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07 00:42:5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375555912
Subject [일반] 사랑하고, 사랑해야할, 사랑받지 못하는 <가여운 것들> (약스포!)
<프랑켄슈타인> + <그녀> + <레미제라블> + <블레이드 러너> = ?
감독들에게는 일종의 수식어들이 붙죠. 최근 개봉작을 예시로 들자면 가족영화 장인 폴 킹(<웡카>), 떠오르는 비주얼리스트 드니 빌뇌브(<듄>), 오컬트 외길 장재현 감독(<파묘>) 등등. 근데 '요르고스 란티모스' 라는 이름에는 어떤 수식어가 어울릴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말 그대로, '종잡을 수 없음'을 붙여야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기괴한 상상력과 대조되는 냉정한 시선, 묘하게 비틀려있는 세계관과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이야기는 대체로 부조리하고, 또 기묘하며, 기괴하기도 합니다.

신작, <가여운 것들>은 SF로 시작합니다. 어른의 몸에 들어간 아이의 이야기입니다. 독특한 건, 그 아이가 원래 몸의 딸이 될 존재였다는 점이겠죠. 이 영화에서 하나의 존재는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SF인 척 하지만, 종교적인 이야기이기도 하고(대놓고, 창조주의 이름은 '갓윈' 벡스터죠.) 현실과 이상에 대한 철학적 화두이기도 하구요, 또 사랑의 정의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고, 친절함에 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의 끝에는 결국 '가짜 말'을 단 마차를 타고 떠났다가 '진짜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돌아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 모든 이야기를 보면서 저는 묘하게 <블레이드 러너>의 이야기가 떠오르더라구요. 기억과 의식에 대한 이야기라는 측면에서요. 둘 중에 어느 쪽이 인격을 구성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마지막 영화의 변화구도 그런 맥락에서 읽히는 느낌이기도 했구요.

영화는 사랑, 세계, 그리고 자신을 차례대로 배워나가는 방식으로 영화가 진행됩니다. 초반부의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그녀>의 엔딩이 떠올랐어요. 모든 관습과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기에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측면에서 시작해, 도피 내지 여행 중 만난 사람들을 통해 세계와 철학에 대해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원래의 자신에 대해서 이해하는 방식으로 영화는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어떤 측면에서는 이 이야기가 <보 이즈 어프레이드> 류의 개인적, 심리적 여행으로 읽히기도 하고, <레미제라블> 같은 사회 고발물로 읽히기도 하고, 또 종교에 대한 이야기로(본인이 본인의 자식인 존재) 읽히기도 했습니다. 굉장히 다양한 층위에서 읽힐 수 있는 이야기이기에, 이 부분을 직접 설명하기는 굉장히 까다롭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 관습에 얽매이지 않은 채로 시작했다가 모든 관습으로부터 해방되는 성격의 이야기라는 측면에서는 강렬한 해방에 대한 서사로 읽히기도 합니다. 이 영화에서 나오는 인물 중 긍정적으로 그려지는 인물이 대체로 외부인에 가깝다는 것도 그 맥락에서 읽힙니다. 갓윈은 얼굴에 흉터가 가득하고, 해리는 흑인이며, 맥스는 이방인(으로 보입니다.)이며, 주인공 곁에 남는 인물들도 대체로 그렇습니다.

저는 솔직히 아직 이 이야기를 어떻게 요약해서 전해야할지, 어떤 말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또 굉장히 과격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영화이기도 합니다만, 만약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영화를 좋아하신다면, 또, 부조리한 블랙 코미디를 좋아하신다면 이 영화를 꼭 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orschach
24/03/07 10:1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아카데미 시즌 개봉작들 중에서 제일 기대하고 있던 작품이었는데 기대했던 정도에 미치진 못했습니다.
장점은 배우들의 미친 연기와, 환상적인 미술이었고, 단점은 '그래서 뭐?' 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는겁니다...
똑같이 미친(?) 영화 같지만 감독의 전작 중 <더 랍스터>는 기괴하면서도 신기하고 신선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본 작품은 기괴함만 남아버린 느낌이었어요.

