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28 01:14:50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397626523
Subject [일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 마침표와 물음표 사이.(노스포)
'하마구치 류스케'라는 이름은 솔직하게 말하자면 <드라이브 마이 카> 이후로 저에게 강하게 각인된 이름이었습니다. 약간의 판타지와 허무함, 그리고 그 미묘한 '하루키식 감성'을 끌어와 구현된, '적절히 상처받아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는 방식이나, 혹은 그 이후 접했던 <우연과 상상>에서의 기묘한 만남과 그 이어짐에 대한 묘사 등, 하마구치 류스케는 좋은 이야기꾼으로서의 능력을 보여왔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영화,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그런 점에서 약간은 비슷하면서도 이질적입니다. 3시간에 가까웠던 <드라이브 마이 카> 보다 훨씬 느릿한 전개로, 가장 시청각적으로 기묘한 영화입니다. 음악과 함께 고조되던 화면이 어느 순간 음악이 뚝 끊기지 않나, 딱히 별 다른 대화 없이 화면 상에서 바뀌는 지점도 있습니다만, 모든 구성들이 굉장히 꽉 채워진 느낌입니다. 영화의 상당히 많은 부분들이 기묘하고, 구성되어 연결되어있지만, 의도적으로 잘려있기도 합니다. 영화는 그런 점에서 감상을 끊임 없이 '방해'합니다. 가까이 오는 걸 최대한 막는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영화의 서사는 '이게 두 시간 가까운 시간이라고'에 가깝습니다. 이건 감탄일 수도 있고, 비꼼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느릿한 전개에 서사 자체도 굉장히 빈 공간이 많아요. 넌지시 던져주는 이야기는 많지만 드러내거나 혹은 자세히 유추할 수 있는 부분도 굉장히 적습니다.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만 남겨놓고, 별 이야기는 없다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어느 마을에, 글램핑장을 만드려고 합니다. 라는 한 줄짜리 이야기가 영화의 절반 이상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영화의 주된 소재는,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이방인'입니다. 영화 속 시각에서 모든 것들은 이방인입니다. 자연을 제외하고는요. 그리고 그 모든 이방인들은 기존의 것들을 밀어내고 자리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영화의 이야기는 그래서 기존의 이방인과 새로운 이방인, 그리고 다시금 등장하는 그 이방인들의 이야기이고, 그렇기에, 영화의 제목은 마침표와 물음표를 오가는 제목이라고 생각해요.

그 미묘한 선과 악의 경계선이 굉장히 충격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고, 관객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뒤집는 방식이기에, 어쩌면 이 제목은 절규에 가까운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기도 합니다. 어찌보면 끝끝내 선을 믿고 싶은, 성선설을 주장하고 싶은 목소리로 내뱉는 말일 수도 있을 것이구요.

다만, 그 이야기가 앞에서의 전개, 혹은 앞에서의 이야기와는 조금 다르게, 혹은 뜬금없게 들릴 수 있다는 점은 아쉬움이 있습니다. 선과 악이 말 그대로 종이 한 장 차이라면, 영화가 조금은 더 그 선을 날카롭게, 마치 칼 끝 처럼 그렸더라면 그 울림이 더 크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 선이 너무나도 애매하고 또 가려져 있기에, 영화의 결말과 보여주는 방식은 너무나도 뜬금없거나, 혹은 이해하기 까다로운 이야기가 되어버리고 마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송파사랑
24/03/28 09:58
수정 아이콘
이번 영화는 기존 하마구치 류스케의 영화하고는 결이 많이 다릅니다.
드라이브마이카와 우연과 상상이 대화로 끌고 나가는 영화라면 이번 영화는 화면으로 끌고가는 영화입니다.
대사가 아니라 화면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것들로 영화를 보고 해석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씨네필이 아닌 이상에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영화를 좋은 영화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는 이러한 영화들을 좋아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걸 즐겼지만, 이제는 좀 별로더군요.
aDayInTheLife
24/03/28 10:39
수정 아이콘
영상 언어로 변화하는 방식이 꽤 인상적이었습니다만, 확실히 장벽은 좀 느껴지더라구요. 보여주는 것으로 말하는 것을 대체하는 거 자체는 좋으나, 방식 자체의 한계라고 해야할까요.
