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2/23 08:35:47
Name 숨고르기
File #1 journal.pbio.3002442.g002.PNG (471.7 KB), Download : 45
Subject [일반] 선즙필승 = 과학


https://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3002442

엊그제 PLOS biology 라는 저널에 흥미로운 논문이 하나 공개되었는데
여성의 눈물에 포함된 화학적 성분이 노출된 남성의 공격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20대 여성에서 채취된 약 1ml 의 눈물과 대조군으로 쓰인 식염수를 나란히 놓고 냄새를 맡아 비교했을때
노출된 남성들은 어느 쪽이 식염수이고 어느쪽이 진짜 눈물인지 전혀 구분하지 못했지만
인체의 특정 후각 수용체들이 눈물에만 반응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별도 In vitro 실험),  
실제 대상자들을 촬영한 뇌 MRI에서 대뇌 특정영역들(PFC+LtAIC)의 활성패턴 차이가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지하지 못한채로 눈물의 화학적 자극에 노출된 실험 대상자들은 특별히 설계된 게임 과제에서의
공격적 의사결정 양상 (APR)을 측정했을때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훨씬 낮은 성향을 나타내었다고 합니다.
(파일 첨부한 그래프 참고)

사실 눈물의 화학적 신호 전달 메커니즘은 개나 설치류 등 사회성을 가진 포유류 일반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고 특히 야콥슨 기관이라 불리는 보조후각 시스템과 관련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보조후각 계통이 퇴화되어 있는 인간에게도 이러한 작용이 나타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시각이나 후각적 감각을 통해서 전혀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여성의 눈물은
남성의 행동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조종할 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진화적으로볼때 눈물은 남성의 폭력성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나아가서는 종족의 멸망을 막기위한 매우 중요한 화학적 보호막 역할을 해왔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차적 기능의 필요성이 상당히 줄어든 현대사회에서도 아직 유효할 눈물의 생태학적 영향은 매우 자명합니다만 결과가 나오더라도 어쩌면 많은 논란을 가져올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23 08:44
수정 아이콘
과학적으로까지 증명이 되었군요
23/12/23 08:46
수정 아이콘
대조군으로 남성의 눈물도 있어야 하지 않나요?
리스트린
23/12/23 08: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젠더 갈등 유발 리스크 제거(벌점 4점)
계층방정
23/12/23 08:58
수정 아이콘
그런데 화학적 작용이라면 대면하고 있을 때에나 효과가 있는 거고, 비대면 상호작용이 많은 현대사회에 어디까지 적용될 수 있을지도 논란일 것 같습니다.
종말메이커
23/12/23 09:26
수정 아이콘
남자든 여자든 앞에서 질질 짜고있으면 일단 마음이 누그러지죠
23/12/23 09:35
수정 아이콘
인민 프로듀서
23/12/23 10:03
수정 아이콘
- 눈물은 여자의 최대 무기라고 엄마한테 배웠어. 울면 기분도 안정되고 남자도 꼬실 수 있다고.

