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11/12 11:14:10
Name 카루오스
File #1 GcJjukGbIAASLgt.jpeg (131.5 KB), Download : 1801
File #2 7685564509_14339012_6ac89d07cc257e08fc136e3d06867cc7.jpeg (188.4 KB), Download : 1813
Subject [LOL] 농심 에디 피터 미디르 코치 코코 노블레스 계약 종료 (수정됨)








농심도 슬슬 스토브 시작하네요. 대대적으로 정비에 들어가는 모양세 입니다. 피셔 지우가 일단 버티고 있어서 나머지 퍼즐만 잘 맞추면 충분히 할만하니 앞으로 기대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1/12 11:14
수정 아이콘
칸이 좋아하겠군요 크크
Equalright
24/11/12 11:16
수정 아이콘
애디의 프로 도전기는 실패로..
닉을대체왜바꿈
24/11/12 11:22
수정 아이콘
? 입단한지 얼마나됐다고크크크
24/11/12 11:24
수정 아이콘
애디는 참 우물 안 개구리 같은 소리를 했다 싶긴 하지만, 말만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실제로 노력도 했으니…. 그래도 달을 제우스로 만들어 준 남자라는 별명은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크크.
피터는… 마지막으로 기억에 남는 게 지우의 스몰더 죽는 거 방관하던 거라 기분 참 묘하네요;
잠이오냐지금
24/11/12 11:25
수정 아이콘
아이고 피터는 아쉽네여ㅠㅠ
Liberalist
24/11/12 11:27
수정 아이콘
애디는 이번 라인스왑 메타가 본인 이론이 맞다는 전제 하에서는 가장 활약할 수 있는 메타였다고 보는데, 여기서 뭘 못 보여준 이상은 뭐...
작은형
24/11/12 12:32
수정 아이콘
에디는 굳이따지면 상대바텀 멘탈깨기였죠

그래서 솔랭에서 불화가 잦구요

무리한 정글지역장악을 위해 미드라인 자기맘대로 푸시하고 이런거보면 올해의 스왑메타랑은 아예 다른 이론이죠
파르릇
24/11/12 14:08
수정 아이콘
하지만 멘탈 깨지는 건 우리편 미드였고 .. ㅠㅠ
타르튀프
24/11/12 12:42
수정 아이콘
굳이 따지면 라인스왑 메타 최적화된 이론도 아니고 솔랭에서만 먹히는 상대 멘탈 공격성 플레이에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크크 그러니 프로에서는 먹힐리가

뭐 그래도 도전 해보고 시원하게 망했으니 그 부분은 격려해줄 만한 것 같습니다.
말레우스
24/11/12 13:12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 메타랑은 아예 결이 다릅니다 애디식 운영은
달고나밀크라떼티
24/11/12 15:41
수정 아이콘
오히려 프로 경험에서 본인 이론이 틀렸다는 걸 알게되지 않았을까요
주인없는사냥개
24/11/12 16:57
수정 아이콘
애초에 에디 유명해진 계기 중 하나가 프로씬이 경직되서 본인의 메타가 정답인데도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논리전개가 신박한 것도 있다고 봐서 이 스탠스를 버리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아프리카 방송으로 돌아가도 똑같은 얘기나 할 것 같은데
닉을대체왜바꿈
24/11/12 21:40
수정 아이콘
뭐 정치인은 럭키택시기사고
택시기사는 언럭키정치인이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1등급 저지방 우유
24/11/12 11:29
수정 아이콘
하위팀 선수들은 저도 그냥 지나칠 정도로 관심을 못 가지는데
피터는 피뤄빠커 라면서 나온 클템의 드립과 귀요미 모습으로
애디는 아마때 그 이상한 로밍 으로 알고있어서요
두 선수 모두 lck 1군에서 활약하기엔 좀 빡세보이고..
랜슬롯
24/11/12 11:32
수정 아이콘
피터는 처음 LCK데뷔했을때 받았던 칭찬들 생각하면... (제 기억으로 클템인가 해설진분들이 케리아랑 비교했던 기억도 나는데)

