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06 15:14:04
Name 니드호그
Subject [정치]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는다?
요즘 의대 정원 문제 때문에 여러 가지로 시끄럽지요.
저나 제 가족 중에선 아직 건강상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언제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니까 불안하긴 합니다.
왜 이렇게 양쪽 다 물러나지 않는가, 생각을 해봤는데. 의외로 간단하더군요.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으니까….

미스터 션샤인이라는 드라마가 있었지요.
빼앗긴 건 되찾을 수 있으나, 내어주면 되찾을 수 없다…라는 대사가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양보라는 개념이, 내어준다는 것과 거의 동일한 거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리고 이 대사의 교훈을, 다들 충실히 지켜서, 다들 빼앗길 수는 있지만 양보할 수는 없다는 자세를 지키고 있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비슷한 개념의 문제로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때때로 기사로도 나오는, 땅 주인이 진입로를 막아서 생기는 다툼이네요.

땅 주인 입장에선 자신의 합법적인 권리인데, 예전에 양보해 버린 탓에 지금 손해를 보고, 지금이라도 권리를 주장하지 않으면 앞으로도 손해를 보는 상황이 되어버렸다고 생각한다면 막아버리는 게 합리적이기는 하군요….

이런저런 대치 상태에서 결국 한쪽이 양보해서 문제를 해결한 경우, '저쪽에서 양보를 해서 일을 마무리 지었으니까, 다음에는 이쪽에서 좀 양보해야겠구나..'라는 식으로 생각해서 다음에 양보하는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 생각해 보면, 없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게 없다면 사회 유지 자체가 힘들 거라는 생각도 들어서….

그렇지만 그건 결국 상대방의 선의에 기대자는 사고방식인데, 그래도 괜찮은 걸까? 그렇게 해서 정말 잘 될까? 싶기도 하네요.

거기다 현재 한일 관계도 왠지 한국에서 일방적으로 양보해서 일방적으로 손해만 볼 것 같은 기분이고.
지금은 거의 밈이 되어버린, 이통사 수입이 남으면 틀림없이 요금을 내릴 거라는 말도 비슷한 개념인데 결국 요금은 딱히 내리지 않았고.

개인 대 개인이라면 그래도 어느 정도 먼저 양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은데, 집단 대 집단이라면 역시 그건 무리인 건가 싶습니다. 거기다 생각해 보니까 양보하기 시작했다간 어느새 가스라이팅 당해있는 경우도 있을 것 같네요. 거기다 법적으로 따졌을 때도,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는 게 맞는 것 같고.

결국 양보 없는 각자도생이 정답인 건가 싶습니다. 인정하고 싶지 않고, 그런 사회는 얼마 못 갈 것 같긴 합니다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5/06 15:37
수정 아이콘
한국 정치를 보면 양보와 타협이 아니라 투쟁, 승리와 패배로 돌아가는 것 같긴 합니다. 둘의 의견이 다를 땐 그 중간지점으로 합의하는 게 아니라, 싸우다 서로를 못죽여서 교착상태가 굳어지는 느낌이랄까. 그게 겉으로 보기엔 잘 정리되는 것 같이 보이는데 속을 까보면 전혀 다르죠.

개인적으론 군부독재 이래로(더 이전으론 독립운동부터) 정치활동이라는 게 협의가 아니라 투쟁과 억압의 싸움일 수밖에 없던 역사의 영향이라고 봅니다. 때려죽이려는 쪽 앞에서 굽히면 그대로 얻어맞아 죽을 뿐이니까요.
줄리엣
24/05/06 17:01
수정 아이콘
옳은 의견이 있고, 틀린 의견이 있을때 두 의견의 중간값을 합의점으로 하여 합의하라는것도 웃기는 얘기이긴합니다.

충분한근거와 토론으로 최선의 의견을 찾아야하는게 가장 좋겠지요.
소독용 에탄올
24/05/06 17:17
수정 아이콘
협의나 합의는 기본적으로 신뢰가 필요한 일입니다.

