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2/16 09:58:16
Name mayuri
Subject [일반] 보고 읽은 것 푸른 눈의 사무라이(넷플릭스) / 가여운 것들(엘러스데어 그레이) - 스포 주의 (수정됨)
푸른 눈의 사무라이

만화책은 몰라도 애니메이션은 잘 안 보는 편인데 왠지 모르게 끌려서 보기 시작했습니다. 오? 초반부의 몰입감이 장난이 아닙니다. 후반부 부터는 조금 딸리긴 하는데 그래도 재미있게 봤네요.

요즘이라면 꽤나 비판받을 가능성이 농후한 오리엔탈리즘+자포네스크를 정면돌파한 작품입니다. 킬빌을 애니메이션으로 바꾸고 거기에 쌈마이한 B급 정서를 빼고 애니메이션에서만 표현이 가능한 판타지적이면서도 미려한 연출로 채웠습니다. 스토리 면에서는 ‘요짐보’같은 걸작 사무라이 영화들에 왕좌의 게임 같은 권력쟁탈물을 적절히 버무려 놓은 것 같아요. 뭔가 ‘아후 또 짜장면이야? 지겨워 그래도 먹긴 먹어야지. 근데 또 맛있네. 이 집 잘하네.‘ 이런 기분이에요. 새롭거나 특별하진 않지만 맛있습니다. 꽤 잔인하고 선정적인 장면도 있는데, 아무래도 극화적인 연출이고 색 자체가 쨍한 채도를 사용하다 보니 거부감은 좀 덜합니다.

다만 스토리 상의 개연성이 좀 약합니다. 주인공들이 분명 동기는 있는데 ’굳이 이렇게까지?‘ 하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주인공들의 과거나 내면심리 묘사에 좀 더 공을 들여야 시청자들이 납득이 좀 더 되지 않을까 싶네요.
앞으로 어떻게 이야기를 끌어가야 할 지도 숙제입니다. 분명 잘 만든 애니메이션이지만, 그저 잘 만들었다고 해서 살아남을 수 있을 정도로 요즘 ott 시장은 녹록치 않습니다. 이 작품만의 뭔가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어디서 하나씩 다 따온 것 같은 설정과 스토리는 이 작품이 고유한 주제의식이나 뚜렷한 스토리가 없이, 참고한 작품, 레퍼런스에 의해 계속 휘둘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가장 큰 약점입니다. 보면서 계속 원전이 된 다른 작품들이 생각나요. 좀 더 냉정히 이야기하자면, 자기 맛이 하나도 없습니다. 재미있게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완벽히 좋은 평가를 내릴 수가 없는 이유에요.



가여운 것들

‘가여운 것들’은 사실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영화 스틸컷을 보고 관심을 가져서 읽게 된 소설이에요. 이 감독 영화는 재밌게 본 적이 없는데(개인적으로는 은유의 사용이 지나치다고 봐요) 스틸컷 미술들이 밝고 화사한데 비해 시놉시스는 음울하고 변태적인게 제 스타일이더군요.

원작은 영화의 판타지틱하고 현대적인 연출과는 동떨어진,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음울하고 딱딱한 분위기가 짙습니다. 프랑켄슈타인 같은 그 시대 괴기소설을 오마주한 부분도 있구요. 이 잿빛 캔버스를 역동적인 극채색으로 물들이는 것은 주인공이자 이 작품의 주체라고 볼 수 있는 벨라 백스터입니다. 그야말로 아이같은 천진함과 에너지로 이 인물은 자신 주변의 모든 것을 흔듭니다. 벨라의 모험(?)이 작품의 중반부를 차지하고 상당히 몰입감 있게 읽히는 부분입니다. 어린아이의 감각으로 세상을 훑어가는 묘사는 매혹적입니다. 후반부로 가면 서서히 그녀는 세상의 아름다움과 선의 외에 다른 것도 학습하기 시작합니다. 결말은, 어떤 것이 진짜일까요? 벨라, 아니면 빅토리아? 읽으신 분들과 의견을 나누고 싶은데 좀 큰 스포라서 여기에 쓰기가 꺼려지네요.

