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11/13 15:49:07
Name 아몬
Subject [LOL] T1 vs JDG 4강전 본 후기 (수정됨)
어제 너무 흥분해서 좀 안 좋은 모습 보여드려 죄송합니다.
저는 도박꾼들이 저보다 롤을 잘 안다고 절대 생각을 안 하는 게, 팬심 빼놓고 말해서 BLG 2:0 LNG 3:0 하면서 보여줬던 경기력은
사실 T1쪽이 정배였던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스크림을 도와줬던 광동 선수들이나, 씨맥 감독도 진짜 진지하게 티원이 우세하다고 말하고 있었고요.
일단 솔직히 말해서 어제의 징동의 경기력이 나빴다, 평소와는 달랐다 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징동팬들이 설레발을 칠 만큼 징동의 한타력은 미쳤었습니다. T1 정도의 선수들이 우세한 상황, 글골을 이기고 조합적으로도 좋은 상황
용싸움도 이긴 상황에서도 까딱하면 질 것 같다는 느낌을 줄 정도로 한타를 잘 하더라고요.
솔직히 말하자면, 충분히 우승을 할 만한 전력이었고 그 상대가 어제의 T1이었다는게 패착이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모든 선수들이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제우스는 369를 럼블 솔킬내고 요네 픽해서 아트록스 포탑에 아예 박아두고 일방적으로 패버렸죠. 진짜 말 그대로 제우스는 상수라고 생각합니다. 오너도 진짜 잘했죠. 그냥 이전의 오너보다 한두단계는 성장해버린 느낌으로.. 다 잘해서 말을 못하겠네요. 바텀도 결국에는 바드를 깎아온 케리아, 결국에는 룰러의 제리를 상대로 Q를 다 피해버리면서 2:1을 닦아버린 구마유시까지.

그래도 제일 감동 받았던건, 아무리 그래도 페이커입니다. 저도 솔직히 페이커의 역량이 전성기에 비해서 많이 내려왔다고 생각했습니다.
손목부상이 되었던 뭐가 되었던 탑컨텐더 미드, 쵸비나 나이트 스카웃 같은 더 어린 선수들에 비해서 라인전부터 경쟁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했는데... 결국에는 또 증명하네요. 오리아나 주고 아지르로 대처할 수 있는 선수는 적어도 이번 롤드컵에서, 세상에서 유일무이한 선수일 겁니다.
뭐 1세트 오리아나 잡고 너무 좋은 플레이 했던거, 3세트 4세트 그야말로 황제의 위엄을 보여줬던 모습은 말할 것도 없고요.
결국에는 파워랭킹에 들었던 모든 선수들이 4강 이전에 탈락하는 대 참사가 일어났고... 말 그대로 결승까지 올라가며 그 선수들을 [닦아버렸습니다.]

솔직히 웨이보와의 결승전은 객관적으로, 정말 객관적으로 머리 차갑게 생각해도 전력차가 상당하게 난다고 생각하는데,
작년에 우주의 기운이 DRX에게 모였듯이 결승전은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고 생각해도 3:0 승리 예상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앨마봄미뽕와
23/11/13 16:16
수정 아이콘
1. 369가 럼블 안되는거
2. 카나비가 초식 정글 맛 없는거
3. 나이트가 아지르 안되는거
4. T1 바텀 폭이 더 넓은거

이런 점 때문에 전문가들 예측은 T1이 좀 더 우세긴 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징동의 전투력은 정말 무섭긴 했습니다..
23/11/13 17:17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이 모든게 웨이보가 정반대
1. 더샤이 럼블은 자연재해 수준
2. 웨이웨이는 세주가 좀 하자일뿐 초식도 잘함
3. 샤오후 아지르 잘함
4. 바텀듀오도 현 메타에 딱 맞음 라이트 팔 긴 챔프 좋아하고 크리슾도 유틸폿 장인
현 메타를 발굴한게 티원이라면 현 메타를 가장 잘 소화하는 팀은 웨이보라고 봅니다.
정말 진지하게 징동이 올라왔으면 웨이보 완승이라고 했을겁니다.
말레우스
23/11/13 22:09
수정 아이콘
근데 카나비는 공격적이고 동선을 잘짜니까 그에 비해 맛이 없고 팀원들도 그에 맞춰진 느낌이면 웨이웨이는 그정도 변수창출 능력이 없죠. 스텝업한 오너가 더 편하게 상대할 거라 생각합니다.

샤오후 아지르가 오리아나를 상대할 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나쁘지않게 하는데...

