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0/10 16:57:47
Name BaekGomToss
Subject 힘든 하루를 보내고
오랜만에 Write 버튼을 누르게 되는 군요. 요즘 시험기간의 압박과 귀차니즘의 등장등으로 그렇게 많은 글을 남기지 못한 편입니다.

한명의 아마추어 스타크래프트 플레이어, 한명의 아마추어 맵퍼, 그리고 한명의 온게임넷,그리고 MBC Game 시청자.

이게 스타크래프트와 관련된 저의 자그마한 이름들입니다. Neo Gamei 에서 차고 차인 점수인 1100 점대 밖에 안되고(물론 한때 태란만 만나면서 1250점 때까지 올랐지만) 길드원들 사이에서는 '태란만 잘잡는 녀석' 말만 듣고 있습니다. 물론 플플전도 자신 있다고 자부하고는 있습니다.

The Challenge

도전. 이 말은 어쩌면 시련의 시작일지도 모릅니다.

언젠가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도전 했을때, 다크아콘을 보며 '어떻게 만드는지' 밤새 연구를 했던 기억.

스타크래프트 맵 에디터를 처음 키고 맵을 꾸미다가 스타팅 포인트를 지정하지 못하고 저장버튼을 누른뒤 뜨는 경고메세지를 보고 '저장됬구나' 싶어서 종료 버튼을 눌렀던 기억.

처음 친구들과 길드를 만들고 카페를 만들면서 수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던 기억.

모든 것이 '도전' 으로 나온 것이고 이 '도전' 에는 시행착오가 있기 마련입니다.

The middle class.

시행착오를 하나하나 겪어가다보면 어느새 '능통'하지는 않지만 '전혀 모르는 것' 도 아닌 중수 수준의 레벨이 되있을 겁니다.

프로게이머와 우연히 게임을 해서 쉽게 지고 리플레이를 보면서 밤새 연구 했던 기억.

매일 지기만 하던 태란 친구를 이기기 위해서 밤새 대 태란전만 했던 기억.

처음 만든 맵을 인터넷에 올리고 문제점이 적힌 뎃글을 보며 수정했던 기억.

드디어 길드원끼리의 자체 리그를 펼치며 하루종일 대진표와 씨름했던 기억.

게임 방송을 보며 선수들의 플레이를 감상하면서 미리 결과를 상상했지만 결과가 다르게 나왔던 기억.

물론 이런 것들도 도전에 수반되는 수행착오에 하나일 겁니다. 하지만 최소한 처음에 겪었던 수행착오를 벗어나, 이제 당신은 '이제 나도 중간만큼 한다' 라는 것을 느낄수 있을 겁니다.

그 중간, 상당히 애매한 것입니다. '잘하지도 않지만 못하지도 않는' 그런 애매한 상태. 중간이라는 것은 그런 것입니다. 못하는 사람들만 있다면 지도자가 되겠지만 잘하는 사람만 있다면 하수가 되는, 그런 위치 입니다.

The class of the Top

당신은 도전을 시작해서 수 많은 시행 착오 끝에 최고의 자리에 오르신적 있습니까?

누구든지 어느 방면에서도 최고의 자리를 원합니다. 그들은 쉽게 중간까지 갈수 있겠지만 그곳부터 더욱 힘든 길이 펼처진, 히말라야 산맥들 처럼 일반인은 중간까지 갈수는 있어도 최고가 아닌 이상 끝까지 가기 힘든..... 그런 곳이 바로 어느 위치에서든 '최고'의 자리입니다.

물론 스타크래프트 플레이어의 최고 자리는 프로게이머이고 프로게이머의 최고자리는 우승입니다.

맵퍼의 최고 자리는 방송에서 프로게이머들이 펼칠 전장을 디자인하는 것이겠죠

길드원의 최고 자리는 길드에서 최고 잘하는 사람으로 인정 받는 겁니다. 그리고 길드원들끼리 예기할때 '우리길드에서 중요한 사람' 이고 타 길드와의 팀 배틀에서 선봉으로 자랑스럽게 내새울수 잇는, 그런 플레이어 겠지요. (물론 길드 전체의 실력에 따라 그 최고자리가 달라지겠습니다만.)

