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1/26 13:27:08
Name kien
Subject [일반] Chatgpt를 키자: 미국의 범죄율/좀도둑에 관한 자료들.
https://pgr21.net/humor/490937
이거 보고 GPT로 팩트 체크를 시작해봤습니다.

https://www.pewresearch.org/short-reads/2020/11/20/facts-about-crime-in-the-u-s/

--> 미국은 20C 보다 21C 가 더 안전해졌다. (단 코로나 이전)

교도소 수감율 VS 범죄율?

CHATGPT: 미국에서 수감률과 범죄율 간의 관계는 복잡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논쟁의 대상입니다. 주요 발견 중 하나는 높은 수감률이 범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낮은 수감률이 낮은 범죄율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수감률이 범죄 억제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CHAT GPT가 검색한 위의 내용을 뒷받침해주는 관련 자료:
https://interrogatingjustice.org/ending-mass-incarceration/explainer-incarceration-rates-vs-crime-rates/#:~:text=Why%3F%20Some%20still%20believe%20that,do%20little%20to%20deter%20crime

https://dataspace.princeton.edu/handle/88435/dsp013x816q83m

https://cupola.gettysburg.edu/cgi/viewcontent.cgi?article=1877&context=student_scholarship#:~:text=Using%20the%202016%20States%20dataset%2C,states%20with%20lower%20incarceration%20rates

경찰 예산을 삭감해서 미국의 범죄율이 올라갔다?

특정 정책의 영향: 범죄 증가와 "경찰 예산 삭감" 운동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것은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합니다. 일부 도시들이 경찰 예산을 삭감했지만, 그렇게 크게 삭감한 곳은 많지 않습니다. 실제로 50대 대도시 중 경찰 지출은 일반 지출의 평균 13.7% 증가했으며, 적어도 24개 도시에서는 2021년 경찰 자금을 증액했습니다. 범죄 증가가 "경찰 예산 삭감" 의 "직접적 결과"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며, 전문가들은 팬데믹, 경제 침체, 인종 정의 시위와 같은 요인들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제안합니다.

https://www.politifact.com/factchecks/2021/jul/09/republican-national-committee-republican/gop-tweet-misfires-linking-crime-trends-democratic/

물론 CHATGPT 는 항상 저런 주장들이 지극히 복잡한 요소들이 서로 얽혀 있어서 함부로 단정하거나 Oversimplication(과다한 단순화) 하는 걸 경계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말해줍니다.


참고로 교도소의 수감율이 너무 높아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가 되었고 통과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2018)

+ 미국의 First Step Act: 2018년도에 연방정부 차원에서 수감율을 낮추기 위한 법안이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First_Step_Act

Scope of Impact: Within the first year of enactment, more than 3,000 federal prisoners were released based on changes to the good-time credits calculation formula under the First Step Act, and more than 2,000 inmates benefited from sentence reductions from the retroactive application of the Fair Sentencing Act of 2010.

첫 해에 3000명의 죄수들을 풀어준 법안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Doug_Collins_(politician)
--> 발의하신 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계층방정
23/11/26 14:01
수정 아이콘
ChatGPT가 자료도 잘 찾아주네요. 논문 검색할 때 존재하지 않는 가공의 논문을 만들어내는 것 때문에 조심하라는 말을 들었었는데 이거랑은 별개의 능력인가요.
23/11/26 14:37
수정 아이콘
요새는 Reference 도 달아주어셔 그것만 체크해주면 됩니다.
계층방정
23/11/26 14:50
수정 아이콘
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온한 냐옹이
23/11/27 00:41
수정 아이콘
전 reference달아달라고 하면 가공의 출처를 만들어 주던데 방법좀 쪽지로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ㅠ.ㅠ
롯데리아
23/11/26 14:51
수정 아이콘
상가포르에서도 비슷한 정책이..강력 범죄자와 그렇지 않은 범죄자를 철저히 나누어서 상대적 경범죄자들의 수감율을 낮추고 취급을 달리 했더니 범죄율이 감소했다는 뉴스를 읽었습니다
23/11/27 11:11
수정 아이콘
영어가 약하다보니 챗gpt같은 도구가 좀 더 발전했으면 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793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95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21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949 4
104163 [일반] 새 교황에 미국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은 레오 14세 [42] Davi4ever8030 25/05/09 8030 2
104162 [일반] [잡담]우리가 사는 시대가 미래에서 보면 벨에포크가 아닐까 생각하곤 합니다 [8] 여기3603 25/05/09 3603 3
104161 [일반] [컴퓨터 계층]기가바이트 그래픽카드가 죽었습니다 [15] Be quiet4503 25/05/08 4503 2
104160 [일반] 회피와 기회 [12] 번개맞은씨앗8638 25/05/07 8638 6
104159 [일반] 지나가다 에어팟 맥스 사용해본 후기 [23] 김삼관10544 25/05/07 10544 0
104158 [일반] 트럼프를 분석하는것 만큼 무의미한건 없다 [74] 고무닦이11236 25/05/06 11236 10
104157 [일반] 2025년 올해의 백상 대상작품 소개 (스포) [31] 바람돌돌이9775 25/05/06 9775 1
104156 [일반] 카페인을 끊기위한 노력 [54] reefer madness10571 25/05/06 10571 11
104155 [일반] 그 날, 1편 예의바른 아저씨가 된 그 날 [12] 똥진국6248 25/05/05 6248 9
104154 [일반]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11] 식별12191 25/05/05 12191 56
10415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5)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4 [3] 계층방정3721 25/05/05 3721 5
104152 [일반] 방송인 백종원은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21] 럭키비키잖앙19764 25/05/04 19764 16
104151 [일반] 이미 지피티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네요 [28] 김아무개11706 25/05/04 11706 1
104150 [일반] 트럼프 내년 예산안에 과학계 '발칵'..."멸종 수준의 사건" [99] 전기쥐11804 25/05/04 11804 8
104149 [일반] 만독불침은 정말 있었다! [17] 如是我聞6989 25/05/04 6989 1
104148 [일반] 분식의 추억 [2] 밥과글5227 25/05/03 5227 5
104147 [일반] 사법고시 최연소+김앤장 -> 통역사 [34] 흰둥11288 25/05/03 11288 7
104146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4)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3 [5] 계층방정3457 25/05/03 3457 5
104145 [일반] 생각보다 심각한 미국의 마약 문화와 그것을 매우 경계해야 하는 이유 [53] 독서상품권11206 25/05/02 11206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