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0/11 12:13:16
Name lotte_giants
Subject WCG 최종 결과입니다.
카운터스트라이크:컨디션제로

금 Team3D(미국)
은 Titans(덴마크)
동 Maven(한국)
4위 SKGaming(스웨덴)

스타크래프트 부르드워

금 서지훈
은 전상욱
동 Christian Drechsler(불가리아)
4위 Andrey Kukhianidze(러시아)

워크래프트3 프로즌쓰론

금 Manuel Schenkhuizen(네덜란드)
은 황태민
동 Merlo Yoan(프랑스)
4위 Dennis Chan(미국)

피파 2004

금 최대한
은 Bruno Carrico(브라질)
동 Daniel Rasche(독일)
4위 Stefan Bromund(독일)

언리얼 토너먼트 2004

금 Laurens Pluymaekers(네덜란드)
은 Maurice Engelhardt(독일)
동 Roman Verenko(우크라이나)
4위 christian hoeck(독일)

니드포스피드:언더그라운드

금 niklas timmermann(독일)
은 유명춘
동 Andre Luiz Coliado de Macedo(브라질)
4위 Christopher Soyka(폴란드)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2

금 Arthur Vankan(네덜란드)
은 Juergen Unger(오스트리아)
동 Max Haverkamp Begemann(네덜란드)
4위 Adam Murray(캐나다)

헤일로

금 Matthew Leto(미국)
은 Nelson Triana(캐나다)
동 Dave Walsh(미국)
4위 Sebastian Droschak(독일)

최종 순위
1위 네덜란드 금 3(워크래프트 3, 언리얼 토너먼트 2004,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2)
                  동 1(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2)
2위 한국 금 2(스타크래프트, 피파 2004)
            은 3(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3, 니드포스피드:언더그라운드)
            동 1(카운터스트라이크:컨디션제로)
3위 미국 금 2(카운터스트라이크:컨디션제로,헤일로)
            동 1(헤일로)
4위 독일 금 1(니드포스피드:언더그라운드)
            은 1(언리얼 토너먼트 2004)
            동 1(피파 2004)
5위 브라질 은 1(피파 2004)
               동 1(니드포스피드:언더그라운드)
6위 덴마크 은 1(카운터스트라이크:컨디션제로)
     오스트리아 은 1(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2)
     캐나다 은 1(헤일로)
9위 불가리아 동 1(스타크래프트)
     프랑스 동 1(워크래프트 3)
     우크라이나 동 1(언리얼 토너먼트 2004)

약간은 아쉬운 결과입니다만, 그동안 우리나라가 변방이었던 fps와 레이싱에서 귀중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나름대로의 성과도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계기로 다른 장르의 게임도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최선을 다하신 선수들에게 박수를 보냅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홍석
04/10/11 12:16
수정 아이콘
아쉽다니요~ 자랑스러울 뿐이지요. 전 결과도 소중하지만, 우리 젊은 선수들.. 좋은 해외여행 경험이 되셨음 하네요~ 결과에 대한 압박에 구경한번 못하고 발길을 돌리시지 않기를.. ^^
요시오카세이
04/10/11 12:17
수정 아이콘
아..워크레프트 부분이 조금 아깝네요...1등 했다면 좁합1위도 가능했을텐데...암튼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Toforbid
04/10/11 12:21
수정 아이콘
가장 많은 메달과 가장 많은 종목에서의 메달. 훌륭합니다.
04/10/11 12:49
수정 아이콘
훌륭합니다..짝짝짝~~!!!
안전제일
04/10/11 13:13
수정 아이콘
레이싱과 fps에서의 선전...정말 반갑습니다^^/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초차원마장기
04/10/11 13:1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올해는 스타크래프트부문에서 팀플이 없어졌나요?
ArtOfakirA
04/10/11 13:33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는 성적이 어떻게되죠?
04/10/11 13:35
수정 아이콘
자랑스럽습니다.
....만, 은메달 세개 중 하나만 금메달이었으면... 하는 생각도 없지는 않네요.^^;

아무튼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04/10/11 13:51
수정 아이콘
이재훈 선수는 전상욱 선수에게 밀려 탈락했다고 들었습니다.
어쨌든 스타같은 경우는 확실히 실력차이가 나는듯 ^^; (우리나라와 외국)
04/10/11 13:51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는 8강전에서 전상욱 선수와 대결했죠
04/10/11 14:02
수정 아이콘
잘했네요 .. 역시 스타강국 "한국" 이제 낙인됫겟죠
04/10/11 14:36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 1경기에서 실컷 재미 보다가 지시고 나서 아마 사기면에서 전상욱선수에게 좀 밀려 2경기까지 내주신 듯..전상욱선수는 정말 침착한 듯^^;
FlytotheSKY
04/10/11 14:55
수정 아이콘
메이븐이 동메달을 땄군요!!! (메이븐 만세~~!) 반면, 이제 유럽으로 가게 될 황태민 선수는 은메달.... 아쉽네요.... 그거 땄으면 종합우승인데.... 뭐, 스타크래프트, 피파 이외의 종목에서 선전했으니 그것으로 만족하렵니다.... 한국에도 워3와 카스, 기타종목의 부흥이 일어나기를...
스타나라
04/10/11 15:12
수정 아이콘
메달이 무려 6개나 됩니다^^

