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1/07 12:12:08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다시 수학이다...
예전에 학창시절 수학에 대한 트라우마(?)내지는 한(?)을 풀고자 중학수학 개념서를 다 봤다는 글을 이곳 자게에 올린 적이 있습니다. 이후 바로 고등수학을 들어갈 계획이었는데 이런 저런 일들이 생기면서 한동안 수학공부를 하지 못하고 있었더랬죠. 이번에 다시 여유가 좀 생기면서 고등수학 과정을 들어가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원래 트라우마는 트라우마를 준 대상을 피하지 말고 다시 직면해서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학창시절 저에게 좌절을 안겨주었던 수학의 정석을 교재로 선택해야 했겠지만 트라우마 극복하려다 새로운 트라우마 생길까 싶어서 서점에서 후루룩 훑어봤을 때 제일 만만해(?) 보였던 수학의 샘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게다가 요즘 수학의 정석은 우리 때와는 달리 대세에서 살짝 비껴나 있다고 하더라구요. 마침 수학의 샘도 제목에 "수학의~"라는 표현이 들어가고 제본 형태도 수학의 정석 시리즈와 동일하기 때문에 심정적인 "적군"으로 선택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갈길이 먼 것 같습니다. 수학(상)-> 수학(하)-> 수학 I -> 수학 II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기하편의 맨 마지막 연습문제를 푸는 날이 올 수 있을까요? 그날이 오면 시원섭섭한 마음으로 미련없이 나의 수학친구를 떠나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날이 오기를 고대하면서...

vUmbvGd.jpg

아니 이걸 다 전개하라고?...요즘도 이런 노가다(?) 문제를 내는구만...우리 때(?)랑 달라진 게 하나도 없네...;;
7NB9YFI.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1/07 12:17
수정 아이콘
흠 왠지 전개 안해도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나...
누군가 댓글 달아주겠지?
24/01/07 12:20
수정 아이콘
10개 항중에 숫자 하나 고르고 x 9개 고르면 되니까 1부터 10까지 더하는거라 10(1+10)/2 해서 55죠

그런데 글쓴이도 문제에 (?)리고 두 번이나 단 걸봐서 농담하는거겠죠.
닉네임을바꾸다
24/01/07 12:2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24/01/07 17:25
수정 아이콘
수학을 자주 다루시는 분인가보군요.
1부터 10까지의 합을
10(1+10)/2로 쓰시는거 보니까요 :)
페일에일
24/01/07 12:19
수정 아이콘
노가다는 아닌거같고 1+2+…+10아닐지요
돼지뚱땡좌
24/01/07 12:27
수정 아이콘
55
24/01/07 13:06
수정 아이콘
막줄은 그냥 드립인거 같은데 흐흐
자가타이칸
24/01/07 13: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학도 그렇고 학문 전반이 그렇지만... 저 위 문제에서...

1. 전개식의 뜻이 머여?

2. 계수의 뜻이 머여?.. 내가 국어 실력이 너무 딸리나..ㅜㅜ

수학을 잘하려면 저런 용어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할 거 같아요...
자가타이칸
24/01/07 13:33
수정 아이콘
방금 나무위키 들어가서 계수에 대한 설명 보고 왔는데..설명조차 뭔 말인지 하나도 못 알아 들었음..ㅜㅜ
건강하세요
24/01/07 13:49
수정 아이콘
전개식은 저 괄호를 모두 풀었을 때 식을 의미하고, 계수는 그 중 한 항의 앞에 붙은 수를 의미합니다
어짜피 실생활에선 몰라도 상관없는 것들이죠
자가타이칸
24/01/07 13:5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시식코너지박령
24/01/07 13:30
수정 아이콘
수학은 교과서가 최고입니다.
건강하세요
24/01/07 13:53
수정 아이콘
저도 첫 개념은 교과서로 잡아보시는거 추천합니다
24/01/07 21: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교과서는 학교에서 교사가 강의하는걸 전제로 짜여진 책이라 혼자 공부하기엔 그리 좋진 않다...그리 생각합니다.
비가와요
24/01/08 14:36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 교과서는 핵심을 담고있지만 핵심만 담겨있기때문에 독학으로 교과서를 보는 건 마치 독학으로 헌법조문만 읽고 법을 공부하는 거나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숨고르기
24/01/07 13:50
수정 아이콘
존경스럽습니다. 비슷한 마음으로 수학책 사놓고 몇년이 지났는데 아직 한 챕터도 못봤네요
피우피우
24/01/07 13:53
수정 아이콘
요새도 집합과 명제가 제일 처음으로 나오나요?
저 땐 고등학교 10-가 1,2장이 집합과 명제라 다들 집합이랑 명제만 엄청 공부한다는 밈이 있었는데 크크
우주전쟁
24/01/07 13:59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요즘은 다항식부터 나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1/07 14: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집합을 날렸을거임...
그래서 집합도 없이 함수 가르치냐는 뭐 이런 이야기들이...?
찾아보니 중학교만 날렸고 고등학교는 순서만 밀린건가...
Mattia Binotto
24/01/07 14:54
수정 아이콘
집합과 명제는 피우님 10-나에 해당하는 고1 2학기 초중반에 나옵니다
24/01/07 21:20
수정 아이콘
고1 2학기로 밀린지 딱 10년째입니다. 윗세대들이 보면 깜짝 놀랄만한 학습 순서들이 꽤 있죠. 피타고라스 정리를 중2때 배운다거나...집합명제가 1학년2학기로 밀렸다거나...행렬이 뜬금없이 1학년1학기에 부활한다거나...
은때까치
24/01/07 14:08
수정 아이콘
크크크 화이팅입니다!
김건희
24/01/07 15:13
수정 아이콘
수학 교과서 한권씩 완전 풀이 업적 작업도 재미있겠네요.

