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Leeka님께서 올려주신대로 캐니언 선수가 페이커 선수 뒤를 이어 LCK에서 두 번째로 샐러리캡 감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선수가 되었습니다.
2025년 들어와서 대회 포맷이 전반적으로 변경되면서 감면 조건의 세부사항도 조정이 있었는데요, 아마 pgr에 한 번은 올라왔었을 것 같은데 찾지를 못해서 규정집을 한 번 찾아봤습니다. 퍼스트스탠드가 감면 조건에 들어가는지가 궁금했었어요.
찾아보고나서 혹시라도 궁금하실 분들이 또 있을까 싶어서 정리를 해 봅니다.
==================================
2.2.5.1.2. 성적 우수 선수LCK 정규 시즌 및 국제 대회 성과에 따라 선수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해당되는 점수가 누적되어 부과된다. LCK 정규 시즌에서 최소 3점 및 국제 대회에서 최소 4점 이상 달성한 선수가 LCK 정규 시즌에서 달성한 점수가 누적 5점 이상 또는 국제 대회에서 달성한 점수가 누적 6점 이상인 경우, 해당 선수의 “선수별 실지급액”에서 “지출액 산정 기준”에 따른 미 합산 항목을 제외한 금액의 50%만 “지출액”에 합산한다. 위 지출액 감면 기준은 “산정 기간” 종료 시점 기준의 선수 성과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1. LCK 정규 시즌 우승
우승한 LCK 정규 시즌에서 해당 팀 경기에 최소 25% 이상의 세트에 출전했고, 플레이오프에서 최소 1세트 이상 출전하여 승리를 거둔 선수에 한하여 LCK 우승에 따른 점수가 부여된다.
● 2025년도 1월 1일 이전: 1점
● 2025년도 1월 1일 이후: 2점
2. 리그 사무국이 공인하는 국제 대회 (단, 하기 인정 조건은 각 국제 대회 진행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우승한 국제 대회에서 해당 팀이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하는 데 기여하는 경기에 출전하여 승리한 경우에 한하여 국제 대회 우승에 따른 점수가 부여된다.
● First Stand Tournament: 1점
● Worlds, MSI: 2점
==================================우선 LCK 스프링과 서머가 통합되며 연단위 단일시즌이 되었고, 퍼스트스탠드라는 새로운 국제대회가 신설되었죠.
기존의 기준은 LCK 및 국제대회 우승횟수 기준이었는데 2025년 부터 점수제가 도입되었습니다. 다만, 점수의 기준은 이전 기록 기준으로는 기존의 우승횟수와 같습니다.
기존 감면 조건
● LCK 3회 우승 + 국제대회 3회 우승
● LCK 5회 우승 + 국제대회 2회 우승
변경 감면 조건
● LCK 3점 + 국제대회 6점
● LCK 5점 + 국제대회 4점
그러므로 퍼스트 스탠드는 MSI/WORLDS 우승의 절반만큼, 연단위가 된 LCK는 기존의 스프링/서머 우승의 두 배 만큼 포인트를 주는거죠.
감면에 근접하여 올 해 달성이 가능한 주요 선수들의 포인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젠지
- 캐니언 : LCK 4점 / 국제대회 6점
- 쵸비 : LCK 4점 / 국제대회 4점
- 룰러 : LCK 1점 / 국제대회 6점
- 기인 : LCK 1점 / 국제대회 4점
쵸비는 올 해 남은 우승컵 두 개 중 하나만 들면 감면 조건에 부합합니다.
룰러는 2025 LCK를 우승하면 조건을 만족시킵니다.
기인은 LCK와 롤드컵을 모두 우승하면 달성됩니다.
T1
- 페이커 : LCK 10점 / 국제대회 14점
- 오너 : LCK 1점 / 국제대회 4점
- 구마유시 : LCK 1점 / 국제대회 4점
- 케리아 : LCK 1점 / 국제대회 4점
오/구/케는 기인과 마찬가지로 LCK와 롤드컵을 모두 우승하면 됩니다.
한화생명
- 피넛 : LCK 7점 / 국제대회 3점
- 제우스 : LCK 1점 / 국제대회 5점
피넛은 롤드컵을 우승하면 점수를 채웁니다. (피넛은 내년 퍼스트스탠드를 우승해도 조건이 달성됩니다.)
제우스는 LCK와 롤드컵을 모두 우승하면 달성됩니다.
DK
- 베릴 : LCK 3점 / 국제대회 4점
- 쇼메이커 : LCK 3점 / 국제대회 2점
베릴은 쵸비와 마찬가지로 올해 남은 대회 중 하나만 우승하면 감면 대상이 됩니다.
쇼메이커는 LCK와 롤드컵을 모두 우승하면 조건을 만족합니다.
생각보다 LCK 우승 조건을 만족시키는게 쉽지가 않네요.
하긴 2019 스프링 이후로 T1 T1 T1 DK DK DK T1 GEN GEN GEN GEN 하다가 2024 서머 와서야 한화가 우승을 했으니...
그나마 DK가 탑 제외 로스터 유지하면서 3연속 우승해서 해당 선수들 (현역 기준 캐니언/쇼메이커/베릴) 3점을 채웠을 뿐이었고
젠지는 포핏이지만 쵸비/페이즈만 3점 이상인데 페이즈는 징동으로 갔고요.
티원은 (지금은 제우스가 한화로 이적하긴 했지만) 로스터를 오래 유지했는데 1회 우승하고 결승에서 젠지에게 계속 막혀서 점수가 1점 뿐이네요.
혹시라도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