한국사회에서 합의를 위한 신뢰는 형성되지 못했고요.
지속적인 대화, 낮은수준의 합의 같은게 누적되야 신뢰가 생기는데 그런걸 해본적이 없습니다.
경마장9번마
24/05/06 22:51
수정 아이콘
호의가 계속되면 그게 권리인줄 알아요.
No.99 AaronJudge
24/05/07 11:48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런 사회는 기본적으로 비용이 너무 소요되지 않을까 싶긴 해요….바람직하진 않은듯..ㅜㅜ

앞으로는 1990년대나 2000년대처럼 파이 자체가 커지긴 힘들것같고
사이즈가 같거나 작아지는 파이를 서로 어떻게 나누느냐~ 가 문제가 될 것같은데
우리가 그런 거에 익숙하지 않은 것 같아서 진통이 꽤 있을지도 모르겠다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835 [일반] 자카르타에서 수도를 옮기려는 인도네시아 근황 [32] Davi4ever12285 24/07/05 12285 0
101834 [일반] 가요의 황금기 90년대 가요톱10 1위곡 열전(1994년 part 2) [10] 스폰지뚱8888 24/07/05 8888 6
101833 [일반] 2024년 상반기 전국 백화점 순위가 나왔습니다 [33] Leeka11960 24/07/04 11960 1
101831 [일반]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2161 24/07/04 12161 28
101830 [일반] [방산] 올해 수출규모가 처음으로 200억 달러 돌파예정입니다. [21] 어강됴리10754 24/07/04 10754 3
101829 [일반] 고령 운전자 관련 문제 [53] 11cm10988 24/07/04 10988 0
101828 [정치]  정부가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44] 사람되고싶다12439 24/07/04 12439 0
101827 [일반] 한국어로 수업하기 힘든 학교 이야기 [62] 어강됴리14832 24/07/04 14832 7
101826 [일반] 가요의 황금기 90년대 가요톱10 1위곡 열전(1994년 part 1) [21] 스폰지뚱11048 24/07/03 11048 12
101825 [일반] 횡단보도 건너, 편의점 앞, 일방통행로 길가 [4] 소주파10511 24/07/03 10511 22
101824 [일반] 여저뭐 이런저런 상반기 이야기 [8] v.Serum10410 24/07/03 10410 3
101823 [일반] 내맘대로 엄선한 여자 보컬 신나는 노래(장르 불문) [11] Pika4811161 24/07/03 11161 1
101822 [일반]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7] 두괴즐9873 24/07/03 9873 20
101821 [일반] 안면 인식 장애? [26] 수리검11631 24/07/03 11631 3
101820 [일반] 급발진 추정사고에서 고령자의 비율과 실제 반응속도 하락에 대해서 [50] 김은동14966 24/07/03 14966 18
101819 [일반] 귀멸의 칼날 - 합동 강화 훈련편 다 봤습니다 (스포) [52] 빵pro점쟁이10584 24/07/03 10584 0
101818 [일반] 캐스퍼EV에 처음으로 장착되는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24] VictoryFood13594 24/07/02 13594 13
101817 [일반] 괜찮고 싶은데, 괜찮지 않아서. [28] aDayInTheLife9968 24/07/02 9968 10
101816 [일반] 안녕하세여 신입 인사드림니다 [56] 삭제됨10432 24/07/02 10432 14
101814 [정치] 오늘은 검사 탄핵이로군요.. [233] Restar20578 24/07/02 20578 0
101813 [일반] 황건적의 난을 재평가하는 것은 특정 정치세력의 선동 탓인가 [10] 식별9303 24/07/02 9303 13
101812 [일반] 치킨집 갑질 사건 근황 [31] 녀름의끝11175 24/07/02 11175 3
101811 [정치]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효과적인 출산대책 - 시험관 시술 [113] 사업드래군13654 24/07/02 136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