화이팅!

인생의 소소한 일퀘를 카운트 해주는 앱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호칭 등의 형태로 자랑질까지 가능하게 해주면 어떨까 싶네요.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4/01/07 18:15
수정 아이콘
결혼 출산 육아도 업적광기라면(?)
하나둘셋
24/01/07 15:59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분이군요 18년만에 문제집 사서 수상 거의 다풀었습니다 크크
리얼포스
24/01/07 17:54
수정 아이콘
요샌 정석 잘 안 보나요?
우주전쟁
24/01/07 18:12
수정 아이콘
대세는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이 일부러 보는 경우들은 좀 있다고 하더라구요.
No.99 AaronJudge
24/01/07 20:12
수정 아이콘
거의 안 본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딱딱해서..
24/01/07 21:05
수정 아이콘
학원가에선 선행교재로 아직 많이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캡틴리드
24/01/08 09:15
수정 아이콘
수능스타일 문제와 거리가 있어서 잘 안봅니다.
'정석 실력'의 경우에는 과학고에서 교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앨마봄미뽕와
24/01/07 19:35
수정 아이콘
저도 딸 아이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이제 수학 공부 좀 해봐야겠다 싶어서 중학교 수학 공부 시작했습니다. 크크. 수학의 기본서부터 찾고 있는데.. 혼자 볼 수 있을 정도로 자세히 설명 된 책이 뭐가 있을까요? 수학의 바이블이 괜찮아보였는데 더 쉽고 자세한 책이 있을까요?
우주전쟁
24/01/07 19:37
수정 아이콘
저는 중학수학은 "숨마쿰라우데"라는 책으로 했는데 난이도가 좀 있었더 것으로 기억합니다...
앨마봄미뽕와
24/01/07 19:54
수정 아이콘
아.. 숨마쿰라우데 악명 높았던거 같은데.. 한 번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No.99 AaronJudge
24/01/07 20:14
수정 아이콘
수학의 바이블 괜찮았고..쎈 어떠신가요
앨마봄미뽕와
24/01/07 20:35
수정 아이콘
쎈도 많이 들어봤던 책이네요. 아무래도 날 잡아서 서점 한 번 가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4/01/07 2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쎈은 개념서가 아니고 문제서라서...설명은 거의 없습니다. 동 출판사에서 나오는 개념서라면 개념쎈이 있긴한데 개념서 쪽에서는 그리 메이저는 아닙니다.
No.99 AaronJudge
24/01/07 20:13
수정 아이콘
현우진t한테 항상 감사합니다
시발점-뉴런-드릴…
24/01/07 21:18
수정 아이콘
정석이 싫다면 마플교과서 같은 대안도 있긴 합니다. 이쪽도 설명이 엄청 방대하고 친절하죠. 그만큼 책 두께도 위압적이고... 정석과는 달리 좀 더 컬러풀(?)하다는 장점도 있습...
우주전쟁
24/01/07 22:49
수정 아이콘
저 한텐 저 수학의 샘도 좋은 책인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어느 책이냐는 딱히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nm막장
24/01/08 02:06
수정 아이콘
오 저도 수학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어서 40대 중반인 요즘 가끔 수능 수학 기출 풀곤하는데,
요게 쉬이 풀리는 게 있고 아닌게 있어서 아직 점수가 구리네요.
나이를 헛먹은 건 아닌거 같은데, 트라우마를 완전히 해결하려면 개념서를 다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크크
일반상대성이론
24/01/08 10:27
수정 아이콘
'진짜' 수학 한접시 해보시는 것두...
시시포스
24/01/08 11:02
수정 아이콘
10(1+10)/2, 요샌 삼각수, 사각수 뭐 그렇게 가르치더라구요, 저때랑 많이 달라진듯
햄찌쫓는겐지
24/01/08 14:15
