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1/10 15:12:34
Name 두괴즐
Subject [일반] [독서에세이] 과학기술로 신이 될 사람 (上편): 「로라」
과학기술로 신이 될 사람 (上편): 「로라」
-김초엽의 「로라」를 읽고


<1> 김초엽, 「로라」: 신체강화(증강)의 전제는 무엇인가?

마블(MARVEL) 아이언맨(Iron Man)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지금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영화 속 토니 스타크(Tony Stark)는 우리 곁을 떠났지만,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본격적인 프로젝트는 이제 시작이라고 말합니다. 그중 하나가 ‘뇌-기계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로 이를 위해 만든 회사가 뉴럴링크(Neuralink)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이 기술이 신체가 마비된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고 장담합니다. 하지만

유발 하라리(Yuval Harari)는 이렇게 말합니다. “모든 업그레이드가 처음에는 치료를 이유로 정당화된다. 유전공학 또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실험을 하는 전문가들을 찾아가 왜 그런 연구를 하는지 물어보라. 십중팔구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라고 대답할 것이다.”(『호모 데우스』, 김영사, 2017, 85쪽.) 의학은 언제나 의학적 표준 아래로 떨어진 사람들을 구하는 일로 출발하지만, 그다음에는 같은 도구와 노하우로 표준을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도 이를 부인하지 않습니다. 도리어 그는 뉴럴링크가 치료를 넘어 증강(augmentation)으로 가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곧 인간에게 위협이 될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뉴럴링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인간지능을 증강하는 것으로 신체 마비 환자를 위한 치료는 첫 계단일 뿐입니다. 이 기술의 첫 번째 수혜 대상은 표준 아래에 있지만, 증강 기술이 확보된 뒤에는 이를 표준에 적용해 증강을 실천할 계획입니다. 그런데 과연 증강이 인간 1.0에서 시작되는 것일까요?



김초엽 작가의 단편 SF소설 「로라」(『방금 떠나온 세계』, 한겨레출판, 2021.)는 증강 기술이 인간 1.0에 쉽게 이식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보입니다. 작품 속 화자인 진은 자신의 연인인 로라를 이해하기 위해 긴 취재를 진행합니다. 그 결과물로 펴낸 책이 《잘못된 지도》입니다. 인간은 고유의 신체 지도를 가지고 있어서 팔과 다리를 의식하지 않을 때도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 압니다. 인간에게는 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고유수용 감각이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어긋난 고유수용 감각, 즉 ‘잘못된 지도’를 갖게 되는데, 연인 로라가 그런 경우였습니다. 그는 어릴 적에 큰 교통사고를 겪는데, 그때 이후로 ‘세 번째 팔’을 인지하게 됩니다. 이 새로운 팔은 로라에게 극심한 통증을 줍니다.



일반적인 환상통은 사고로 절단된 사지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로라는 원래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던 신체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양팔 이외의 다른 팔을 느끼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기존의 어떤 재활 치료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나마 효과가 있었던 치료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치료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로라는 세 번째 팔을 만드는 것을 유일한 방도라고 믿게 됩니다. 그러나 진은 이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사고 후유증으로 거짓 감각을 경험하게 되었다면 거짓 감각을 고칠 일이지, 가짜 팔을 다는 것이 어떻게 해결책이 될 수 있단 말인가?”(116) 진이 환상통을 겪는 사람들을 취재해서 《잘못된 지도》를 쓴 것도 이러한 로라를 이해하려는 시도였습니다.



「로라」에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분투도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신체를 증강(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코네티컷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세계 트랜스휴먼 연합은 ‘신체 증강 시술을 합법화하기 위해 증강 자율화 법안을 추진’하는 중입니다. 로라는 트랜스휴머니스트는 아니지만, 세 번째 팔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들의 투쟁의 기묘한 당사자가 됩니다. 로라는 세 번째 팔을 다는 수술이 신체 증강이나 취향에 따른 신체 변형이 아니라 자신이 지닌 ‘불일치’ 증상에 대한 치료 목적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했던 것입니다. “뇌의 잘못된 지도와 몸의 불일치를 신체의 변형을 통해 바로 잡으려고 한다는 점에서, 몸 정체성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로라는 유사”했습니다. 하지만, “신체에서 무언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더한다는 점에서는 트랜스휴먼들”과 유사합니다.(119)



일론 머스크와 같은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치료에 의해 발전될 증강 기술이 인간 1.0에 당연히 적용될 것으로 전제합니다. 여러 SF소설에 등장하는 트랜스휴먼의 경우도 기계와 안정적으로 결합한 형태를 주로 묘사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이행은 만만치 않습니다. 로라는 어렵게 증강을 치료로 승인받아 새로운 팔을 달게 되지만, 이는 증강이 아니라 ‘몸에 대한 훼손’, ‘차라리 결함을 갖기로 선택한 것’이 됩니다.

세 번째 팔은 오른쪽 어깨 부근의 근육과 신경에 연결되는데, 로라는 적응하지 못합니다. 팔을 제대로 가눌 수 없었고, 신체 접합 부위를 덮은 인공 피부에는 계속 진물이 났습니다. 무거운 세 번째 팔 때문에 자주 균형을 잃었고, 염증으로 계속 고생합니다. 종국에는 원래 가지고 있던 팔마저 기능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추이를 확인했던 담당의는 차라리 기계 팔을 떼는 것이 낫겠다고 조언합니다.



