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1/13 01:50:27
Name Narcis
Subject 흠~! 이번에는 우승자 징크스 깰 수 있을까?
뭐 4강전의 파장이.....진짜 pgr의 무서움 모습을 보게되었습니다

뭐^^ 이런 소리 안 하구요..제가 기대되는 건 앞으로 에버배 스타리그 이후의 모습입니다

이번 에버배 스타리그는 임요환or최연성선수가 우승을 하게 될 것인데...

"우승자 징크스'를 깰 지 가 너무 궁금합니다^^

뭐..이윤열선수..서지훈선수,강민선수.박용욱선수,박성준선수 등등.. 많은 우승자들이 우승자 징크스를 깰 수 있을까??

많은 기대를 했지만 강민선수는 죽음의 조에서 3위로써 탈락을 하고...박성준 선수는 어렵어렵게 재경기를 통해 8강까지는 갔지만 4강이 홍진호선수에게 좌절되고...

정말 그 당시 이번에 "강민"이라면 우승자 징크스를 깨겠지~이렇게 잘하는데??

이번에 "박성준" 이라면 깰꺼야!? 저그 첫 우승인데...투신 박성준은 우승주 징크스를 깰꺼야

결국 우승자 징크스를 이기지 못했고..기대 이상의 좋은 성적을 못 거뒀습니다

하지만 이번은 정말 더욱더^^ 기대됩니다

첫번째가 임요환 선수

이번 에버배 스타리그. 많은 분들이 3패를 예상 했지만..현재 에버배 성적은 7승 1패.엄청난 승률을 자랑하고 있고

"박서..이번에는 떨어지겠지.."
"아 박서~~이번에는 힘들어~"

모두 그랬지만 결국 이겨내고. 해냈습니다

결국 "결승"이라는 정말 다시 못 올것 같았던 자리에 왔습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유일하게 우승자징크스가 없는 임요환 선수지만

이번에 우승하게 된다면...우승자 징크스를 깰 수 있을까? 기대되요^^

두번째는 최연성 선수

정말 포스는 가장 강력합니다...뭐 어떤 선수가 최연성을 만나면 어떻게 될까 예상을 하면

뭐 그 선수가 잘하긴 잘하지만 결국은 최연성이 이길꺼야. 라는 생각

제가 최연성을 선수를 이렇게 생각합니다. 정말 승리라는 부분에서는 가장 신뢰하고 있습니다.

만약 우승을 한다면? 그 기세 좋던 "강민"도..그렇게 싸움 잘하던 "박성준"선수도 결국 이겨내지 못한 우승자 징크스

최연성 선수가 우승한다면 깰 수 있을까요?^^

뭐 벌써 김칫국 먹는것 같지만. 전 부분이 가장 기대되는군요^^

앞으로 결승전 3/4전 남았는데..모든 선수를 시드를 위해'-'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해주시기 바랍니다^^

(p.s 제 예상 이번 결승전 임요환vs최연성은 5:5입니다! 임요환 선수 경기는 언제나 5:5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픈비
04/11/13 01:53
수정 아이콘
후..이왕 이렇게 된거 우승해버리는게 어떨지..ㅠ_ㅠ;
박서화이팅!!!!!!!!!!
임정현
04/11/13 01:57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 8강에서 떨어졌죠...
04/11/13 01:59
수정 아이콘
참 분위기라는게...... 이윤열 선수도 엠겜에서 3연승까지하고 그랜드 슬램까지 하면서도 온겜에서 징크스를 떨쳐내지 못한 것을 보면 참 의아하긴 합니다. 우승하고 다음경기 4강까지만 가도 징크스는 깨지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과연 누가 먼저 깰 것인지 저도 궁금합니다.(워낙에 징크스라는 것이 깨지면 금방 또 깨지는 분위기를 타는 것인지라 그 뒤에 3~4연승 하는 빅스타가 생길지도 모르는 일이죠.)
밀레이유부케
04/11/13 01:59
수정 아이콘
언제부턴가 박서는 강자랑 붙든 약자랑 붙든 항상 5:5일 것 같은 느낌입니다.
박서 파이팅!!!!!!!!!!!!!!!!!
마법사scv
04/11/13 01:59
수정 아이콘
경기 내용들이 기대되네요. 최연성 선수의 저번 인터뷰 때문인지. ^^
만약, 최연성 선수가 우승한다면 우승 징크스는 무~난히 깰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Narcis님과 마찬가지로 승리라는 부분에서는 가장 신뢰하고 있는 최연성 선수이기에 ^.~
ArcanumToss
04/11/13 02:01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가 임요환 선수를 단 한 판도 못이긴 맵도 있고 임요환 선수가 최연성 선수를 단 한 판도 못이긴 맵이 있다는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저도 기대됩니다.
청출어람일지 노장의 부활일지...
맑☆은☆아☆
04/11/13 02:02
수정 아이콘
우승자 징크스란게.... 요즘 언급이 온겜넷 한회 우승한후 다음리그 4강을 갈정도가 돼어야 됀다는 식인데........ 그거 엄청 힘든거죠.. gg;;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 그거는 징크스때문에 4강을 못가는게 아니라 그냥 4강가는것도 힘든거 아닌가요.^^:;;
04/11/13 02:02
수정 아이콘
아이디 이쁘네요~-0-ㅋ
그래도 우승을 해도 그 기세는 남아있는데 그 기세로 16강 8강에서 좌절된다는 게 신기한거죠~^^;;
ArcanumToss
04/11/13 02:02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의 인터뷰를 보면 임요환 선수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참... 순수한 선수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박정석 선수를 이겨서 잠시 밉긴 했지만요.
블루스카이
04/11/13 02:05
수정 아이콘
사제간의 결승전도 기대되고 그에 따른 우승자 징크스도 기대됩니다^^ 결승전은 같은 팀의 같은 테란 유저라서 저도 5:5의 박빙으로 보구요, 우승자 징크스는 그 때가 되어봐야지 알 것 같아요.^^;
04/11/13 02:07
수정 아이콘
청출어람...안되~~~-0-
여름하늘_
04/11/13 02:09
수정 아이콘
결승전에서 보란듯이 이겨주세요. 박서.
타나토노트
04/11/13 02:09
수정 아이콘
우승자 징크스를 깨게 된다면 더 나아가 아예 2연속 우승도 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요^^;; 결승전과 더불어 3,4위전도 기대 많이 하고 있습니다. 맵 어쩌고 해도 박정석vs홍진호 이기 때문에 좋은 경기를 기대합니다^0^
적 울린 네마리
04/11/13 02:28
수정 아이콘
서로 퓨전하라~~~!! 이번 결승전의 주제가 될듯 합니다.

