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8/31 16:28:17
Name qwerasdfzxcv
File #1 커리어_줄세우기.png (27.4 KB), Download : 11
Link #1 기록 참조: 나무위키
Subject [LOL] 2023 월즈 진출팀 포지션별 커리어 줄세우기


제목은 월즈 진출팀이지만 LCK와 LPL팀 주전 선수들만 줄세웠습니다

배열 순서는 롤드컵 우승 횟수 > MSI 우승 횟수 > 리그 우승 횟수 > 롤드컵 진출 횟수입니다 동률은 그냥 되는대로...

롤드컵 진출 횟수에는 이번 진출도 포함했습니다

출전 없는 우승과 롤드컵 진출은 횟수에서 제외했습니다

볼드처리는 해당 포지션 해당 항목 1위인 숫자에 했습니다

탑은 언제나 그렇듯 춘추전국이고 서폿은 누가 먹어도 이번엔 힘들 거 같고

캐니언 vs 피넛 vs 카나비의 역체록

스카웃 vs 쇼메이커 vs 샤오후의 역2미록(나이트나 쵸비가 먹으면 춘추전국시대에 강국 하나 추가되는 느낌이 들 거 같네요)

데프트 vs 룰러의 근본 역체록

정도가 개인적으로 눈에 띄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8/31 16:31
수정 아이콘
정글은 현역 중에선 캐니언이 1위고 바로 밑에 피넛, 카나비가 있다고 보는게 맞죠

다만 올해는 피넛과 커나비가 활약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올해 순위에 따라 전체 스코어도 바뀔수 있다고 봅니다
23/08/31 16:31
수정 아이콘
봄의 황제 샤오후..
종말메이커
23/08/31 16:56
수정 아이콘
페이커, 데프트 근본력 넘치네요 나란히 8회 최다진출이라니
Your Star
23/08/31 17:07
수정 아이콘
뭐야 대놓고 미드 빼고는 월즈 우승자가 한 명 아니면 둘이네.

이번에 은근히 커리어 순위 갱신되는 경우 많을듯
반니스텔루이
23/08/31 17:16
수정 아이콘
유럽에 캡스 찾아보니

리그 10회 우승, MSI 1회 우승, 롤드컵 2회 준우승이네요
QuickSohee
23/08/31 17:33
수정 아이콘
두 노인네 진짜..
23/08/31 17:43
수정 아이콘
그야.. 다른곳까지 줄세우면 캐니언 바로밑에 표식인걸..
고오스
23/08/31 17:5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킄
R.Oswalt
23/08/31 19:03
수정 아이콘
대 황 식
23/08/31 18:08
수정 아이콘
베릴이 있었더라면...
23/08/31 18:21
수정 아이콘
전 더샤이가 유독 인상깊게 느껴지네요
진짜진짜라면
23/08/31 18:25
수정 아이콘
???? : 준우승도 잘 한 거야!!!
23/08/31 18:44
수정 아이콘
진짜 대상혁이네요.. 독보적입니다
무냐고
23/08/31 19:52
수정 아이콘
캐니언이 우승해도 역체정논란은 있을텐데
피넛이랑 카나비가 우승한다고 역체소리를 들을수가 있나요?

개인적으로 역체 논할때 롤드컵 진출횟수나 리그 우승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롤드컵 준우승을 MSI 우승급으로 쳐주고 싶네요..
김연아
23/08/31 20:32
수정 아이콘
캐니언 우승하면 논란이 거의 없을 겁니다

런하는 바람에 T1 쪽에서도 전혀 쉴드가 없을 거고

애초에 월즈 1 대 3에서도 1에 손드는 사람이 엄청 많았는데요

그래서 카나비는 몰라도 피넛은 진지하게 역체정 얘기 슬금슬금 나올 겁니다
포커페쑤
23/08/31 20:44
수정 아이콘
그거 1쪽에 손들다 클템도 욕먹은거보면.. 캐니언 피넛도 힘들지않을까 싶네여. 진짜 우승 3회 채우지 않문승
김연아
23/08/31 22:00
수정 아이콘
그거 커버쳐줄 민심이 떠나서...
무냐고
23/09/01 10:31
수정 아이콘
상당히 정치적인 접근이시네요. 크크
김연아
23/09/01 12:20
수정 아이콘
네 크크크크

원래 페이커처럼 확고한 고트면 모를까,

나머지 부분은 정치적인 면에 없지 않게 작용한다고 봐서요 크크크크크.
한국안망했으면
23/09/02 03:45
수정 아이콘
그쵸 역체론 쏙들어갔죠
지가 좋아한다고 밀어주는거 진짜 어이가없음 선수평가 하자는데 지가 좋아하고 말고가 왜들어가는지
23/09/01 09:14
수정 아이콘
캐니언은 우승하면 끝이죠
그리고 롤드컵 준우승은 그냥 브라켓 차이기 때문이라
사과별
23/08/31 20:18
수정 아이콘
다른 곳까지 줄세우면 이번에 우승하는 순간 역체정, 역체폿, 아니 역체롤이 되는 두 명이 있긴 하죠.
표식 & 코어장전...
세크리
23/08/31 23:11
수정 아이콘
진짜 거기서 우승하면 역체롤 인정합니다.
회색의 간달프
23/09/02 13:38
수정 아이콘
역체롤 트로이카 시대 개막..
몽쉘통통
23/09/01 08:44
수정 아이콘
더샤이..너무 재밌겠다!!

