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8/31 16:28:17
Name qwerasdfzxcv
File #1 커리어_줄세우기.png (27.4 KB), Download : 13
Link #1 기록 참조: 나무위키
Subject [LOL] 2023 월즈 진출팀 포지션별 커리어 줄세우기


제목은 월즈 진출팀이지만 LCK와 LPL팀 주전 선수들만 줄세웠습니다

배열 순서는 롤드컵 우승 횟수 > MSI 우승 횟수 > 리그 우승 횟수 > 롤드컵 진출 횟수입니다 동률은 그냥 되는대로...

롤드컵 진출 횟수에는 이번 진출도 포함했습니다

출전 없는 우승과 롤드컵 진출은 횟수에서 제외했습니다

볼드처리는 해당 포지션 해당 항목 1위인 숫자에 했습니다

탑은 언제나 그렇듯 춘추전국이고 서폿은 누가 먹어도 이번엔 힘들 거 같고

캐니언 vs 피넛 vs 카나비의 역체록

스카웃 vs 쇼메이커 vs 샤오후의 역2미록(나이트나 쵸비가 먹으면 춘추전국시대에 강국 하나 추가되는 느낌이 들 거 같네요)

데프트 vs 룰러의 근본 역체록

정도가 개인적으로 눈에 띄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8/31 16:31
수정 아이콘
정글은 현역 중에선 캐니언이 1위고 바로 밑에 피넛, 카나비가 있다고 보는게 맞죠

다만 올해는 피넛과 커나비가 활약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올해 순위에 따라 전체 스코어도 바뀔수 있다고 봅니다
23/08/31 16:31
수정 아이콘
봄의 황제 샤오후..
종말메이커
23/08/31 16:56
수정 아이콘
페이커, 데프트 근본력 넘치네요 나란히 8회 최다진출이라니
Your Star
23/08/31 17:07
수정 아이콘
뭐야 대놓고 미드 빼고는 월즈 우승자가 한 명 아니면 둘이네.

이번에 은근히 커리어 순위 갱신되는 경우 많을듯
반니스텔루이
23/08/31 17:16
수정 아이콘
유럽에 캡스 찾아보니

리그 10회 우승, MSI 1회 우승, 롤드컵 2회 준우승이네요
QuickSohee
23/08/31 17:33
수정 아이콘
두 노인네 진짜..
23/08/31 17:43
수정 아이콘
그야.. 다른곳까지 줄세우면 캐니언 바로밑에 표식인걸..
고오스
23/08/31 17:5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킄
R.Oswalt
23/08/31 19:03
수정 아이콘
대 황 식
23/08/31 18:08
수정 아이콘
베릴이 있었더라면...
23/08/31 18:21
수정 아이콘
전 더샤이가 유독 인상깊게 느껴지네요
진짜진짜라면
23/08/31 18:25
수정 아이콘
???? : 준우승도 잘 한 거야!!!
23/08/31 18:44
수정 아이콘
진짜 대상혁이네요.. 독보적입니다
무냐고
23/08/31 19:52
수정 아이콘
캐니언이 우승해도 역체정논란은 있을텐데
피넛이랑 카나비가 우승한다고 역체소리를 들을수가 있나요?

개인적으로 역체 논할때 롤드컵 진출횟수나 리그 우승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롤드컵 준우승을 MSI 우승급으로 쳐주고 싶네요..
김연아
23/08/31 20:32
수정 아이콘
캐니언 우승하면 논란이 거의 없을 겁니다

런하는 바람에 T1 쪽에서도 전혀 쉴드가 없을 거고

애초에 월즈 1 대 3에서도 1에 손드는 사람이 엄청 많았는데요

그래서 카나비는 몰라도 피넛은 진지하게 역체정 얘기 슬금슬금 나올 겁니다
포커페쑤
23/08/31 20:44
수정 아이콘
그거 1쪽에 손들다 클템도 욕먹은거보면.. 캐니언 피넛도 힘들지않을까 싶네여. 진짜 우승 3회 채우지 않문승
김연아
23/08/31 22:00
수정 아이콘
그거 커버쳐줄 민심이 떠나서...
무냐고
23/09/01 10:31
수정 아이콘
상당히 정치적인 접근이시네요. 크크
김연아
23/09/01 12:20
수정 아이콘
네 크크크크

원래 페이커처럼 확고한 고트면 모를까,

나머지 부분은 정치적인 면에 없지 않게 작용한다고 봐서요 크크크크크.
한국안망했으면
23/09/02 03:45
수정 아이콘
그쵸 역체론 쏙들어갔죠
지가 좋아한다고 밀어주는거 진짜 어이가없음 선수평가 하자는데 지가 좋아하고 말고가 왜들어가는지
23/09/01 09:14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우승하면 끝이죠
그리고 롤드컵 준우승은 그냥 브라켓 차이기 때문이라
사과별
23/08/31 20:18
수정 아이콘
다른 곳까지 줄세우면 이번에 우승하는 순간 역체정, 역체폿, 아니 역체롤이 되는 두 명이 있긴 하죠.
표식 & 코어장전...
세크리
23/08/31 23:11
수정 아이콘
진짜 거기서 우승하면 역체롤 인정합니다.
회색의 간달프
23/09/02 13:38
수정 아이콘
역체롤 트로이카 시대 개막..
몽쉘통통
23/09/01 08:44
수정 아이콘
더샤이..너무 재밌겠다!!

