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0/10 11:52:27
Name evil
Subject WCG 2004 현재 메달 순위와 남은 경기입니다.
현재 메달 순위(한국 시각 : 2004/10/10 - AM 11:47에 작성 -_-)

1위   네덜란드   금2(프로젝트 고담, 언리얼 토너먼트) 동1(프로젝트 고담)

2위      독일      금1(니드포스피드) 은1(언리얼 토너먼트)

3위      미국      금1(헤일로) 동1(헤일로)

4위      한국      은1(니드포스피드)
4위 오스트리아  은1(프로젝트 고담)
4위    캐나다     은1(헤일로)

7위    브라질     동1(니드포스피드)
7위 우크라이나  동1(언리얼 토너먼트)


남은 경기

Counter-Strike : Condition Zero
결승전  - 덴마크(Titans) vs 미국(Team3D)
3-4위전 - 한국(MaveN) vs 스웨덴(SKGaming)

FIFA Soccer 2004
결승전  - 한국(Volcano) vs 브라질(g3xcarrico)
3-4위전 - 독일(aL_smeyer) vs 독일(aL_BroDo)

StarCraft: Brood War
결승전  - 한국(xellos_kr) vs 한국(midas[gm])
3-4위전 - 러시아(android_3d) vs 불가리아([3wD]Christian)

WarCraft III: Frozen Throne
결승전  - 한국(WelComeTo) vs 네덜란드([4K]Grubby)
3-4위전 - 미국(Shortround) vs 프랑스(yoanm)

WCG 2004 Special Tournament - Pangya
한국vs대만(3-4위전) - 특별전 게임이라 할지 안할지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delweis_s
04/10/10 11:55
수정 아이콘
팡야-_-;;
바카스
04/10/10 11:56
수정 아이콘
스타 부문을 보면서 느끼는 생각.

한국 양궁이랑 스타랑 똑같다.(국내 예선만 뚫으면 금메달 확정이다 -_-)
The Siria
04/10/10 11:59
수정 아이콘
팡야는 시범종목이라서 메달 집계에서는 빠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04/10/10 12:01
수정 아이콘
바카스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 -_-/
04/10/10 12:03
수정 아이콘
wcg를 가보니 빠져 있더군요. 수정하겠습니다. 팡야 제외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Naraboyz
04/10/10 12:07
수정 아이콘
팡야는 결승못간건가요?-_-;;
04/10/10 12:13
수정 아이콘
팡야 결승에서 한국의 Hyunwoo Ahn님께서 대만을 꺾고 우승을 했지만 정식 8종목에는 포함 되어 있지 않습니다. wcg 영문 사이트를 찾아 보시면 메달 집계에도 포함 되어 있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4위전은 하지 않을듯 합니다. 참고로 팡야에는 한국, 대만, 일본만이 참가를 했으며 wcg2004의 풀리그 참가 인원은 12명입니다.
Bright Size Life
04/10/10 12:36
수정 아이콘
야...카스에서 sk팀이 지다니...
스타의꿈
04/10/10 12:49
수정 아이콘
올해는 스타크래프트 팀플은 안하나요??
FlytotheSKY
04/10/10 13:10
수정 아이콘
음... 메이븐이 4강까지 올라갔네요.... 지난해에는 토너먼트 첫판이었나? 거기서 지면서 탈락했던 것 같은데... 이번에 Titan한테 지면서 3.4위전 치루게 됐지만, S.K 이기고 동메달이라도 따길 기원합니다....

4강전에서 메이븐을 이겼던 Titan 팀.....