바보영구
24/03/28 20: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카메라는 흘러가고 음악은 분절되는게 인상 깊었습니다. 전 이전 류스케 영화만큼 좋았던거 같습니다.
일본의 샤머니즘인데 종교가 안닿아있는 것도 새로웠습니다. 외지인의 동네라 이국적인 느낌이 있네요.
aDayInTheLife
24/03/28 21:49
수정 아이콘
배우의 행동도 분절되고, 음악도 분절되지만 카메라는 멈추지 않았던 부분이 인상적이더라구요.
어쩌면 카메라가 원 주인이고 행동도 음악도 이방인일 수도 있겠지요. 묘하게 관음적인 느낌도 들구요. 크크
우리는 모두 외지인이고, 사슴 뿐만이 원래의 것은 아니었을까 싶으면서도, 어쩌면 사슴마저도 자리를 지키는 나무의 가시에 찔리는 이방인일지도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13 [일반] 국내 최고령 사형수 옥중 사망…'보성 어부 연쇄 살인 사건' [82] 핑크솔져13504 25/06/29 13504 1
104412 [일반] 서유럽 지도를 걸레짝으로 만든 원인, 중프랑크 왕국 [5] 계층방정8865 25/06/29 8865 22
104411 [일반] 2022-2025 (미장 중심의) 주식 투자 후기 [18] 오징어개임6562 25/06/29 6562 1
104410 [일반] 불행은 행복의 부재. (일상글) [4] aDayInTheLife4728 25/06/28 4728 4
104409 [일반]  [경매이론1] 복잡성의 시대와 자유경쟁 시장의 변화 [1] 오디세우스4717 25/06/28 4717 6
104408 [일반] [잡담] 기쁜데 슬프고, 좋은데 시무룩해지는 그런 느낌 [6] 언뜻 유재석5392 25/06/28 5392 8
104407 [정치] 윤석열이 출석한 내란 특검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96] 물러나라Y11655 25/06/28 11655 0
104406 [일반] 이제 좀 있으면 우리 조카 생일입니다 [8] 공기청정기4525 25/06/28 4525 1
104405 [일반] 오겜3 간단 후기(스포) [32] 하이퍼나이프8168 25/06/28 8168 5
104404 [일반] 왜 영웅은 여장남자 사이코패스일까? [5] 식별7650 25/06/28 7650 9
104403 [정치] 김건희 퇴원(퇴원후 정정한 모습 추가) [57] 제논16069 25/06/27 16069 0
104402 [일반] 열심히 일하고 저축만하면 "가난" 해지는 돈이 고장난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54] SOXL13807 25/06/27 13807 41
104401 [일반] 미국지수 투자 후기 [33] Chandler10121 25/06/27 10121 6
104400 [일반] (정치글이 전혀 아닌) 남경필 전 도지사 이야기 [17] 감모여재9406 25/06/27 9406 24
104399 [일반] 요즘의 근황 (ft. 난 과연 동오의 제왕이 될 수 있을까?) [4] 간옹손건미축6354 25/06/27 6354 15
104398 [정치] 내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원…다주택자엔 아예 금지 [303] 바둑아위험해18930 25/06/27 18930 0
104397 [일반] 테러,살해예고 협박범, 마침내 잡히다 [40] 유머12442 25/06/26 12442 5
104396 [일반] 게임이용장애(=게임중독) 질병코드의 과학적 근거 없다 [161] Regentag8807 25/06/26 8807 16
104395 [일반] 일자리 알선한 이야기 [15] 공기청정기6126 25/06/26 6126 5
104394 [정치] 윤 "비공개 출석 보장 안 하면 특검 출석 힘들어" [87] a-ha13185 25/06/26 13185 0
104393 [정치] 李대통령,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 NBS 여론조사 [102] 철판닭갈비14475 25/06/26 14475 0
104391 [일반] <F1 더 무비> - 딱 매력적인 표면까지만. (노스포) [31] aDayInTheLife7238 25/06/26 7238 9
104390 [정치] '일시금' 퇴직금 시대 끝?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70] 시린비13767 25/06/25 137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