참 아쉽긴하네요. 근데 그만큼 또 프로의 벽이 얼마나 높은지 알려주는거같고. 실제로 그 이후로, 윗분도 언급하셨지만 지우라는 진짜 하위권 티어에서는 거의 아웃라이어 원딜을 지켜주고 + 보좌해주는 역할에도 실패를 해버렸으니... 아쉽긴하네요 개인적으로.
쵸젠뇽밍
24/11/12 11:3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되면 에디는 순당무와 비슷한 케이스가 되네요.
정공법
24/11/12 11:42
수정 아이콘
솔랭과 프로게임은 진짜 다르죠
24/11/12 11:59
수정 아이콘
자기만의 로밍과 캐릭으로 기본기 쌓을 시간을 날렸으니
프로에서 빡센건 뻔하긴 했죠. 이상한 버릇도 남았을테고

콜 빡빡한 프로에서 허를 찌르는 로밍 안통하고 이상한 캐릭 약점을 엄청 파였을테니
깨달은게 있긴 하겠죠.
24/11/12 11:44
수정 아이콘
감코도 다 바뀌네요
김삼관
24/11/12 11:58
수정 아이콘
농심 갱맘 감독으로 갈까요? 꽤나 괜찮은 매물이라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농심 방송인과 결혼도 했다고 글 올라왔죠?
T1 2군에 계속 있을지 아니면 1군 감독자리를 찾아 나설지 흥미롭네요.
24/11/12 12:21
수정 아이콘
농심감독이 장기계약이라.. 뭐 롤판 계약생각하면 상호해지하면 그만이긴 합니다만;
24/11/12 12:05
수정 아이콘
각 잡고 상대 분석하고 연습하는 프로 게임에서 먹히기 쉽지 않죠.
디스커버리
24/11/12 12:08
수정 아이콘
피터 처음 나왔을때만 해도 대성할거라고 봤는데
농심 사건 이후에 실력이 정체된건지 참 아쉬워요
밥과글
24/11/12 12:11
수정 아이콘
아이고 피터야.. 귀욤상이라 호감이었는데..
55만루홈런
24/11/12 12:16
수정 아이콘
피터는 아쉽네요 역천귀 소리들으며 실력도 어느정도 보여줬는데 ... 농심팀 자체가 약해도 지우는 좋은 모습 보여서 지우와 함께 든든한 봇만 해줬어도 좋은평가 받았을텐데 말이죠
유나결
24/11/12 12:36
수정 아이콘
노블레스 히오스때 밴픽 진짜 잘한다고 느꼈는데 히오스의 유산이 크흑
24/11/12 12:39
수정 아이콘
...제목이 자꾸 바뀝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4/11/12 13:22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저는 피터까지만 봤는데
24/11/12 12:46
수정 아이콘
피터 선수 데뷔초 임팩트가 기억에 남아서 아쉽네요..
이러면 서폿은 바이탈 or 영입이군요.
24/11/12 12:52
수정 아이콘
농켈 이야기가 나오던데 이럼 농심 바텀 정말 기대해 보고 싶네요. 솔직히 그동안 파트너들이 라인전부터 답이 없었던지라 지우에게 부담이 두배였는데
LCK제발우승해
24/11/12 12:58
수정 아이콘
요새 그나마 신인들이 등장하는 라인이라고 하면 서폿인데,,,

어떤 방송인의 말인지 기억이 잘은 안나지만 서폿이 참 어려워서 워모그를 위시로 탱템 효율이 좋을 때는 기본기의 중요성이 덜 드러나서 많은 서폿 신인들이 두각을 나타내는데
유틸폿 등 디테일이 중요한 서폿 메타가 대두되었을 때 아쉬운 모습들이 보인다는 말이 기억이 나네요.