토끼리븐 버프좀!
23/09/02 16:26
수정 아이콘
페이커 커리어야 이제 그냥 말 얹을 필요가 없는 거 같고, 확실히 스카웃이랑 쇼메, 샤오후 정도가 우승하면 역체2미 노려볼 만하군요. 전 msi도 높게 치기는 하지만 샤오후 msi는 완전히 다 쳐주기가 좀 껄끄러운데, 월즈 우승이라도 하면 쌓아온 것도 있고 역체2미 될 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커리어나 활동 기간 고려하면 스카웃-쇼메가 가장 앞에, 비슷한 정도로 있는 것 같고요.

예전 대회 대비해서 이번에 기존 우승자들이 더 안 보이는 느낌적 느낌이 드네요. 더샤이가 다시 오긴 했는데, 도인비나 루키, 바이퍼, 베릴 등등이 못 오면서 기존 우승자들이 유독 적어진 느낌입니다. 월즈 2회 우승만 해도 베릴처럼 평가가 더 올라가는 거 생각하면, 2회 우승 달성하면 기존 우승자들은 각 포지션에서 나름 확고한 영역을 구축하겠네요. 역체 평가를 받거나, 최소한 그 수준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444 브리온 공트) thank you GIDEON [35] 리니어17502 24/04/22 17502 0
79443 [콘솔] 전투로 극복한 rpg의 한계 - 유니콘 오버로드 리뷰(2) [47] Kaestro15652 24/04/21 15652 10
79442 [하스스톤] 복귀하기 좋은날 - 3년만에 복귀해서 전설단 후기 [18] 종말메이커14974 24/04/21 14974 8
79440 [LOL] LPL 서머부터 피어리스 드래프트 밴픽?! [194] 껌정25576 24/04/21 25576 3
79439 [LOL] MSI 조 추첨 결과 [33] Leeka21623 24/04/20 21623 1
79438 [LOL] 단독: 페이커. 아라치 치킨 모델 발탁(기사 다시 뜸) [77] SAS Tony Parker 24243 24/04/19 24243 5
79437 [모바일] 페르소나 5 더 팬텀 x 간단 후기 [46] 원장17975 24/04/18 17975 1
79436 [LOL] 코르키로 오리아나를 이기는 방법 [65] Leeka21444 24/04/18 21444 14
79435 [LOL] 지금 LCK에서 가장 바빠보이는 팀, 광동 [38] 비오는풍경19635 24/04/18 19635 0
79434 [LOL] 결승 비하인드(by 리헨즈) [34] 데갠19296 24/04/18 19296 7
79433 [PC] 고스트 오브 쓰시마 PC버전 크로스 플레이 지원, 시스템 요구 사양 [13] SAS Tony Parker 10915 24/04/18 10915 0
79432 [기타] 작혼 금탁 유저를 위한 소소한 팁 [89] 마작에진심인남자16758 24/04/18 16758 10
79430 [모바일] 이번엔 호주다. 리버스1999 1.5 버전 (부활! 울루루 대회) [15] 대장햄토리11115 24/04/18 11115 1
79429 [LOL] 결승전에서 순간적으로 ?!?가 나왔던 장면 [32] Leeka19155 24/04/17 19155 3
79428 [LOL] 14.9 클라이언트에 뱅가드 패치 적용 [37] SAS Tony Parker 19155 24/04/17 19155 1
79427 [LOL] LCK 포핏, 쓰리핏을 달성한 선수들 [33] Leeka17365 24/04/17 17365 2
79425 [LOL] 젠지 공식 사과문 [75] Leeka23242 24/04/16 23242 2
79424 [뉴스] e스포츠 월드컵 총상금 6000만 달러 규모로 개최 확정 [50] EnergyFlow14256 24/04/16 14256 2
79423 [콘솔] 오픈월드를 통한 srpg의 한계극복(2) [13] Kaestro11051 24/04/16 11051 1
79422 [기타] 스포) 유니콘 오버로드 제노이라 클리어 후기 [5] 티아라멘츠12850 24/04/16 12850 0
79421 [기타] [림월드] 4번째 DLC 어노말리 출시 [6] 겨울삼각형10087 24/04/16 10087 2
79420 [LOL] 우승 순간의 개인캠. 느껴지는 기인의 감정 [56] Leeka18517 24/04/16 18517 21
79419 [LOL] LCK 결승전을 5회 이상 가본 선수들 [24] Leeka16212 24/04/15 162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