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2/28 01:38:09
Name 트럭
Subject [일반] 똥으로 세계에 기억될 영화 '오키쿠와 세계' (스포 없음)
스포는 없지만 있을 수도 있으니(?) 스포에 예민하신 분은 주의를 요합니다.


1. 왜 이 영화냐?

파묘가 인기를 끌고 있고 수요일 개봉하는 듄과 막걸리도 봐야 하고
현생도 살아야 하는 제가 굳이 이 영화 글을 쓰는 이유는

[똥에 관한 영화이고 여기는 피지알이기 때문입니다]

오랜 시간 쌓인 정과 의리를 무시할 순 없죠.
직접 보지는 않더라도 이런 게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지 않을까.
똥이 주인공인 영화가 인류 역사에 등장했는데 피지알에는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영화는 처음부터 햇반각입니다.
비지찌개와 카레라이스가 떠오르고
열화와 같은 성원으로 단종된 cgv잡채밥이 생각났습니다. 입맛이 도네요.

Screenshot-2024-02-28-at-00-40-41.jpg
(사진: k밥심! cgv잡채밥 현재 팔지 않음)


혹자는 이렇게 물을지 모릅니다.
영화에 똥이 나와봤자 얼마나 나오겠어?

이건 확실히 답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기대 이상 혹은 최소 기대만큼은 나올 거예요. 똥이요.

그래서 영화는 투자자를 찾는 것부터 힘이 들었다고 합니다.
투자자: 어떤 영화죠?
제작자: (땀을 닦으며) 똥이 주제인 영화입니다. 그리고... (환경과 순환 경제가 어떻고)
투자자: 사요나라

제 상상이지만 대충 이런 시나리오였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자세한 이야긴 아래서 해보죠.


2. 이 영화의 훌륭한 점

아무튼 그래서 제작 초기엔 사비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영화는 처음엔 15분 길이의 단편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개봉 버전에선 영화의 뒷부분이고, 상대적으로 똥이 덜 나옵니다.
이걸로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 홍보했다고 하네요.

똥이 덜 나오는 부분으로 투자자를 찾고 그 뒤에
똥이 대량으로 나오는 앞부분을 만들었습니다. 괜찮은 전략 아닙니까?
9드론 할 것처럼 해놓고 몰래 해처리 펼친 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실제로 그렇게 속이진 않았겠지만 아무튼 그렇다고 해둡시다.
팩트보단 똥이 중요하니까요. (똥이 덜 나오는 후반부 15분을 먼저 찍고 홍보한 건 맞음)
 
겨우겨우 기대하지도 않던 곳에서 투자를 받았지만
완성 직전까지도 배급사가 없었다고 하네요.
똥이 좀, 많이 나온다고. 너무하네요. 
부자들도 똥은 다 쌀 텐데. 

이런 열악한 상황에서 쿠로키 하루 등 주연 배우들도 노개런티로 출연한 모양입니다.
팩트체크는 안 했지만 똥 앞에서 그런 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똥 영화를 만들기 위해 모인 열정. 그리고, 영화의 주인공이 똥.

[이것만으로 훌륭한 영화입니다. 반박시 그래서 님은 똥 안 쌉니까?]


3. 똥이 주연이라고 영화도 똥일까?

23년 키네마준보 일본영화 1위

Screenshot-2024-02-28-at-00-32-20.jpg
(똥 영화로 키네마준보 1위 출처:나무위키)

똥 영화로 역사와 전통의 키네마준보 1위라니 이건 업적 아닐까요. 
해외 유수의 영화제에서 인정받은 괴물, 고지라, 퍼펙트데이즈를 누르고 똥 영화가 1위라니요. 
뭘 좀 안다는 생각이 드네요.

조금 덧붙이자면 아무래도 외국인보단 일본 고인물들이 더 좋아할 영화긴 합니다. 
오즈 야스지로 같은 과거 일본 영화가 떠오르고, 흑백 화면의 아름다운 정취가 느껴지는 영화입니다. 
이런 쪽에 흥미가 없으면 매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야기만으로 충분히 매력이 있는 영화긴 합니다만.

흑백 영화지만 컬러 화면도 짧게 있습니다.
덕분에 똥 칼라도 잠깐이지만 볼 수 있습니다. 훌륭합니다.

감독은 똥 때문에 흑백으로 찍은 건 아니라고 했습니다만
나중에 똥 샷을 보면서 흑백으로 찍어서 다행이다라고 생각했답니다.
관객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만.
그런데 지금 떠오른 생각은 풀컬러도 나름 괜찮았을지도요.

재작년 키네마준보 1위였던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과 비교하면
흑백 영화긴 해도 청춘 로맨스에 유머도 품고 있는 이쪽이 좀 더 대중적이지 않나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역시 ‘똥’ 때문에 진입장벽이 있는 영화입니다.
매일 엄청난 양의 똥이 생산됩니다만
큰 스크린으로 똥을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으니까요.
조금 반성이 필요한 부분 같습니다. (아님)

곧 개봉 예정인 여기는 아미코도 그렇고 플랜75도 그렇고
불편한 소재를 다룬 일본 영화들이 극장에 걸려 있군요.

하지만 이 영화는 정말 똥 말고는 불편한 게 없습니다.
청춘 로맨스 코미디 영화입니다. 아무튼 그렇습니다.


4. 소박한 이야기가 주는 매력

스케일이 큰 영화가 주는 재미도 좋지만
소소한 이야기가 주는 매력도 있습니다.
간결하고 여백의 미가 있고 정다운 공감이 있고요. 