피터가 겹쳐보여서 아쉽네요
24/11/12 13:15
수정 아이콘
울프일걸요.
24/11/12 13:45
수정 아이콘
진짜 그런 것 같네요.
그 이유 때문인지 케리아 딜라이트 리헨즈 선수가 1군 서폿 중에서도 한 단계 위에 있는 듯한 모습이 보이나 봅니다.
다레니안
24/11/12 18:08
수정 아이콘
킬이 거의 안나오는 팀게임에서, 가장 낮은 레벨과 적은 아이템으로 가장 높은 레벨과 빠방한 아이템을 갖춘 딜러를 상대해야하는 포지션이라 난이도 극악이죠. 크크크크
솔로랭크에서야 바텀 터지면 서포터가 코어가 더 빠른 경우도 부지기수지만 팀게임은 그렇지 않으니까요.
스테비아
24/11/12 13:00
수정 아이콘
롤츄야.......ㅠㅠ
Lord Be Goja
24/11/12 13: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피터선수 교체된 날에 집에 전화하면서 우는거 목격되었다던데.. 그때 1부 플랜에서 완전 사라졌었나봅니다
LCK 처음 올라온날 블리츠 인상적이였는데..
서린언니
24/11/12 13:15
수정 아이콘
겨울바람이 유난히 차갑네요
피터선수 아쉽습니다
힘내요
24/11/12 13:17
수정 아이콘
야구의 '아름다운 한달'처럼 몇경기 번뜩이는 모습으로는 프로에서 오래가긴 힘들겠죠.
임팩트도르도 1시즌 기준으로 보니
24/11/12 13:27
수정 아이콘
농심은 음... 2군 올려쓰고 이런건 거의 실패라고 봐야해서.. 지우를 남겼으니 된건가 싶기도 한데.
피터의 경우는 서폿 풀 때문에 기회를 더 받을지 모르겠네요. 농심에서도 충분히 받은편인거 같긴 해서..
24/11/12 13:43
수정 아이콘
피터는 특히 그 전설의 티원전 초장기전에서의 임팩트가 너무 강하게 남아서...
저는 다른 1군에서 기회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은 들지만.. 화이팅입니다.
EnergyFlow
24/11/12 13:45
수정 아이콘
피터는 오히려 지금 풀려난게 몸값에 가장 유리한 타이밍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서폿이라는 포지션이 비교적 저럼한 투자로 좋은 선수를 모집 할 수 있는게 메리트인데, 그렇다고 아예 돈을 안 써버려서 서폿에 구멍이 나면 팀이 어떻게 되는지 DK가 보여주기도 해서.... LCK 서폿풀이라는게 사실상 케리아 1황에 그 밑으로 리헨즈 딜라이트 동급이라고 두고 반 쯤 아래에 베릴이 있다 치면 그 밑으로는(켈린은 너무 못본지 오래되어서 논외) 다 어중간한 상황이라 피터 정도면 믿고 한 번 긁어보겠다는 팀들이 꽤 있지 않을까 싶은....
포커페쑤
24/11/12 13:50
수정 아이콘
근데 요즘 서포터 진짜 없긴하네요... 프로씬에서 포지션별 연봉 차이가 심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애초에 영입이나 육성을 소홀리 하는건지...
EnergyFlow
24/11/12 14:30
수정 아이콘
요즘이라기보다는 롤 초창기부터 서포터는 가장 인기 없는 포지션이라.... 그나마 LCK가 가장 나은편일겁니다 매드라이프가 있었고, 카오스의 전설이었던 푸만두, 롤이라는 게임 자체의 방향성을 바꿔버렸다는 마타 등등 시대별로 서포터 포지션에 슈퍼스타가 한두명씩 있었는데 타 리그에는 메이코 정도를 제외하면 서포터 중에 걸출한 인물이라고 할만한 사람이 별로 없는....
포커페쑤
24/11/12 18:44
수정 아이콘
그래도 나름 예전에는 투신, 눈꽃, 마타, 에포트, 베릴, 리헨즈, 고릴라 이렇게 있던 적도 있었죠. 저는 지금이 확실히 서포터가 기근은 맞다고 봅니다.
다레니안
24/11/12 18:59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프로 데뷔하며 포지션 바꿔서 서포터로 시작하는 선수가 많았지만 이제는 그런 선수가 없다는게 가장 큰 차이같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생각하기에 아무래도 연봉 차이가 심해도 너무 심한게 아닐까 합니다. 저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차이가 심한 것 같아요.
포커페쑤
24/11/12 19:42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생각. 예전에도 쿠로가 잘했으면 미드했겠지랬는데 지금은 더 할거같아요.
닉네임을바꾸다
24/11/12 15:50
수정 아이콘
뭐 원래 랏폿난은 다른 장르들이라해도 크게 다를 수 없는 편이기도하고...
24/11/12 14:02
수정 아이콘
전 피터 다른 팀 가면 충분히 활약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치고나가면서 보여줄 타이밍에 좀 팀에 휩쓸렸다고 생각해요.
