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6/12 00:22:06
Name 매번같은
File #1 GPzRlWnWAAAfYTH.jpg (116.3 KB), Download : 883
Subject [LOL] 북미 남미리그에 대격변이 일어났습니다.


어제부터 슬슬 흘러나오던 소식인데 확정되었나 보군요.

아직 오피셜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리그 진행 방식까지 나왔으니 게임 오버인듯

일단 미대륙을 남미, 북미 통으로 묶은 다음에 그 안에서 2개의 컨퍼런스로 쪼갭니다.

노스 컨퍼런스는 6개의 LCS팀. 1개의 LLA팀(멕시코 중심), 하부리그에서 1개의 팀을 초대 총 8개 팀
사우스 컨퍼런스는 6개의 브라질 리그 CBLOL팀. 1개의 LLA팀(멕시코 중심), 하부리그에서 1개의 팀을 초대 총 8개 팀

양 컨퍼런스는 동일하게 8개의 팀으로 운영됩니다.

이후 내년부터는 LEC처럼 3개의 스플릿으로 시즌이 진행됩니다.

첫번째 스플릿은 컨퍼런스 안에서 경기를 한 후에 각 컨퍼런스 상위팀이 붙어서 우승자를 정하고 [새로운 국제 대회]로 갑니다.
두번째 스플릿은 역시나 컨퍼런스 안에서 경기를 한 후에 양 컨퍼런스 1위팀이 [MSI]를 갑니다.
마지막 세번째 스플릿은 어떻게 정하는지 애매하지만 하여튼 3팀의 롤드컵 진출팀을 뽑는다고 합니다. 조건은 각 컨퍼런스에 무조건 한팀씩은 포함되어야 한다고.

올해 LCS의 인기는 곤두박질 치고 있고, 브라질 리그 CBLOL의 인기가 엄청 오르고 있다고 하더군요.
그러다보니 팀의 실력과 무관하게 브라질 리그의 대접이 엄청나게 후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CS와 동급의 취급을 받고 있는 정도.

그리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첫번째 스플릿 종료 된 이후에 양 컨퍼런스 통합 1위팀이 [새로운 국제대회]를 간다는거.
이건 북미, 남미리그 뿐만이 아니라 LCK, LPL에도 해당되는 것이겠죠.
LEC야 원래 스플릿 3개로 진행되었으니 문제가 없는데 한국과 중국에서는 첫번째 국제대회 나갈팀을 어떻게 뽑을지 모르겠네요.

LCK LPL도 내년부터 3개 스플릿으로 돌릴 가능성도 커보입니다.

이 아메리카 리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추가로 나올테니 그 때 다시 글을 쓰던지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매번같은
24/06/12 00:23
수정 아이콘
아 쓰고보니 아래 비슷한 글이 올라왔네요. 이건 전체적인게 아니라 아메리카 리그만 해당되는 얘기니 글은 남겨두겠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4/06/12 00:43
수정 아이콘
lcs 두팀이 날아가나 보네 흠...
매번같은
24/06/12 08:18
수정 아이콘
2023년 10개팀 - 2024년 8개팀 - 2025년 6개팀...
오타니
24/06/12 01:24
수정 아이콘
1. 라이벌리 개편
북미 vs 유럽
[북미 vs 남미] 구도로 바뀌죠.
하락하는 북미와 치고올라오는 남미(브라질)의 코랜드파일날.

2.팀축소 -> 경기력향상
LCS 8팀에서 6팀으로
CBLOL 10팀에서 6팀으로
LLA 6팀에서 2팀으로
[총24개팀이 14팀]으로 재편됩니다.
여기에 승강제 2팀이 붙구요.
알짜 선수만 남을테니 죽은경기가 덜 나올듯

3. 더 많은 국제대회
북미vs남미도 [세미 국제대회]가 됨.
즉 북미 남미 스플릿우승팀간 경기가 3개,
롤드컵진출전 경기가 다수.
거기에 [추가 국제대회]가 있으니. 경쟁력 상승