무려 ESWC에서 우승했던 팀이라는군요 OTL;;;
The girl with april
04/10/10 13:22
수정 아이콘
sky님/ cs:cz 3,4위전에서 붙는 sk는 3d와 함께 수년간 카스계를 양분하고 있는 팀이죠...그래도 메이븐이 꼭 이기길...
ShadowChaser
04/10/10 13:29
수정 아이콘
FIFA Soccer 2004
StarCraft: Brood War
WarCraft III: Frozen Throne
이 세 종목 모두 승리하면 종합 1위! 아니면 2위!
우승하면 좋겠당당당~ ㅜ_ㅠ
댑빵큐티이영
04/10/10 13:34
수정 아이콘
스타를 양궁에비유하다뇨-- 턱도없는소리..
양궁은 그래도 비슷비슷 적당한긴장감을 유지시켜주죠..
아테네올림픽때도 근소한차이로우승했지만
스타는 거의 그냥 아마대프로의경기를 보는것같군요..
04/10/10 1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WCG 2003에는 한국이 우승하는데 애먹었습니다.
강도경선수의 충격적인 2:0 셧아웃과 나도현선수와 이용범선수의 동족상잔..
결승전에도 이용범선수가 후레드릭선수에게 역전승을 했지요 ㅇㅇ/
올해는 그런데 우리 선수들 정말 잘하네요-ㅇ-/
FlytotheSKY
04/10/10 14:00
수정 아이콘
The girl with april님//저도 S.K의 명성은 익히 들어 알고 있죠.. 매번 우승하는 건 아니지만, 대회 할 때마다 입상권에는 든다는 -_-;; 그나저나 Titans팀이 CPL에서 S.K를 이겼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ㅡㅡ'
04/10/10 16:22
수정 아이콘
올해는 WCG에 참가하는 다른 나라 스타 선수들 실력이 떨어진건지, 우리나라 선수들이 너무 잘하는건지 연습도 거의 못했다는데 쉽게 쉽게 결승까지 올라갔네요. 전처럼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었다면 이재훈선수까지 해서 금,은,동 다 휩쓸 수 있었을텐데 안타깝네요. 기욤선수를 이기며 다크호스로 떠오르던 러시아 선수도 전상욱 선수에게 2경기를 20여분만에 셧아웃 당했다고 하더군요.
04/10/10 16:23
수정 아이콘
스타 팀플레이는 안하나요?
올드보이
04/10/10 16:33
수정 아이콘
워3에서 WelComeTo가 누구죠?
arq.Gstar
04/10/10 17:02
수정 아이콘
이야 메이븐이 3-4위전이네요 대단하다.. '';
04/10/10 17:58
수정 아이콘
WelComeTo는 Rex.Zacard 황태민 선수 입니다.
04/10/11 00:29
수정 아이콘
음 아마추어 수준이라고 해도 이재훈선수는 한게임 졌죠..2-1로 이긴 Testie 라는 상대편 잘하던데..쉽게쉽게 이긴게 아니라 힘들게 이겼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31 즐거웠던 피지알의 추억을 묻어둔채~좀 멀리 떠납니다. [12] 날개달린질럿3517 04/10/13 3517 0
8230 스타가 요새 재미없다라고 느끼는 것은.. [22] 또띠3703 04/10/13 3703 0
8228 나의 스타크는 계속된다 [7] 총알이 모자라.3634 04/10/13 3634 0
8227 임요환 선수의 VOD를 보고 왔습니다. [11] 아트오브니자4595 04/10/13 4595 0
8226 프리미어 리그 맵 제외 경향 분석 [14] theo3613 04/10/13 3613 0
8224 이노센스 [ Innocence: Ghost In The Shell ] 감상문... [11] 샤오트랙4048 04/10/13 4048 0
8223 미래의 스타리그.. 생각해보셨나요^^ [10] 뉴[SuhmT]4297 04/10/13 4297 0
8222 [잡담] 연애하고 싶다아! [17] 안전제일3419 04/10/13 3419 0
8221 게임완전정복이 끝났더군요. [2] 은빛영혼3506 04/10/12 3506 0
8220 배틀넷에서도 언행을,, [21] 감동은요환3469 04/10/12 3469 0
8219 3번째로 나타날 중복우승경험자는? [65] nexist5571 04/10/12 5571 0
8217 이런 똥같은 욕쟁이들 !! [16] 비롱투란3748 04/10/12 3748 0
8215 각 종족별 능력 개발 비용에 대한 짧은 생각들 [24] choboChicken5594 04/10/12 5594 0
8214 허접이 되어갈 때의 시원섭섭함. [4] 버로우드론3666 04/10/12 3666 0
8213 강민 vs 최연성... 전부 다른 맵에서 했군요... 머슴은 정말 머슴답다... [39] 피플스_스터너8760 04/10/12 8760 0
8212 [잡답스런 관전평]안선생님 잘 배웠습니다 ^^ [12] TheLordOfToss3883 04/10/12 3883 0
8211 리버의 스캐럽의 판정이... [53] 그림자8213 04/10/12 8213 0
8210 ...'나에게는 더이상 잃을 것이 없다' [14] Lucky_Flair4406 04/10/12 4406 0
8209 나의 침묵 [7] 뉴[SuhmT]3869 04/10/12 3869 0
8208 요즘 테테전이 왜이리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10] 김경송3424 04/10/12 3424 0
8207 테란 대 플토, 요새 테란들이 사용하는 '무적 빌드'가 있네요. [36] 스타만쉐!6875 04/10/11 6875 0
8206 스타크래프트의 고수가 되는 10가지 방법 [16] legend4148 04/10/11 4148 0
8205 이번 WCG에 대하여..... [6] snookiex3462 04/10/11 34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