수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것도 어렵지만, 그 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Top need the never forget of the basic.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면, 그 자리에서 더욱 오래 있기 위해서는 자신을 최고에 자리에 올려주었던 '기본'을 잊지 않는 겁니다.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는 만족감으로, 자신을 최고로 만들어 주었던 기본을 잊고 최고라는 자리에서 얻어지는 권력만을 행사하려 한다면, 당신은 눈 깜작 하는 사이에 최고의 자리에서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최고에 자리에 있다가 떨어진 자에게 다시 최고의 자리는 더욱 험난한 길입니다.

오늘도 저는 학업, 스타, 그리고 게임. 이 3군대의 최고가 되기 위해 욕심을 부리고 있고, 그로 인해 힘든 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물론 힘들고 외로운 하루겠지만, 앞으로 최고가 되는 그날까지, 연구하고 노력하면서 자신을 가꾸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미
04/10/10 17:05
수정 아이콘
전 아무 것도 최고가 아니기에 걱정됩니다. 하지만 노력해야겠죠. 글 잘 읽었습니다. ^^
04/10/11 16:14
수정 아이콘
하고 싶은게 참 많으신 분이군요.
꼭 그런 사람이 되시길 빌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21 게임완전정복이 끝났더군요. [2] 은빛영혼3431 04/10/12 3431 0
8220 배틀넷에서도 언행을,, [21] 감동은요환3382 04/10/12 3382 0
8219 3번째로 나타날 중복우승경험자는? [65] nexist5482 04/10/12 5482 0
8217 이런 똥같은 욕쟁이들 !! [16] 비롱투란3656 04/10/12 3656 0
8215 각 종족별 능력 개발 비용에 대한 짧은 생각들 [24] choboChicken5414 04/10/12 5414 0
8214 허접이 되어갈 때의 시원섭섭함. [4] 버로우드론3581 04/10/12 3581 0
8213 강민 vs 최연성... 전부 다른 맵에서 했군요... 머슴은 정말 머슴답다... [39] 피플스_스터너8413 04/10/12 8413 0
8212 [잡답스런 관전평]안선생님 잘 배웠습니다 ^^ [12] TheLordOfToss3782 04/10/12 3782 0
8211 리버의 스캐럽의 판정이... [53] 그림자8101 04/10/12 8101 0
8210 ...'나에게는 더이상 잃을 것이 없다' [14] Lucky_Flair4315 04/10/12 4315 0
8209 나의 침묵 [7] 뉴[SuhmT]3765 04/10/12 3765 0
8208 요즘 테테전이 왜이리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10] 김경송3341 04/10/12 3341 0
8207 테란 대 플토, 요새 테란들이 사용하는 '무적 빌드'가 있네요. [36] 스타만쉐!6778 04/10/11 6778 0
8206 스타크래프트의 고수가 되는 10가지 방법 [16] legend4077 04/10/11 4077 0
8205 이번 WCG에 대하여..... [6] snookiex3369 04/10/11 3369 0
8204 스타리그 주간 MVP... (10월 둘째주) - 최연성 [108] 발업질럿의인4456 04/10/11 4456 0
8203 성제양 속에 가려진 .......... [21] 비롱투란5344 04/10/11 5344 0
8202 오랜만에 글쓰네요. [4] 저그맵을 꿈꾸3269 04/10/11 3269 0
8201 성우 장정진씨 별세 [45] Shining_No.14280 04/10/11 4280 0
8200 소름끼치는 컨트롤.. 악마토스.. [27] SetsuNa5189 04/10/11 5189 0
8199 전상욱선수 서지훈선수의 팔을 뿌리쳐버리네요-_-; [117] 동헌9773 04/10/11 9773 0
8198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 [15] Dark..★3526 04/10/11 3526 0
8197 이벤트전... [5] 굼시3263 04/10/11 32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