이 영화는 15분 찍고 돈 모으고 (똥 때문에) 15분 찍고 돈 모으고 해서
단편 영화 모음 같기도 하고 고전 무대극 느낌도 납니다.
오즈야스지로 영화에 간판이 먼저 나오듯 작은 세트에서 1장=1무대 이런 식으로 흘러갑니다.

시시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만 반대로 고전적인 매력이 있는 영화였습니다. 
흑백 화면이라 더욱 그렇습니다.

20240225-154449.jpg
봉준호 감독 덕에 용산 4관(구아이맥스관)에서 이 영화를 보았습니다.

대형 스크린으로 똥을 본 게 자랑입니다.
해외 영화제에선 아이맥스 관에서 상영된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똥을 영화관 스크린으로 볼 기회긴 합니다만 특별히 추천한다기보단
위에서 적었듯 피지알에는 알려야 할 듯했습니다.

독립 예술 영화, 흑백 영화 좋아하는 분들께는 추천드립니다. 배우 팬분들께도.
비위가 좀 약하시다면 식전 식후 텀을 두는 게 좋을지도요.

대사 하나만 소개하자면

어차피 먹으면 곤죽이 되는 것. 음식과 똥은 같다. 똥 같은 세상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2/28 02:16
수정 아이콘
피지알 단체관람, 뷰잉파티 같은 걸 기획해야 할 듯 합니다.
24/02/28 03:20
수정 아이콘
세상 like 똥 이죠~
24/02/28 03:25
수정 아이콘
당연히 피지알에 소개되어야 하는 영화이군요. 알았다면 제작에도 참여했을텐데... (영화 끝나고 오르는 자막에 당당히 PGR21... 아아 가슴이 웅장...)
그런데 끝까지 읽었지만 결국 줄거리나 내용은 알 수가 없네요. 똥을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다는 정도 외에는... 설마 그것이 스포였....?
24/02/28 13:19
수정 아이콘
스포를 피하려다 보니 내용이 전혀 없네요. 일본 에도 말기 시대의 로맨스라고 할까요. 주인공 직업이 분뇨 업자라 먹고 싸고 푸는 내용이 많이 나오고요. 먹고 싼 걸 또 돈 주고 사서 거름으로 주고 그걸로 농작물을 키우는 순환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노다메
24/02/28 10:57
수정 아이콘
매불쇼 시네마지옥에서 최광희 평론가가 추천한 영화군요.
바보영구
24/02/28 16:17
수정 아이콘
막걸리 봐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351 [일반] 키타큐슈-시모노세키-후쿠오카 포켓몬 맨홀 투어 [11] 及時雨6327 24/04/26 6327 13
101349 [일반] 인텔 13,14세대에서 일어난 강제종료, 수명 문제와 MSI의 대응 [63] SAS Tony Parker 11444 24/04/26 11444 9
101348 [일반] [개발]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기술 블로그(完) [4] Kaestro5100 24/04/26 5100 5
101347 [일반] 테일러 스위프트 에라스 투어 도쿄 공연 후기 (2/7) [5] 간옹손건미축6428 24/04/26 6428 12
101346 [일반] 민희진씨 기자회견 내용만 보고 생각해본 본인 입장 [326] 수지짜응20892 24/04/25 20892 10
101345 [일반] 나이 40살.. 무시무시한 공포의 당뇨병에 걸렸습니다 [51] 허스키11260 24/04/25 11260 10
101344 [일반] 고인 뜻과 관계없이 형제자매에게 상속 유류분 할당은 위헌 [40] 라이언 덕후8522 24/04/25 8522 1
101343 [일반] 다윈의 악마, 다윈의 천사 (부제 : 평범한 한국인을 위한 진화론) [47] 오지의6858 24/04/24 6858 12
101342 [정치] [서평]을 빙자한 지방 소멸 잡썰, '한국 도시의 미래' [22] 사람되고싶다4641 24/04/24 4641 0
101341 [정치] 나중이 아니라 지금, 국민연금에 세금을 투입해야 합니다 [62] 사부작6072 24/04/24 6072 0
101340 [일반] 미국 대선의 예상치 못한 그 이름, '케네디' [59] Davi4ever11483 24/04/24 11483 4
101339 [일반] [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0] *alchemist*6927 24/04/24 6927 13
101338 [일반] 범죄도시4 보고왔습니다.(스포X) [48] 네오짱8905 24/04/24 8905 5
101337 [일반] 저는 외로워서 퇴사를 결심했고, 이젠 아닙니다 [27] Kaestro8652 24/04/24 8652 17
101336 [일반] 틱톡강제매각법 美 상원의회 통과…1년내 안 팔면 美서 서비스 금지 [35] EnergyFlow6238 24/04/24 6238 2
101334 [정치] 이와중에 소리 없이 국익을 말아먹는 김건희 여사 [17] 미카노아5619 24/04/24 5619 0
101333 [일반] [개발]re: 제로부터 시작하는 기술 블로그(2) [14] Kaestro4608 24/04/23 4608 3
101332 [정치] 국민연금 더무서운이야기 [127] 오사십오12068 24/04/23 12068 0
101331 [일반] 기독교 난제) 구원을 위해서 꼭 모든 진리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88] 푸른잔향6044 24/04/23 6044 8
101330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선거와 임직 [26] SAS Tony Parker 4910 24/04/23 4910 2
101329 [일반] 예정론이냐 자유의지냐 [60] 회개한가인5564 24/04/23 5564 1
101328 [정치] 인기 없는 정책 - 의료 개혁의 대안 [134] 여왕의심복8509 24/04/23 8509 0
101327 [일반] 20개월 아기와 걸어서(?!!) 교토 여행기 [31] 카즈하4678 24/04/23 467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