작품 외적으로는 제가 영국과 스코틀랜드 역사에 대해 좀 알았더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겁니다. 일단 배경이 글래스고인데다가 주제의식과도 뭔가 연관이 있는 것 같거든요. 그걸 읽을 수 있는 눈이 제게 없다는 것이 아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눕이애오
23/12/16 11:49
수정 아이콘
푸른 눈의 사무라이 단군 유튜브에서 리뷰로만 봤는데 애니도 잘 안 본다는 사람이 평을 상당히 후하게 주더군요.
단군피셜 스토리 요약을 듣고나서 그렇게 재밌나?? 싶었는데 글쓴 분 말씀 들어보니 뭔가 스토리 라인보단 연출이나 몰입성 컨셉살리기가 뛰어난 게 장점인가 싶어요
23/12/16 20:01
수정 아이콘
애니메이션이라기보다는 껍질만 애니이고 내용은 영화나 드라마 같은 느낌이에요 크크
Jedi Woon
23/12/16 19:14
수정 아이콘
푸른눈의 사무라이는 원어가 영어라서 일어 더빙으로 봤습니다. 몰입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스토리 보단 액션 감상용으로 가볍게 보기 좋았습니다.
23/12/16 20:03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영어로 일본어를 발음하는 특유의 억양이 좀 신경쓰이긴 하더라구요. “미주우!!”하고 주인공 이름을 외치는데 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440 [일반] 정보의 과잉이 갈등을 부추긴다. [37] 푸끆이9509 25/01/06 9509 14
103439 [일반] 친부살해 무기수 재심 '무죄'…김신혜 "이렇게 오래 걸릴일인가 [53] 덴드로븀14680 25/01/06 14680 3
103438 [정치] NYT 기자, "윤 대통령 계엄은 북한, 중국과 러시아 독재자들 방식과 비슷하다" [51] 빼사스13388 25/01/06 13388 0
103437 [정치] 與 헌법재판소마저 흔들기... 조배숙 "헌법재판소 없애야 하지 않나" [54] 카린12399 25/01/06 12399 0
103436 [일반] 이노3D RTX 5090 사진 유출, 32GB 메모리,3.5슬롯 쿨러 [40] SAS Tony Parker 6443 25/01/06 6443 0
103435 [정치] 부정선거 동조한 국민의힘 새 대변인 "계엄은 과천상륙작전… 尹 한 방 보여줬다" [62] 퍼그10452 25/01/06 10452 0
103434 [정치] 국힘 의원 30여명, '尹영장 저지' 관저 집결. 지도부는 '개인차원의 행동이다' 거리두기 [94] EnergyFlow15514 25/01/06 15514 0
103433 [정치] 갈수록 견고해지는 정치 양극화를 보여주는 리얼미터 1월 1주차 여론조사 [84] 계층방정13395 25/01/06 13395 0
103432 [정치] 영장 집행 맡아달라... 공수처, 경찰에 일방 통보 [63] 하이퍼나이프12597 25/01/06 12597 0
103431 [정치] 답답한 마음에 29년전 의경으로 복무하던 때가 생각나 몇글자 적어봅니다. [24] 박한울8807 25/01/06 8807 0
103430 [일반] 강철의 연금술사전을 보고 왔습니다. [18] 及時雨7473 25/01/05 7473 6
103429 [일반] [2024년 결산] 2024 환희와 환멸 혼돈5766 25/01/05 5766 5
103428 [일반] [2024년 결산] 2024년 PGR21 자게에 제가 남긴 발자취 [7] 계층방정5596 25/01/05 5596 10
103427 [정치] 오늘의 정치뉴스 몇 가지 [75] 감모여재13112 25/01/05 13112 0
103426 [일반] 한국은 현재 저신뢰 사회를 만든 대가를 치루고 있습니다 [91] 멜로16656 25/01/05 16656 48
103425 [정치] 경호처장이 공포탄 사격후 안되면 실탄 발포 명령 [35] Dango13091 25/01/05 13091 0
103424 [정치] 윤 대통령 측 "공수처장·경찰 등 체포영장 집행 관여 150여 명 고발" [6] 다크서클팬더7456 25/01/05 7456 0
103423 [일반] [팝송] 카일리 미노그 새 앨범 "Tension II" [8] 김치찌개5561 25/01/05 5561 1
103422 [정치] 윤석열에게 천군만마가 된 공수처의 의도된 것 같은 패착 [40] 퍼그15889 25/01/04 15889 0
103421 [정치] 전광훈에 테라포밍되는 국민의힘, 강승규 등 국회의원 8명 탄핵반대집회 참여 [30] 계층방정9608 25/01/04 9608 0
103420 [정치] 윤석열은 내전을 간절히 원하는 것 같습니다. [76] This-Plus14648 25/01/04 14648 0
103419 [정치] 우리는 민주주의 잘 해야 합니다 [17] 슈테판8255 25/01/04 8255 0
103418 [정치] 소수의 엘리트와 운에 의해 발전한 한국 민주주의 [57] 헝그르르9258 25/01/04 925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