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15 15:00:04
Name Kaestro
Link #1 https://kaestro.github.io/%EC%8B%A0%EB%B3%80%EC%9E%A1%EA%B8%B0/2024/05/15/%EC%83%88%EB%A1%9C%EC%9B%80%EC%9D%84-%EA%B2%BD%ED%97%98%ED%95%98%EB%A9%B0-%EB%82%98%EB%A5%BC-%EB%8F%8C%EC%95%84%EB%B3%B4%EB%8B
Subject [일반] 비어있는 공백기가 아니라 충만한 탐색기(1)
[지난 2년의 공백기 동안 뭘하고 보내셨나요?]

구직을 위해 면접을 보면 제게 늘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있습니다. 그것은 ‘이전 직장을 퇴사한 이후에 공백기가 꽤 긴데, 미기입 하신 건가요? 혹시 이 기간 동안에는 무엇을 하셨나요?’입니다. 이에 대해 저는 ‘그 기간은 제게 있어서 자신을 되돌아보기 위해 기존에 하지 못했던 것들을 시도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시간으로, 경력적으로는 빈 기간이었을 수 있지만 제 인생에서는 충만했던 탐색기였습니다’라고 대답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에게 탐색기가 필요했던 이유]

전에 저는 외로워서 퇴사했고, 이젠 아닙니다라는 글에서 밝혔던 것처럼, 저는 인간으로 살아가는 데 스스로를 힘들게 만드는 요소들이 많았습니다. 다른 사람을 믿지 못해 제 고민을 이야기하지 않았고, 문제의 해결은 큰 노력없이 시간이 해결해주기만을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은 저를 고립시키고, 더욱 더 외로워지게 만들었습니다. 제게 변화가 필요했다는 것은 확실했고, 제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현재 속한 환경에서 벗어나는 것이었습니다.

[굳이 새로운 환경을 찾은 이유]

기존의 환경 내에서도 변화를 이루는 것이 가능했을지도 모르지만, 저 같은 경우는 환경을 바꿀 때 생기는 변화들을 통해 현재의 사람이 되어오는 자기 갱신의 경험들을 체험해온 것이 이런 도전을 선택하게 된 원인입니다. 구체적인 예시로 고등학교는 공주에 있는 한일 고등학교라는 조그만 기숙학교를, 군 생활은 카투사(KATUSA)로 복무하면서 겪은 경험들이 기존의 환경과는 완전히 달랐고 그곳에서 생활하면서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들을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한일 고등학교는, 지금은 바뀌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전원이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학원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을 해야만 하는 환경이란 점이 기존과 달랐습니다. 이는 중학교 때까지 무언가를 배우기 위해서는 항상 학원부터 찾았던 저에게는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한일고를 다니면서 저는 매일 아침에 그 날의 할 일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피드백하는 것을 습관으로 만드는 과정을 거쳤고, 이를 통해 저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나름 괜찮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KATUSA는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의 약자로, 한국 군대의 병력을 미군에게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군인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저는 미국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새로운 사람들과 친구가 되는 경험을 통해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낚시와 사냥을 좋아하는 상사와 휴일에 화천 산천어 축제를 가거나, 서울 구경을 하면서 나에게 익숙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독특하고 신기하며 당연하지 않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저는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렀기 때문에 새로운 사람과 환경에서 변화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마치며]

이처럼 기존에 속한 환경을 바꾸는 것을 통해 새로운 것을 체험하고,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재구축하는 경험은 저에게 항상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년 전에 퇴사를 하고 탐색기를 가지기 위해 새로운 환경으로 떠난 것은 제게 있어서 굉장히 인생을 충만하게 채워주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탐색기를 통해 어떤 변화를 이루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은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은때까치
24/05/16 11:18
수정 아이콘
정말 죄송하지만... 자소서를 보는 면접관의 입장에서는 "공백기동안 아무것도 안 하면서 푹 쉬었습니다"로 읽히는 글이긴 하네요.
그게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그냥 그렇다는 거지...
24/05/16 12:01
수정 아이콘
아 맞는 말이라 생각합니다 크크
그래서 면접 떨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하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884 [일반] PC방 숫자가 엄청나게 줄어들었습니다. [56] 버들소리16456 24/07/14 16456 2
101883 [일반] [팝송] 알렉 벤자민 새 앨범 "12 Notes" 김치찌개7113 24/07/14 7113 0
101882 [일반]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4] Schol13820 24/07/14 13820 27
101881 [일반] 퇴직과 이직 즈음에서 [8] 흰둥8740 24/07/13 8740 11
101880 [일반] [눈마새] 나가 사회가 위기를 억제해 온 방법 [10] meson8530 24/07/13 8530 20
101879 [일반] 끝없는 달리기 고통의 원인 이제 마지막 선택지만 남았네요 [18] 내우편함안에9646 24/07/13 9646 12
101877 [일반] <플라이 미 투 더 문> - 가벼운 음모론을 덮는 로코물의 달콤함. [2] aDayInTheLife9079 24/07/13 9079 1
101876 [일반] 부천시체육회 여성팀장, 직원 성추행으로 정직 2개월 징계 [49] pecotek17050 24/07/12 17050 29
101875 [정치]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충격적이네요 와우. [128] 아수날21914 24/07/12 21914 0
101874 [일반] 읽지도 않은 소설책 추천하기 [12] 쿨럭11230 24/07/12 11230 1
101873 [일반] 진주 고추 크림치즈 머핀 후기 [43] 김삼관12566 24/07/12 12566 6
101872 [정치] 의정갈등의 숨겨진 본질 '세대 간 부양 갈등' [34] 여왕의심복17645 24/07/12 17645 0
101870 [일반] 깃발나부낄 언(㫃)에서 파생된 한자들 - 아침해빛날 간(倝), 아침, 햇빛, 노을 등 [13] 계층방정8474 24/07/12 8474 5
101869 [일반] [웹소설] 2개 추천합니다 [22] 소금물9131 24/07/12 9131 0
101867 [정치] 이재명이 정말 차기 대통령 될수있을까요? [186] 아수날18953 24/07/11 18953 0
101866 [일반] Z플립6 파리 올림픽 에디션 [30] 겨울삼각형12699 24/07/11 12699 0
101865 [일반] 가속 페달을 핸들로 옮기는 아이디어 (추가) [203] VictoryFood20069 24/07/10 20069 6
101864 [정치] 0709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토론회 후기 [50] 강동원15632 24/07/10 15632 0
101863 [일반] 급발진 주장 사고는 나이와 상관있을까? (+ 음주운전) [33] 덴드로븀12824 24/07/10 12824 4
101862 [일반] 카이엔 출고기 [51] Thenn15144 24/07/10 15144 18
101861 [일반] 진짜 위기라는 갤러리아 백화점 현황 [80] Leeka18780 24/07/10 18780 1
101860 [일반] 우주적 공포 창작 단편 "토미에, 각성" [8] 스폰지뚱8271 24/07/10 8271 3
101859 [일반]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7828 24/07/10 7828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