세 번째 팔은 치료이자 증강 기술이었지만, 신체는 이물질에 적극 저항했습니다. 그런데도 로라는 의사의 제안을 거절합니다. 세 번째 팔에 대한 감각의 강렬함이 진물로 인한 고통보다 더 강했기 때문입니다. 진은 《잘못된 지도》를 집필하는 여정 속에서 고유수용 감각 오류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다양한 이들을 만납니다. 그들 중 어떤 이들은 ‘스스로 결함을 갖는 결정을 내리는 자’이기도 했습니다. 로라는 언 듯 보기에 증강된 사이보그처럼 보였지만, 실은 결함을 선택한 자가 되었습니다.



한편 이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대목은 증강의 조건입니다. 그것은 강렬한 고통입니다. 잘못된 지도, 과잉 인지에 따른 심대한 고통입니다. 물론 기술이 발달하여 로라의 세 번째 팔이 좀 더 가벼워지고 유연해진다면 피부를 덜 짓누를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향상된 기계 팔도 로라의 고유한 팔일 뿐입니다. 인간 1.0은 세 번째 팔에 대한 고통이 없습니다. 신체는 존재의 장이지, 패션 액세서리가 아닙니다. 증강은 매끄러운 연장이 될 수 없으며,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의 계획과 달리 숱한 굴절과 한계 속에서 현실화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따라서 증강의 실천을 위해서라도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이미 존재하는 포스트휴먼, 즉 포스트휴먼 조건으로서의 호모사피엔스를 살펴야 합니다. 즉, 소수자의 존엄과 가능성을 탐구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편에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10 19:32
수정 아이콘
두괴즐님 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댓글이 적어서 아쉬운데 혹시나 맘 상하지 마시고 저같은 독자들도 많을 터이니 좋은 글 자주 올려주시기를 바랍니다.

저번 글 종의 기원담도 너무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두괴즐
23/11/10 22:30
수정 아이콘
네. 부지런히 써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782 [일반] 월 6만2천원에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기후동행카드' 드디어 나왔습니다 [53] 프로구214971 24/01/27 14971 0
100781 [일반] 파리엔 처음이신가요? [22] 아찌빠11166 24/01/27 11166 24
100780 [일반] [에세이] 이 길이 당신과 나를 더 가깝게 해주기를 [1] 시드마이어8509 24/01/26 8509 5
100779 [일반] 유럽연합의 규제에 맞춘, 애플의 서드파티 스토어 허용 + NFC 개방 발표 [30] Leeka11904 24/01/26 11904 3
100778 [정치] 비권 92학번은 동년배 운동권에 미안함을 느껴야할까? [167] 칭찬합시다.16532 24/01/26 16532 0
100775 [일반] 지방노동위원회 채용내정 부당해고 사건 패소 후기 [50] 억울하면강해져라15184 24/01/26 15184 47
100774 [일반] 도대체 왜 손흥민은 박지성보다 국대에서 부진하게 느껴질까? [170] 개념은?21788 24/01/26 21788 9
100772 [정치] 배현진, 서울 길거리에서 피습 [169] 김유라26647 24/01/25 26647 0
100771 [정치] 영남지역 교수가 경북일보에 이준석의 천하삼분을 응원하는 칼럼을 기고했네요. [471] 홍철16457 24/01/25 16457 0
100770 [일반] 5분기만에 SK하이닉스가 흑자 전환했습니다. [13] DMGRQ11456 24/01/25 11456 2
100769 [일반] 잊혀진 다이어트 - 32kg의 다이어트에 성공하고 난 후기 [23] 랜슬롯12211 24/01/25 12211 16
100767 [정치] 서천 시장 방문 관련 논란, 대통령실과 상인들의 다른 의견 [61] 빼사스16126 24/01/24 16126 0
100766 [일반] 주말에 23년을 회고할 장소 추천 합니다.(feat. 홍대 T팩토리) [3] 판을흔들어라12781 24/01/24 12781 4
100765 [일반] 가사를 좋아하는 노래들. [47] aDayInTheLife8925 24/01/24 8925 2
100764 [정치] 이준석-양향자 합당 선언…"서로 비전·가치에 동의" [34] Davi4ever14176 24/01/24 14176 0
100763 [정치] 위선도 안떠는 놈들 [179] 김홍기27559 24/01/23 27559 0
100761 [일반] [역사] 손톱깎이 777 말고 아는 사람? / 손톱깎이의 역사 [29] Fig.112700 24/01/23 12700 15
100760 [정치] 우리 정치의 일면 [58] 하늘을보면16203 24/01/23 16203 0
100759 [정치] 이언주 전 의원이 이재명의 요청을 받고 민주당으로 복당한다는군요. [78] 홍철17541 24/01/23 17541 0
100758 [정치] 대한민국 인구구조의 변화를 왜이리 낙관적으로 예상할까요? [59] 마르키아르14817 24/01/23 14817 0
100757 [정치] 윤 대통령과 한동훈 위원장 서천서 극적 만남 '화해' 모드 [103] 쀼레기16119 24/01/23 16119 0
100755 [일반] [번역] AGI 사례 연구로서의 자율 주행 [3] Charli10749 24/01/23 10749 6
100754 [정치] 한국 부동산의 미래가 미국(서브프라임), 일본(거품붕괴)보다도 더 처참하게 진행될 이유 [186] 보리야밥먹자20241 24/01/23 202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