그래도 영화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미술이 너무 이쁘니 가능하면 극장에서 보시길 추천하고, 엠마 스톤 좋아하셔도 그냥 극장으로 향하시면 될 그런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aDayInTheLife
24/03/07 10:25
수정 아이콘
막 되게 충격적으로 좋고 그런 영화는 아니긴 했습니다. 다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멋들어지게 꿰어놓았다는 생각은 많이 들더라구요. 다층적인 이야기를 짜맞추는 재미와 독한 개그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다만 저는 전에 봤던 킬링 디어가 훨씬 파괴력 있긴 했네요 크크.
24/03/07 13:43
수정 아이콘
결말에 대한 의문은 원작도 마찬가지이더군요. 굉장히 흥미진진하고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긴 하는데, 결론은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뭐야?’로 귀결됩니다. 아마 작가 자신도 자신이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 정제하지 못하고 그대로 발간한 느낌이 좀 드는데, 그 부분이 좀 아쉽긴 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529 [정치] 대통령실 앞에 의문의 공사? 파묘 실화? [45] 빼사스16585 24/05/21 16585 0
101528 [일반] 한미 국뽕영화 시청 후기 [11] 겨울삼각형13691 24/05/21 13691 3
101527 [정치] 尹대통령, 野 강행처리 채상병특검법에 거부권 행사 [86] 덴드로븀17322 24/05/21 17322 0
101524 [정치] (수정)노인층에 대한 조건부 운전면허 추진 [71] Regentag12900 24/05/21 12900 0
101523 [일반] 32사단 신병훈련소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신병 1명이 사망했습니다. [138] 매번같은16102 24/05/21 16102 2
101521 [일반] 아래 여시 사태에 침묵하는 기자 글 보면서 드는 2018년 혜화역 시위 취재 기자 기사 [59] petrus13317 24/05/21 13317 16
101518 [일반] (스포) 드라마 눈물의 여왕 간단 감상문 [18] 원장10014 24/05/21 10014 2
101517 [정치] 유나 선생이 바라본 '2024년의 일본' [51] KOZE17014 24/05/20 17014 0
101516 [일반] 어제 인천발 샌프란시스코행 항공기가 출발 1시간 반만에 회항한 이유 [30] 매번같은16125 24/05/20 16125 0
101515 [일반] 5/31일 종료예정인 웹툰 플랫폼 만화경 추천작들(1) [14] lasd24113710 24/05/20 13710 3
101514 [일반] 중국 스파이설에 휩싸인 필리핀 조그마한 마을 여성시장 앨리스 궈 [24] 매번같은17325 24/05/20 17325 1
101512 [일반] 나르시시즘의 뿌리, 무가치감 [15] 칼대남11843 24/05/20 11843 5
101511 [일반] (얏후) 한국인들이 생활체육에 관심이 없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는 이유. [102] 캬라18373 24/05/20 18373 29
101509 [일반] 이란 대통령 탑승 헬기 비상착륙…외무장관 동승 [35] 카즈하18018 24/05/19 18018 1
101508 [정치] 윤석열 대통령 “빚만 잔뜩 물려받은 소년가장 같은 심정”…씀씀이 확 줄인다 [132] 베라히21795 24/05/19 21795 0
101507 [일반] 여성시대의 집단성희롱 사태에는 침묵하는, 자격 없는 언론과 기자들 [124] 실제상황입니다19240 24/05/19 19240 34
101506 [정치] 검찰, "김건희 여사 책 주웠다" 아파트 주민 소환 통보 [22] 조선제일검15115 24/05/19 15115 0
101505 [일반] 재미로 코딱지 파는 심리를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31] 인생을살아주세요11752 24/05/19 11752 19
101503 [일반] [팝송] 밴슨 분 새 앨범 "Fireworks & Rollerblades" 김치찌개9188 24/05/19 9188 0
101502 [일반]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 기본에 충실한 후속.(약스포) [16] aDayInTheLife9269 24/05/19 9269 2
101501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4) 광명, 서울과 애증의 관계를 맺다 [4] 계층방정10590 24/05/18 10590 3
101500 [정치] 일부 품목 해외 직구 금지 발표 2일만에 보류 [73] 매번같은14672 24/05/18 14672 0
101498 [일반] 요즘 본 애니 잡담 [22] 그때가언제라도9441 24/05/18 944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