- 황당한 어머니 아냐? 그런걸 무기로 삼느니 차라리 웃어라.
23/12/23 11:50
수정 아이콘
오 신기하네요 크크
23/12/23 13:04
수정 아이콘
오 경험적으로 눈물의 정서적 영향력이 강력하다는 건 체감하고 있었지만 화학적 레벨에서까지 영향을 끼칠지는 상상도 못했네요
포프의대모험
23/12/23 15:24
수정 아이콘
선즙필승은 과학이다..!
23/12/23 20:05
수정 아이콘
눈물은 따뜻하다.
애플프리터
23/12/23 23:44
수정 아이콘
남자는 실험대상에 없는데 선즙필승은 반만 맞는거 아닌가요? 지원기관이 여가부계열인가...
23/12/24 03:28
수정 아이콘
여자의 공격성 얘기도 없으니 1/4만 맞는?
티바로우
23/12/24 08:41
수정 아이콘
물을 눴죠? 눈물이에요~
앙겔루스 노부스
23/12/25 22:53
수정 아이콘
과학적 이유까진 아니겠십니다만, 눈물이 꼭 여성만의 무기가 아니긴 합니다. 제가 되게 잘 우는 스타일인디, 저 스스로가 곤경에 처했을 때 울었더니 상대가 당황하면서 부드럽게 넘어간 경우를 여러번 겪었다보니... 눈물이라는게 주는 힘이란 게 분명 있다는 생각을 하곤 하네요. 그렇다고 막 의도적으로 울 수 있는건 아닌데, 그냥 잘 울다보니 그런 일도 종종 겪은거
답이머얌
23/12/29 11:29
수정 아이콘
대표적인게 유비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963 [정치] 퇴사한 전공의를 의료법위반죄, 업무방해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 [188] 45618532 24/02/20 18532 0
100959 [정치] 이낙연, 개혁신당과 합당 11일만에 철회…"새미래로 복귀" (+이준석 반응 추가) [227] Davi4ever22209 24/02/20 22209 0
100958 [정치] 우리나라가 살려면 일반의(GP)를 타격해야한다 [351] 림림21057 24/02/20 21057 0
100957 [정치] 의사들이 증원얘기만 하는 이유.jpg [121] 빵떡유나17605 24/02/19 17605 2
100955 [일반] 불법이 관행이 된 사회 [67] lightstone12424 24/02/19 12424 12
100952 [정치] 이스라엘은 하마스에 왜 뚫렸을까? [29] 隱患9363 24/02/19 9363 0
100949 [일반] 일본의 스포츠 노래들(야구편) [3] 라쇼11178 24/02/19 11178 2
100948 [일반] 아시아의 모 반도국, 드라마 수출 세계 3위 달성! [18] 사람되고싶다13066 24/02/19 13066 12
100947 [정치] 복지부가 의대 2천명 증원의 근거를 제시했는데, 근거가 없습니다? [197] 여수낮바다20200 24/02/19 20200 0
100946 [정치] R&D 예산 삭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06] HolyH2O10553 24/02/19 10553 0
100945 [일반] [웹소설] 당문전 추천 [57] 데갠9483 24/02/19 9483 3
100944 [정치] 정부 "공공의대·지역의사제 국회 심의과정 지원할 것" [44] 사브리자나12861 24/02/19 12861 0
100943 [정치] 이재명 "의대 정원 확대는 정치쇼…비상대책기구 만들어 의협과 논의" [117] 홍철16545 24/02/19 16545 0
100942 [정치] 내분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개혁신당 오늘의 근황 [70] 매번같은12966 24/02/19 12966 0
100941 [일반] 일본과 미국에서의 일반의약품 및 원격진료 경험담 [33] 경계인10371 24/02/19 10371 8
100939 [정치] 수도권 의대교수도 동네 병원으로 이직 러쉬 - 23년 11월 기사 [93] 바람돌돌이15632 24/02/18 15632 0
100938 [정치] 의사의 신규 계약 거부를 처벌하는 게 말이 되는 것인가? [98] kien17399 24/02/18 17399 0
100937 [정치] 대리처방과 오더거르기에 대한 글 [138] 헤이즐넛커피15916 24/02/18 15916 1
100936 [일반] 외계인2부 를 보고 (부제 최감독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22] PENTAX10172 24/02/18 10172 7
100935 [일반] 앐닞앐닞앐닞앐닞앐닞 [248] 삭제됨19809 24/02/18 19809 0
100934 [일반] 기술적 특이점은 오지 않는다. 절대로. [34] brpfebjfi16864 24/02/18 16864 9
100933 [정치] 일본은 한국보다 10년 빠르다. 의사증원마저도. [321] 스토리북24119 24/02/18 24119 0
100931 [정치] 이승만 띄워주기의 피로함에 대해서. [163] 테르툴리아누스14987 24/02/17 149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