최테란.... 물량과 자리잡기로 대변되는 고수
임테란.... 타이밍과 콘트롤의 대명사

이둘은 서로를 꺾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최대한 자신으로 흡수해야 하지 않을까?? 이미 충분히 동화되었지만~~

그로인해 이번 결승전은
보다 한타임 더 빠르게 초반 승부를 볼려는 전략의 최테란과
물량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참고 막고 그러다 물량폭발 임테란의 싸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쌩뚱맞은 상상도 해봅니다.

둘의 화려한 공중쇼도 기대도 기대되구요~
손가락바보
04/11/13 02:3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번 최연성:박용욱 도 그렇고 이번에도 아무나 이겨도 좋다였는데 오늘 사태를 보니 임요환 선수 꼭 우승하길... 보란듯이 우승했으면 좋겠네요.
Connection Out
04/11/13 02:50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 챌린지 우승때부터 이상하게도 억울한 말만 듣더군요.

신인들 틈에서 챌린지 우승해서 시드 받은것이다....부터
조예선에서는 3패로 탈락할 것이다...
급기야 오늘에는 희대의 악당 취급까지 받는군요..
매트리스
04/11/13 03:21
수정 아이콘
그냥 누가 됐건 깽판치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소행인거 같으니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될것 같은데요? 결승전 너무 기대됩니다!!
"아 GG! GG!'
04/11/13 06:58
수정 아이콘
우승자 징크스의 기원은 2001sky배 김동수 선수의 우승 이후 전통적으로 내려온 온게임넷의 법칙이죠.그래서 온게임넷에서는 유일하게 2연속 우승과 1번의 준우승을 한 임요환선수가 대단한거죠.
바카스
04/11/13 07:23
수정 아이콘
전 무엇보다도 10번 진출에 5번씩이나 결승진출을 해버리는 박서의 능력이 더 신기하군요 -ㅁ-;;(뭐, MBC에서는 3번 진출에 3번 죄다 우승이라는 말도 안 되는 타이틀을 보유한 선수가 둘씩이나 있으니 -_-;;;)
04/11/13 09:00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의 경우는 우승자 징크스에 해당안된다고 여겨집니다..
AceTJAce
04/11/13 10:16
수정 아이콘
첫번째 경기가 온갖 전략이 난무하는 비프로스트라 저는 조심ㅅ레 박서의 우세를 점칩니다.
04/11/13 11:27
수정 아이콘
박서를 응원하기란 이러케 힘든가..싶은 오늘입니다...
청출어람...음 싫은데...박서 꼭 멋진경기로 우승 먹읍시다..
"아 GG! GG!'
04/11/13 12:11
수정 아이콘
2001 sky배 우승 이후 우승자들의 성적을 보면 김동수,박정석,이윤열,박용욱,강민선수는 16강에서 탈락했고 변길섭,서지훈,박성준 선수는 8강에서 탈락했습니다. 일단 우승자 중에서 8강까지 갔던 변길섭,서지훈,박성준 선수 중에서 서지훈선수와 박성준선수는 16강에서 재경기를 통해 8강에 간 반면 변길섭선수는 3승으로 그냥 8강으로 진출했고 또 8강 첫경기에서는 조용호 선수까지 잡아내면서 7연승을 하다가 neo bifrost에서 박정석 선수의 몰래리버에 일꾼 몰살당하면서 연승이 끊겼죠. 그 다음에 베르트랑 선수와의 4강 티켓을 놓고 대결했는데 그 경기에서 지는 바람에 정말 아쉽게 8강을 탈락했죠. 고로 우승자 징크스 중에서 그나마 제일 자유로웠던 선수는 변길섭선수겠죠.
04/11/13 13:17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 우승자 징크스죠. 자신도 그렇게 인정한 인터뷰를 보았고요.
결국 이번 16강도 재경기로 어렵게 올라온데다가, 8강에서 2:0으로 셧아웃 당하지 않았습니까?
질레트배 시드배정자 4명 중 유일하게 4강에 못 든 선수이기도 합니다. 나머지 3명은 다 그대로 4강에 들어왔죠. 전대회 우승자가 이정도면 우승자 징크스라고 봐야할듯.
어제뿌린씨앗
04/11/13 13:5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된거, 정말 우승하십시오. 박서-.
박서, 화이팅입니다!!!!!
fallmagic
04/11/13 16:40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도 올림푸스 우승하고 마이큐브 8강에서 1승2패하며 탈락했는데 우승자 징크스라 했지요..그러니 박성준 선수도 징크스 맞는거 같습니다..더군다나 8강에서 1승도 못하고 패했으니..
lovehannah
04/11/13 23:33
수정 아이콘
4강전과 관계없이 머슴팬이므로, 최연성 선수의 우승을 기대해봅니다.