토끼리븐 버프좀!
23/09/02 16:26
수정 아이콘
페이커 커리어야 이제 그냥 말 얹을 필요가 없는 거 같고, 확실히 스카웃이랑 쇼메, 샤오후 정도가 우승하면 역체2미 노려볼 만하군요. 전 msi도 높게 치기는 하지만 샤오후 msi는 완전히 다 쳐주기가 좀 껄끄러운데, 월즈 우승이라도 하면 쌓아온 것도 있고 역체2미 될 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커리어나 활동 기간 고려하면 스카웃-쇼메가 가장 앞에, 비슷한 정도로 있는 것 같고요.

예전 대회 대비해서 이번에 기존 우승자들이 더 안 보이는 느낌적 느낌이 드네요. 더샤이가 다시 오긴 했는데, 도인비나 루키, 바이퍼, 베릴 등등이 못 오면서 기존 우승자들이 유독 적어진 느낌입니다. 월즈 2회 우승만 해도 베릴처럼 평가가 더 올라가는 거 생각하면, 2회 우승 달성하면 기존 우승자들은 각 포지션에서 나름 확고한 영역을 구축하겠네요. 역체 평가를 받거나, 최소한 그 수준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475 [LOL] 먼가 깨달음을 얻은듯한 쵸비의 인터뷰 [86] Leeka21018 24/04/30 21018 8
79474 [오버워치] [OWCS]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우승 - 크레이지 라쿤 [11] Riina12346 24/04/30 12346 1
79473 [콘솔] 스텔라 블레이드 30분 플레이 감상 [27] 공기청정기13775 24/04/29 13775 4
79472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4/30 업데이트 안내 [15] 캬옹쉬바나11177 24/04/29 11177 1
79471 [모바일] 페르소나5: 더 팬텀 X 감상 [25] 성야무인12428 24/04/29 12428 1
79470 [LOL] 내 이름은 이은빈 [36] SAS Tony Parker 18890 24/04/29 18890 0
79469 [LOL] 마약 밀매로 실형이 최종 확정된 롤드컵 시즌2 우승 미드라이너 [16] 매번같은17696 24/04/29 17696 0
79468 [LOL] 므시 결승 대진 배당률 TOP 10 [45] Leeka16280 24/04/29 16280 1
79467 [LOL] 클템, 포니, 린다랑이 뽑은 MSI 라인별 파워랭킹 [43] 라면21970 24/04/27 21970 0
79466 [LOL] [우틀않 5화] 페이커는 틀리지 않았다? [12] 한입19085 24/04/27 19085 0
79465 [LOL] 솔로랭크는 왜 박치기공룡의 시대가 되었을까 [68] 다레니안32072 24/04/27 32072 11
79464 [콘솔] PSN 퍼블리싱 게임 다운로드 매출과 판매량 유출 [37] 크레토스14121 24/04/27 14121 2
79463 [LOL] 다가오는 5월 베트남에 모이는 LCK 선수들 [15] 매번같은19716 24/04/27 19716 1
79461 [뉴스] 2024 블리즈컨 계획이 공개되었습니다 [52] EnergyFlow17389 24/04/26 17389 3
79457 [모바일] [니케 1.5주년] 니케를 시작한다면 바로 지금 [66] 한입16006 24/04/25 16006 16
79456 [LOL] MSI 한국 중계 일정 공개 [20] Leeka20652 24/04/25 20652 1
79455 [LOL] LCK는 MSI에서 왜 이렇게 약할까에 대한 잡담 [47] Leeka20776 24/04/25 20776 0
79454 [LOL] MSI 중계권 획득 스트리머 공개 [22] Leeka22936 24/04/25 22936 1
79453 [하스스톤] 위즈뱅의 장난감 공방 메타덱 소개 [14] 젤나가14577 24/04/24 14577 3
79452 [LOL] LPL 서머 대격변 방식 공개 [54] Leeka18221 24/04/24 18221 3
79451 [뉴스] 레이저 바이퍼 V3 프로 정식 출시 [25] SAS Tony Parker 13905 24/04/24 13905 1
79450 [콘솔] 옥토패스 트래블러2 간단 후기 [28] 아드리아나13048 24/04/24 13048 7
79449 [LOL] 유니세프 대상혁 기부 패키지 출시 (1세트 30,000원) [46] Mance14742 24/04/24 14742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