- 작품 전반 -

밤에 잠을 푹 잘수 있게 되는거죠. 그걸로 충분해요
- 아서 머피 -

사망자는 없거나 너무 많다.
- 보안팀 -

기계는 생산하고 사람은 향유한다.
중요한 것은 즐기는 것이야
- 권터 -

양은 늑대가 아닌 양이 이끌어야 합니다. 벨웨더가 이끄는 양이 되겠습니다.
효율적인 것은 선, 비효율적인 것이야말로 악! 최대 효율성을 기대하겠다!
- 벨 웨더 -

제가 요즘에 가장 잘 보고 있는 사이버 펑크 물입니다.

메가콥과 신체이식 등 흔한 사이버펑크의 클리셰를 차용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부분에서 다른 사이버 펑크 물입니다.

그것은 메가콥이 절대 악이지도 인간의 목숨이 크래딧보다 싸지도 않고
미래가 없지도 않습니다.

그 전쟁으로 인구와 지구 환경은 박살 낫고
미연방정부는 힘을 잃어서 초거대기업들이 도시를 지배하지만..

초거대기업들은 각자 자기들의 선을 위해서 노력합니다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직원-시민과 직원들에게 안정과 복지를 제공하기도 하고
환경을 복구하기 위해서 노력하기도 하는 등..다들 자신의 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주인공인 아서 머피는 초거대기업에서 자라고 부속 학교에서 교육 받고
보안팀에서 채용 되었지만
음모에 휩쓸려서 사망(?) 하고 불명예퇴직을 당하고
그 복수를 위해서 움직이다가
자신만의 선과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총체적 능력 부족을 개선하면서
침대에 누워서 잠을 잘자기 위해서
삶을 향유하는 일정을 그립니다

아서는 결코 혁명적이지도 시스템에 반항적이지도 않으며
저 세계의 시스템도 악하지도 선하지도 않습니다.
다만 각자의 목적을 위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사이버펑크를 좋아하신다면
아서의 모험을 같이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아주 잘 만들어진 세상에서
아주 잘 자란 아서 머피가 반겨 줄 것입니다.

최대의 효율성을 위하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를마시는새
24/06/08 22: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최근 본 사이버펑크 웹소설 중에서는

[배드 본 블러드]가 단연 압도적으로 재밌었습니다.

추천해주신 소설도 찍먹해봐야겠네요.
카미트리아
24/06/09 00:11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백수귀족님 작품이네요..
테네브리움
24/06/09 05:50
수정 아이콘
둘 다 괜찮습니다. 근데 흡입력이나 캐릭터성 등 순수 재미는 전자가 앞서요. 후자도 디스토피아느낌 제대로 살려주는 재밌는 글이지만요.
최대 생산성을 위하여 둘 다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김치와라면
24/06/09 10:51
수정 아이콘
저도 배드 본 블러드 재밌게 보는 중입니다
피자니코
24/06/09 17:33
수정 아이콘
거대 기업이 도시를 지배하고, 신체이식이 흔한 세계관에서, 죽었다 살아난 인물 이름이 머피...?
주인공이 경찰 비슷한 거면 이거 완전...
及時雨
24/06/10 16:37
수정 아이콘
치킨을 좋아하겠군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057 [정치] 용산과 외교부의 ‘역사 매국’…사도광산 찬성 정해놓고 대놓고 거짓말 [61] Crochen15412 24/08/09 15412 0
102056 [일반] 아파트 전기차 화재 사건, 당일 스프링클러를 꺼서 동작하지 않은것으로 밝혀짐 [183] Leeka15484 24/08/09 15484 1
102055 [정치]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 "친일인명사전, 억울한 친일 매도 안돼" [47] 주말11761 24/08/09 11761 0
102053 [정치] 중독법이 재발의 되었습니다. 그런데 훨씬 나아진. [24] manymaster11093 24/08/09 11093 0
102052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22. 익힐 습(習)에서 파생된 한자들 [4] 계층방정6772 24/08/09 6772 2
102051 [일반]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수렵채집사회와 ADHD [5] 식별22511 24/08/09 22511 14
102050 [일반]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 너무 많은 걸 대면한, 그때의 소년(들). [4] aDayInTheLife7971 24/08/09 7971 2
102048 [일반] 일본 미야자키현 규모 7.1 지진 발생, 거대지진주의 [25] 껌정12862 24/08/08 12862 1
102047 [정치] 김경수·조윤선, 광복절 복권 대상에 포함 [15] 버들소리10837 24/08/08 10837 0
102046 [정치] 권익위 직원이 자살했습니다. [29] 어느새아재14687 24/08/08 14687 0
102045 [정치] YK스틸 당진 이전, 노인과 바다 부산 [41] 사람되고싶다10424 24/08/08 10424 0
102044 [일반] AMD 9600X,9700X 벤치마크 요약 [39] SAS Tony Parker 9506 24/08/08 9506 2
102043 [일반] 역대 최대 규모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중인 우크라이나 [129] EnergyFlow18677 24/08/08 18677 2
102042 [정치] '세관 마약' 수사 외압 의혹 外 [54] 소금물12458 24/08/08 12458 0
102041 [정치] 에너지 포퓰리즘, 이대로 괜찮을까요? [95] Dr.박부장13625 24/08/07 13625 0
102040 [일반] 美민주 부통령 후보에 월즈 미네소타 주지사…대선 대진표 완성 [38] 及時雨10343 24/08/07 10343 1
102039 [일반] [서평]《영화가 사랑한 클래식》 - 영화와 클래식을 이어주는 다리 [6] 계층방정6360 24/08/07 6360 3
102038 [일반] 펜타포트 2024 짧은 후기 [27] 슬로8683 24/08/07 8683 3
102037 [일반] 올 초 뉴진스 정산 추산 금액 보면 연예계 지망생이 아이돌 판으로 가는 게 이해가 가죠. [80] petrus17773 24/08/07 17773 0
102036 [일반] [BOJ 우치다 부총재 리뷰] 일본 사실상 금리 인상 철회 [53] 김유라12279 24/08/07 12279 3
102035 [일반] 유럽사는 딱 3가지만 알면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28] Fig.114431 24/08/06 14431 20
102034 [일반] 102032 관련) 한국게임소비자협회 관련 논란 (프로젝트 문, 뿌리) [33] 푸른잔향12345 24/08/06 12345 5
102033 [일반]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것 중 하나 [41] 흰둥14766 24/08/06 14766 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