탑 조커픽 + 바텀에서 승부가 날거라 생각하는데 만번 깎은 바텀 주도권 메타의 구케쪽이 더 강해보여서... 소화까지는 그날 경기력을 봐야할 것 같습니다.
23/11/13 16:22
수정 아이콘
올라오는 과정의 모든 세트에서 미드 차이 보여줬죠. 잘한다는 이후 세대들의 신성들 다 박살내버림.
MurghMakhani
23/11/13 16:34
수정 아이콘
올해의 마지막은 작년과 다르기를 바랍니다. 마지막까지 화이팅
23/11/13 16:35
수정 아이콘
꼭 작년 DRX전 뿐만이 아니더라도, 5연준 동안 압도적 정배였던 적이 3~4번은 됐습니다. 절대 질 것 같지 않았던 적도 많았구요. 결승은 정말 모릅니다. 쓰레기나 주우러 가겠습니다. 웨어강.
마프리프
23/11/13 16:37
수정 아이콘
절대의심 상시의심 기습의심
제로콜라
23/11/13 16:51
수정 아이콘
의심의 생활화
코우사카 호노카
23/11/13 16:50
수정 아이콘
다음주까진 티원 아직 강팀 아닙니다...
지구 최후의 밤
23/11/13 16:53
수정 아이콘
어제 룰러의 탈락을 보면서 위스키 마시다 보니 지금까지도 속이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23/11/13 16:56
수정 아이콘
말씀 중에 죄송합니다. 절대 월드클래스 아닙니다.
콩순이
23/11/13 16:58
수정 아이콘
작년 이맘때 drx 우승 보면서 그 이후 한동안 롤 멀리했던기억이 납니다. 누구보다 선수들 본인들이 더 힘들었을텐데 스스로 증명하고 여기까지 왔으니 제발 우승컵까지 들어올릴 수 있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11/13 16:58
수정 아이콘
뭐 아마 목요일인가 금요일인가에 할 코인토스에서 높은 확률로 레드시작일거라...그건 고려해야할듯한 크크
(코인토스는 도무지 개선이 안되...어라?)
23/11/13 16:59
수정 아이콘
페이커 라인전 약하다는 이야기는 며칠전 pgr에서도 본거 같은데...
여전히 페이커는 페이커라는걸 보여줘서 너무 좋습니다.
그러니까 우승도 해주라...
Grateful Days~
23/11/13 17:00
수정 아이콘
티원 야캐요..
QuickSohee
23/11/13 19:10
수정 아이콘
쓰레기 주으러 나갑니다
거믄별
23/11/13 19:37
수정 아이콘
이번 일요일도 이 악물고... 기를 쓰고 경기를 외면하겠습니다.
8강, 4강, 결승까지 이 부두술이 먹힐 것이라고 믿기에...
달달한고양이
23/11/13 20:26
수정 아이콘
3경기 다시보는데 눈물이 나요 하 미친거냐고 정말 하지만 티원 넘모 야캄 암튼 쉽지 않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284 [LOL] 팀 지표로 보는 2024 LCK 스프링 및 각 팀별 단상 [16] 찌단8547 24/03/25 8547 6
79237 [LOL] Lck는 어떻게 강한 리그가 되었는가? [41] 원장8144 24/03/18 8144 6
79147 [LOL] 지표로 보는 2024 LCK 스프링 1라운드 [19] 찌단8907 24/02/24 8907 9
79041 [LOL] 중계권료와 입장권 수익에 대한 라이엇의 기고문과 기사 몇가지 [89] EnergyFlow17062 24/01/25 17062 1
78926 [기타] 이스포츠 역사상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상에 오른 선수들 [39] 워크초짜17039 23/12/23 17039 30
78897 [LOL] 주관적인 2024 LPL 플옵 후보 10팀 선정 [41] gardhi10458 23/12/17 10458 3
78880 [LOL] 2023 LCK 어워즈 결과 - T1 싹쓸이 [180] 반니스텔루이17006 23/12/13 17006 6
78879 [LOL] 2023 LCK AWARDS 시상식 지금 시작했네요 [5] 말레우스8133 23/12/13 8133 0
78820 [LOL] 2024 LCK 주전 50인 기준 IN & OUT 정리 [24] gardhi11262 23/12/03 11262 2
78757 [LOL] 피넛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 [95] 작은형13224 23/11/26 13224 3
78727 [LOL] 2022년 pgr21 회원들의 스토브 직후 예상을 보면서 예상해보는 2024시즌 [33] 랜슬롯10068 23/11/24 10068 4
78720 [LOL] 중국내에서 민심이 더 떡상하고 있는 쇼메이커 이야기 [53] Leeka15235 23/11/24 15235 29
78717 [LOL] DK의 별 쇼메이커 [36] 캐쇼10503 23/11/24 10503 23
78706 [LOL] 변화를 할 수 밖에 없는 쓰리핏팀, 젠지의 변화는 과연? [83] Leeka12793 23/11/23 12793 4
78668 [LOL] 그의 최고의 순간을 보고 싶다 [11] 아빠는외계인12613 23/11/21 12613 17
78645 [LOL] 페이커에게 보내는 편지 [8] 아몬9983 23/11/20 9983 16
78635 [LOL] 2018 시즌이후 티원이 우승을 할려면 변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14] Nerion13206 23/11/20 13206 12
78572 [LOL] 현 규정집 기준, 샐러리캡 상한액 & 옵션 예외 조항들 [25] Leeka9872 23/11/15 9872 1
78559 [LOL] 주도권과 대응, 블루와 레드간의 공방 [26] Kaestro9542 23/11/14 9542 4
78546 [LOL] T1 vs JDG 4강전 본 후기 [18] 아몬12850 23/11/13 12850 7
78545 [LOL] WORLDS 집관 후기 및 잡담 [10] 끝판대장10004 23/11/13 10004 10
78527 [LOL] 이번 시리즈 T1을 보고 정말 놀랬던점 [69] 랜슬롯16934 23/11/12 16934 15
78513 [LOL] 티원 vs 징동을 단 몇시간 앞두고 써보는 개인적인 예상 중요 포인트 [18] 랜슬롯12767 23/11/12 12767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