전 전체적으로 좋은듯 합니다.
매번같은
24/06/12 08:18
수정 아이콘
깔끔한 요약 감사드립니다.
문문문무
24/06/12 01: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과연 LCK&LPL을 한곳에 묶을까요?
재밌는 경기는 확실히 많아지긴 하겠는데....
사실상 여기서 세계1위가 나온다고 봐도되는거라 이게 되려나?
어짜피 원래도 리그간격차는 압도적이었으니 별 상관없으려나?
Karmotrine
24/06/12 02:32
수정 아이콘
안묶습니다 한중유는 그대로인 걸로 보여요 일단 당장의 구상은.
피해망상
24/06/12 08:30
수정 아이콘
브라질 대접이 지나치게 후한감이 없지않긴하네요.
24/06/12 08:42
수정 아이콘
뷰어십 시청자수보면 대접해줄만합니다 실력은 올라오길바래야...
비오는풍경
24/06/12 08:43
수정 아이콘
후한게 맞긴 맞나요? 저대로라면 현재 10팀에서 팀 수가 줄어드는 건데
오타니
24/06/12 08:54
수정 아이콘
우선 메이저라 불리는 lcs와 동등대우니까요.
비오는풍경
24/06/12 08: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격변을 보면 LCS가 더 이상 메이저가 아니게 되는 건데 그 리그랑 동등 대우 받는다고 좋아할까요? 팀이 절반 가까이 날아가는 꼴을 보면서도요?
오타니
24/06/12 09:51
수정 아이콘
메이저에서 떨어져나간다는 관점에서 보면 님 말이 맞을 수 있겠네요.
Karmotrine
24/06/12 08:52
수정 아이콘
한중유 뺀 통합지역은 그냥 다 규모 쳐내겠다는 말입니다. 어디하나 빼놓지않고 그냥 인기팀만 남기고 로컬리그는 쳐내겠다.
비오는풍경
24/06/12 08: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이 대격변이지 돈없어서 판 줄이는 거죠
그래도 이렇게 개편해서 리그를 건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좋은 일인데...
다람쥐룰루
24/06/12 08:35
수정 아이콘
유럽은 유로파 미국은 코파아메리카노
전통의 매치업이네요
Karmotrine
24/06/12 08:54
수정 아이콘
북미는 유럽의 라이벌에서 남미의 라이벌이 됐군요.
월즈에서 g2를 떨군팀과 므시에서 프나틱을 이긴팀은 어디 아시아나 남미팀인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082 [스타1] ASL 시즌19 16강 조지명식이 완료되었네요. [15] JILLSTUART6368 25/04/07 6368 2
81081 [라스트오리진] 라스트오리진의 미스오르카 소식 [2] 용자마스터5195 25/04/07 5195 3
81080 [발로란트] 잘하지만 항상 조연으로 남는 팀, M80 [1] 일렉트4775 25/04/07 4775 0
81079 [기타] 마비노기 주말 던컨섭 상황 [27] 겨울삼각형7549 25/04/07 7549 1
81078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3주 2일차 경기 요약 [4] 일렉트4540 25/04/07 4540 0
81077 [LOL] 젠지 승?천! [139] 김삼관14581 25/04/06 14581 8
81076 [발로란트] 젠지 부!활!(?) [1] 김삼관6504 25/04/06 6504 2
81075 [LOL] 2025 LCK 개인적인 흥미 포인트 [18] 기다림...그리9495 25/04/06 9495 3
81074 [기타] BAFTA,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게임 TOP 21 공개…1위는 '쉔무' [52] 카미트리아9116 25/04/05 9116 1
81073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 3주 1일차 경기 요약 [2] 일렉트4822 25/04/05 4822 0
81072 [랑그릿사 모바일] 모두가 기다리던 영웅, 엘프 퀸 "엔야" 등장! + 신규 영웅 소개 [31] 통피8912 25/04/05 8912 3
81071 [발로란트] 최고의 주가를 달리는 DRX, Estrella 선수 영입 발표. [4] 일렉트5349 25/04/05 5349 1
81070 [LOL] 김성회의 G식백과 [T1 언론 길들이기의 진실은] 조마쉬 vs 애슐리강 [110] 미드나잇블루13530 25/04/05 13530 23
81069 [오버워치] 오늘 개막하는 SOOP 컵 Riina4606 25/04/05 4606 0
81068 [뉴스] ‘제우스’ 최우제는 6분 동안 무엇을 해내는가 [6] EnergyFlow6905 25/04/05 6905 1
81067 [LOL] LCK Road Show(젠지 vs 디플러스 기아 홈스탠드) 예매 일정이 나왔습니다 [11] 라면7829 25/04/04 7829 0
81066 [LOL] [패러디]CS 깎던 말파이트 [3] 너T야?6908 25/04/04 6908 9
81065 [발로란트] Global Esports의 사령관, Juv3nile 감독 12개월 정지 [6] 일렉트5026 25/04/04 5026 1
81064 [발로란트] T1 발로란트 2시간 고봉밥 다큐멘터리 김삼관5158 25/04/04 5158 0
81062 [PC] 사랑했던 게임과의 작별 준비 [11] AGRS9927 25/04/04 9927 8
81061 [기타] 오프닝 보고 구매했던 게임들... [18] 時雨8088 25/04/03 8088 1
81060 [기타] 마비노기 찍먹 후기 [28] Quantum219867 25/04/03 9867 4
81059 [콘솔] 스위치2 다이렉트 정보 [59] 두드리짱10914 25/04/02 1091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