수정 아이콘
저도 가끔씩 교양수학을 공부하는데요, 요즘은 미르카, 수학에 빠지다(구버전: 수학 걸)를 정리해보면서 읽고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항목도 있는 책인데 나름 재미있습니다. 단 고등학교 수학 베이스는 있어야 따라갈 수 있고, 3권부터는 조금 어렵다고 느껴지네요. 교과서/참고서식의 딱딱한 수학이 지겨우실때 가끔 이런 책도 같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집으로돌아가야해
24/01/08 14:47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십니다. 휴일, 혹은 퇴근 후 그냥 벌러덩인 저로서는 상상도 못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471 [정치] 네이버 지분매각 안한다... 대통령실은 일본 정부에 '경고' [19] 종말메이커11634 24/05/14 11634 0
101470 [일반] 공무원으로서의 소회 [25] 스테인14971 24/05/14 14971 22
101469 [일반] 질게에 올렸던 자판기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음료를 판매합니다. 후기글 입니다. [12] ggg23412416 24/05/14 12416 16
101468 [일반] [다이어트] 12kg 감량 후기입니다 [17] Alfine12167 24/05/14 12167 4
101467 [일반] 노란불 ‘딜레마존’서 사고 났다면…대법 ‘무죄→유죄’ 뒤집어 [165] VictoryFood19330 24/05/14 19330 2
101466 [일반] 본인이 하지도 않은 발언 때문에 해고 될뻔한 미국의 교장 선생 [32] 매번같은13695 24/05/14 13695 5
101465 [일반] 뉴욕타임스 5. 7.일자 기사 번역(거대 배터리 에너지 저장소) [22] 오후2시15181 24/05/13 15181 7
101464 [정치] 네이버 라인 사태 기사 모음 [51] KOZE12137 24/05/13 12137 0
101463 [정치] 김건희 여사 수사하던 중앙지검장 및 1-4차장 검사 대거 교체 [61] 빼사스14241 24/05/13 14241 0
101462 [일반] '입시업체 댓글조작' 폭로했던 스타강사 '삽자루' 사망 [53] 윤석열20720 24/05/13 20720 3
101460 [일반] 멍청해도 괜찮아. 구형 로봇청소기 후기 [25] 사람되고싶다15013 24/05/13 15013 5
101459 [일반] 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2) [27] Kaestro15992 24/05/12 15992 3
101457 [일반] [스압 & 데이터] 어제 찍은 오로라 사진 [18] 엔지니어14548 24/05/12 14548 21
101456 [일반] 30% 확룰로 생존하는 2천만원짜리 가챠 [90] 서귀포스포츠클럽19891 24/05/12 19891 58
101455 [일반] 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1) [36] Kaestro14280 24/05/12 14280 3
101454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2) 시흥은 왜 열두 지자체로 나뉘었을까 [3] 계층방정18024 24/05/12 18024 14
101452 [일반] [팝송] 코난 그레이 새 앨범 "Found Heaven" 김치찌개8607 24/05/12 8607 0
101451 [일반] 칼성비(칼로리 설능비)의 시대 [17] pecotek12919 24/05/11 12919 3
101450 [일반] 학령인구 감소가 동네 문구점에 미치는 영향 [21] Croove15542 24/05/11 15542 11
101449 [일반] 문구점 근무중 겪은 빌런 올림픽 "은메달"편 3/3 [27] Croove15460 24/05/11 15460 25
101448 [일반] 왜 일러스트의 유방 크기가 커지고 있을까 [57] 사부작18912 24/05/11 18912 11
101447 [일반] 경력직 이직 후 느낀 점들 [33] Garnett2117802 24/05/10 17802 14
101446 [일반] 카니발 하이브리드 하이리무진 12일차 후기! [17] 아이유IU13196 24/05/10 13196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