이른취침
24/11/12 14:05
수정 아이콘
서폿이 가장 팀에 휩쓸리기 쉬운 포지션이긴 하죠.
24/11/12 14:30
수정 아이콘
어떻게 생각하면 다른 라인 특히 미드에 비하면 두번째 세번째 기회 받기 쉬운 포지션일수도...
1등급 저지방 우유
24/11/12 15:15
수정 아이콘
제 2의 딜라이트가 될??
Polkadot
24/11/12 15:34
수정 아이콘
애디는 뭐랄까... 솔랭 특유의 소통의 부재를 파고든 플레이를 즐겨하고 그걸 갈고 닦아서 점수를 올린 케이스라 (물론 기본기가 광물딱 수준이란건 아닙니다) 프로씬에선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고 보는데 생각보다 빨리 나오게 됐네요.
수퍼카
24/11/12 15:50
수정 아이콘
피터 선수는 데뷔 초에 좋은 평가 받은 적도 있는데 그 때 모습 다시 찾아서 돌아오면 좋겠습니다.
duck orion wkl
24/11/13 15:51
수정 아이콘
역시 솔랭과 팀겜은 완전 다른겜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838 [LOL] 2025 LCK 선수 나이 [55] Dango21365 25/01/20 21365 6
80834 [LOL] 초토화된 LCKCL 팀 밸런스 근황 [19] 길갈20406 25/01/17 20406 0
80833 [LOL] 피어리스 드래프트는 옳다. 아타칸도 옳다 [88] 오타니20535 25/01/16 20535 5
80829 [LOL] LCK CUP 개막 기념 LCK CUP 오프닝 같이 보기 [4] LCK제발우승해11318 25/01/15 11318 4
80828 [LOL] 2025 lck cup 프리뷰 [8] 말레우스13361 25/01/15 13361 5
80827 [LOL] 오늘은 LCK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선수가 출전하는 날입니다 [24] EnergyFlow12965 25/01/15 12965 0
80826 [LOL] 의외의 전개를 보이는 LCK CL KICKOFF [6] 비오는풍경12140 25/01/14 12140 0
80824 [LOL] 정리) 역대 LCK 정규시즌 1위 팀들의 성적 [15] Leeka10510 25/01/14 10510 0
80823 [LOL] 먼저 개막한 LPL 짧게 한번 봐봤습니다 [21] 마술의 결백증명12556 25/01/14 12556 1
80817 [LOL] 2027년까지 향후 대회 개최지 공개 및 퍼스트 스탠드 진행방식 [29] 반니스텔루이20729 25/01/09 20729 2
80816 [LOL] 2025 LCK CL KICKOFF 주요 변경점 및 일정 [8] 비오는풍경16926 25/01/09 16926 1
80814 [LOL] 쵸비 정지훈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에 1천만원 후원 [41] SAS Tony Parker 17828 25/01/08 17828 13
80813 [LOL] 녹서스로의 초대 - Bite Marks (ft. TEYA) | 2025 시즌 1 시네마틱 [36] 반니스텔루이10965 25/01/08 10965 0
80810 [LOL] Prince 이채환, 은퇴 후 해설 전향. [15] BitSae12772 25/01/07 12772 0
80808 [LOL] 1년이 지났음에도 디도스를 해결 못한 라이엇 [65] 참치등살간장절임15383 25/01/06 15383 9
80807 [LOL] LCK컵 드래프트 결과 [18] 본좌11435 25/01/06 11435 0
80805 [LOL] 라인CK 팀 발표!! [56] 본좌16037 25/01/05 16037 1
80803 [LOL] 라인CK 드래프트 예측 이벤트 [22] 말랑몰랑15773 25/01/03 15773 0
80796 [LOL] 2024 LCK AWARDS 영상 업로드 [2] Jurgen Klopp10661 24/12/31 10661 0
80794 [LOL] LCK 2025 시즌 오프닝, 1월 10일 개최, 라인CK 방식으로 [22] kapH10828 24/12/31 10828 1
80789 [LOL] 페이커를 AI 노래로 조롱하던 유저, 사과문 올려 [59] 유머20648 24/12/27 20648 7
80786 [LOL] 재미로 보는 LCK 팀들의 재계서열 [25] Leeka17628 24/12/26 17628 0
80785 [LOL] 대형차 부품사 DN그룹. SOOP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채정원 본부장 퇴사(수정됨) [35] SAS Tony Parker 15940 24/12/26 1594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