당신들이 자랑스럽습니다...모두들 수고하셨어요~
04/10/11 15:17
수정 아이콘
올림픽때도 그랬지만, 금메달 갯수가 중요한게 아니죠. ^^ 모두 열심히 최선을 다해주신데 대해 박수를!! 짝짝 -_-;;
04/10/11 15:18
수정 아이콘
스타는 이제 WCG 종목에서 빠졌으면 좋겠네요...
솔직히 작년부터 스타는 빠졌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음...
고양이
04/10/11 15:28
수정 아이콘
이제 방송에서 좀 더 다양한 리그를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스타만 1주일 내내 보기는 지겨워요..ㅠㅠ
하이맛살
04/10/11 15:38
수정 아이콘
우와 sk팀을 메이븐 클랭이 이겼군요
메이븐 대단해요~~
박용열
04/10/11 15:58
수정 아이콘
니도포스피드
순간 중국선수인줄 알았네요..

카스쪽에서도 우리나라의 실력이 뒤지지 않았다는게.. 와우 네요..
FlytotheSKY
04/10/11 16:07
수정 아이콘
원석님//진작에 빠졌어야죠 -_-;
hyun5280
04/10/11 16:26
수정 아이콘
wcg 한국선수단 수고하셨습니다.
정석보다강한
04/10/11 16:55
수정 아이콘
와우~~ 좋은 소식이네요~!!! ^^
04/10/11 16:56
수정 아이콘
메달수에선 우리나라가 1등이라고 -_-.. 우겨봅니다;;..
음 카스의 선전은 워3의 목요일 안방을 뺏은듯한 미안한기분에 더욱 분전한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말 잘해주셨네요.. 우리나라가 카스 동메달^^ 앞으로 리그전도하니 내년엔 더 좋은성적 기대할수있을것같네요 이제 헤일로 언리얼같은 게임에서만 메달권에들면 말그대로 게임강국.. 게임지배국..이 될수있을것같네요 내년엔 온라인게임도 염두에 두고있다고 하던데 온라인게임하면 또 우리나라죠^^ 작년엔 종합3위 이번년도엔 종합2위.. 내년엔 종합1위를 당연히 할거라 의심치않습니다!
04/10/11 17:02
수정 아이콘
와우, 네덜란드도 은근히 게임 강국이네요!
전 우물안 개구리 같은 생각으로 한국을 종합순위에서 제친다면
미국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하여간 한국선수들 모두모두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04/10/12 01:28
수정 아이콘
은3의 압박 ㅠ_ㅠ
동동구리물
04/10/12 12:37
수정 아이콘
메이븐의 동메달과 니드포스피드의 유명춘선수의 은메달이 눈에 띄는군요. 모든 선수들 고생하셨구요. 메달이 중요한건 아니니 최선을 다하고 거기에 만족하면 됐죠.^^
나라야
04/10/14 16:39
수정 아이콘
메달 수로는 1위 했네요 -ㅁ-! 한국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21 게임완전정복이 끝났더군요. [2] 은빛영혼3431 04/10/12 3431 0
8220 배틀넷에서도 언행을,, [21] 감동은요환3382 04/10/12 3382 0
8219 3번째로 나타날 중복우승경험자는? [65] nexist5482 04/10/12 5482 0
8217 이런 똥같은 욕쟁이들 !! [16] 비롱투란3656 04/10/12 3656 0
8215 각 종족별 능력 개발 비용에 대한 짧은 생각들 [24] choboChicken5414 04/10/12 5414 0
8214 허접이 되어갈 때의 시원섭섭함. [4] 버로우드론3581 04/10/12 3581 0
8213 강민 vs 최연성... 전부 다른 맵에서 했군요... 머슴은 정말 머슴답다... [39] 피플스_스터너8413 04/10/12 8413 0
8212 [잡답스런 관전평]안선생님 잘 배웠습니다 ^^ [12] TheLordOfToss3782 04/10/12 3782 0
8211 리버의 스캐럽의 판정이... [53] 그림자8101 04/10/12 8101 0
8210 ...'나에게는 더이상 잃을 것이 없다' [14] Lucky_Flair4315 04/10/12 4315 0
8209 나의 침묵 [7] 뉴[SuhmT]3765 04/10/12 3765 0
8208 요즘 테테전이 왜이리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10] 김경송3341 04/10/12 3341 0
8207 테란 대 플토, 요새 테란들이 사용하는 '무적 빌드'가 있네요. [36] 스타만쉐!6778 04/10/11 6778 0
8206 스타크래프트의 고수가 되는 10가지 방법 [16] legend4077 04/10/11 4077 0
8205 이번 WCG에 대하여..... [6] snookiex3369 04/10/11 3369 0
8204 스타리그 주간 MVP... (10월 둘째주) - 최연성 [108] 발업질럿의인4456 04/10/11 4456 0
8203 성제양 속에 가려진 .......... [21] 비롱투란5344 04/10/11 5344 0
8202 오랜만에 글쓰네요. [4] 저그맵을 꿈꾸3269 04/10/11 3269 0
8201 성우 장정진씨 별세 [45] Shining_No.14280 04/10/11 4280 0
8200 소름끼치는 컨트롤.. 악마토스.. [27] SetsuNa5189 04/10/11 5189 0
8199 전상욱선수 서지훈선수의 팔을 뿌리쳐버리네요-_-; [117] 동헌9773 04/10/11 9773 0
8198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 [15] Dark..★3526 04/10/11 3526 0
8197 이벤트전... [5] 굼시3263 04/10/11 32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