요환선수가 원체 전략적인 선수라, 임선수의 초반 흔들기를 어떻게 잘 막아내느냐에 따라 승패가 좌우되겠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59 아주 먼 곳의 목소리 [3] 총알이 모자라.3460 04/11/17 3460 0
8772 피지알 서버 이전 및 접속 장애 안내 [9] canoppy5537 04/11/04 5537 0
9058 영세구단에 연습생 난을 줄이는 방안 [13] 양동원4115 04/11/17 4115 0
9057 EVER스타리그 결승전 예고편 [28] OnePageMemories4672 04/11/17 4672 0
9056 차기 시즌 맵은.... [32] BaekGomToss3838 04/11/17 3838 0
9055 [잡담]워3리그.. 예,살리긴 살려야죠 [19] 김우중3563 04/11/17 3563 0
9054 E-sports가 선수를 죽인다. [25] SonOfDarkNess4591 04/11/17 4591 0
9053 [펌]한빛 이재균 감독 연습생 선발에 진땀. [12] 마리아4730 04/11/17 4730 0
9052 MBC GAME TEAM LEAGUE OPENING [49] OnePageMemories4608 04/11/17 4608 0
9050 듀얼토너먼트 대진표 예상 [30] Altair~★5334 04/11/16 5334 0
9049 최단 기록 경기가 경신됐습니다...(약간의 스포일러) [16] 내 머리 속의 5327 04/11/16 5327 0
9047 올 해 수능 문제 또 유출되었나 보네요. [28] 바카스4847 04/11/16 4847 0
9046 생뚱맞은 글하나 써봅니다 ^^(그렇다고 이상한글 아닙니다;;;) [7] 사탕발림꾼3452 04/11/16 3452 0
9045 프리미어 통합 챔피언 결승 저그 대 저그 가능성 큽니다. [37] 반지의제왕4326 04/11/16 4326 0
9044 마지막 프리미어 리그의 경기 배치에 관하여. [12] 마동왕3318 04/11/16 3318 0
9043 방송사 규정을 제대로 지켜주셨으면 합니다.[또 수정 ㅠ..ㅠ] [61] 테란유저4748 04/11/16 4748 0
9041 바둑의 대국방식을 스타에 도입한다면.... [3] 이창우3542 04/11/16 3542 0
9040 임요환 선수의 부전패 사건때 나도현 선수의 기절 사건이 생각난 것은 저뿐인가요??? [22] 임정현6357 04/11/16 6357 0
9039 [잡담] let's get rid of the cyber identity of ourselves. [8] 하와이강4426 04/11/16 4426 0
9038 엽기적인 그녀에서 처럼.......... [6] 아이러브스타3303 04/11/16 3303 0
9037 이제것 노력해왔던 것만큼. [23] 대세를향한미3458 04/11/16 3458 0
9036 [응원]져도 괜찮습니다!! [10] 최재형4066 04/11/15 4066 1
9035 그 때가 생각납니다.. [21] iloveshia3424 04/11/15 34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