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8/30 11:35:08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3_08_30_오전_11.25.43.png (215.9 KB), Download : 12
Subject [LOL] 월즈 조별 -> 스위스 라운드가 되면서 바뀐 경기수 정리 (수정됨)



1. 총 경기수


- 기존 조별 : 48세트 +@ (재경기)


- 변경 스위스 : 단판 20세트 + Bo3 13경기 (26~39세트) = 46~59 세트

: 전부 2:0 나오진 않을테니.  스위스 방식이 기존 조별보다 '절대 경기수 자체가 더 많아짐'



2. 팀별 경기 수


- 기존 조별 : 4일동안 6세트 +@ (재경기)

- 3승 0패 / 0승 3패팀 (총 4팀) : 3일동안 4~5세트

- 3승 1패 / 1승 3패팀 (총 6팀) : 4일동안 5~8세트

- 3승 2패 / 2승 3패팀 (총 6팀) : 5일동안 7~11세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aindraw
23/08/30 11:42
수정 아이콘
경기수도 많아지는 것도 좋지만 흥미로운 경기 숫자도 더 늘어날 것 같은 부분도 좋네요.
결국은 비슷한 성적을 거둔 팀 끼리 매치가 일어나기 때문에 비슷한 힘을 가진 팀이 만날 확률도 높고
다음 라운드 경쟁자끼리 붙는 경우도 늘어날테니 말입니다.
다만 우열이 너무 차이가 나버리는 경우가 생길까 두렵긴 합니다. 흥행을 위해 힘내줘 LEC, LCS!
23/08/30 11:45
수정 아이콘
아래도 적긴 했지만

22년만 해도 T1이 1주차 프나틱에게 조별에서 졌고
DRX가 1주차 로그에게 조별에서 진거처럼..

스위스 초반은 단판인데.. 이때 맞아서 휘청거릴 확률은 생각보다 높아서
(월즈 초반 메타 한번 잘못 인식하기만 해도 바로 맞고 갈수 있죠)

긴장감 없이 볼 매치업은 거의 없을거라고 봅니다.
Chandler
23/08/30 11:43
수정 아이콘
죽은 게임이 아예 없다는 것도 좋긴 좋네요. 모든 경기가 다 탈락 진출에 영향이 큰 경기들이니
오타니
23/08/30 13:07
수정 아이콘
2222
이거죠. 죽은 경기가 없다.
앤불린
23/08/30 11:55
수정 아이콘
조별리그 이 방식이 더 잼있을 것 같긴 합니다. 다양한 팀이랑 붙는 것도 좋고 조별로 나뉜 팀들 끼리 붙는 것 보다 긴장감 있는 매치업도 많이 나올꺼고
아이스베어
23/08/30 12:02
수정 아이콘
앞으론 기존 롤드컵 기록들도 1게임당 평균으로 비교하게 되겠네요.
타르튀프
23/08/30 12:45
수정 아이콘
정리 감사합니다. 전체 경기수가 99% 확률로 늘어난 것 같고, 서로 매치업되는 경우의 수가 대폭 증가해서 의외로 스위스 라운드 중간중간에 LPL 1시드 vs LCK 1시드 같은 핫 매치 성사될 가능성이 꽤 높아 보입니다.
자아이드베르
23/08/30 12:52
수정 아이콘
조별리그에서는 자이언트들이 하나씩 쓰러져줘야 재밌죠 크크 올해의 이변의 희생양은 누가 될지 기대되는군요.
Chandler
23/08/30 13:13
수정 아이콘
한국 4팀 중국 4팀 참사만 안벌어지길 바래봅니다...lec lcs가 힘좀내야 재밌을텐데...(그래도 최후에 해먹는건 LCK가 되게 해주세요)
자너프
23/08/30 13:15
수정 아이콘
대진표로 보니 스위스룰이 확실히 직관적이고 좋네요. 올해 롤드컵 너무 기대됩니다.
23/08/30 13:16
수정 아이콘
토너먼트(다전제) 들어가선 볼륨 너무 적은것도 문젠데 이건 손 안보나요. 라이엇이 안할건 아는데 더블엘리미 했으면 하네요.
루비치즈
23/08/31 03:25
수정 아이콘
더블은 가장 큰 국제대회의 노코인 긴장감을 살리기 위해 안힌다고 못박았죠. 저도 부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월드컵 같은 토너먼트가 더블 엘리미로 바뀌지 않는 이상 월즈도 같겠죠
승률대폭상승!
23/08/30 13:24
수정 아이콘
조별리그는 지금도 불륨 충분해서 별로 관심없고 게눈감추는듯한 상위라운드만 해결하면 좋은데
23/08/30 13:26
수정 아이콘
저도 조별때 꿀잼이다가 8강까진 괜찮은데 한주텀씩 4강 결승 하면 짜개 식어버려요
오타니
23/08/30 14:14
수정 아이콘
딱 8강까지 매일 경기 있는 느낌이죠.
1주일 지나서 4강 2경기는 한참 기다리다가 맥빠지고. 3:0이나 내전 나와버리면 더 식죠.
그리고 또 1주일 후...... DRX가 꺾이지 않는데
당근케익
23/08/30 14:51
수정 아이콘
바뀐 방식 기대됩니다
시드 배분에 따른 조편성 안좋아했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023 [LOL] 결승전 3일간의 기록 Behind : The Finals [4] 껌정15922 23/09/10 15922 2
78022 [LOL] 전세계 모든 리그의 롤드컵 진출팀이 확정되었습니다! [9] Leeka17447 23/09/10 17447 0
78021 [LOL] 플퀘 굿바이 빅라 & 쏭 [34] 카루오스19057 23/09/10 19057 0
78018 [LOL] 한국 1번 시드가 IG에게 8강에서 패했습니다 [22] Leeka22330 23/09/09 22330 1
78017 [LOL] LCK 압도적 인기 2위 선수 근황 [40] Leeka22344 23/09/09 22344 5
78015 [LOL] 구마유시 - 내가 최고의 선수여야만, 최고의 팀에 남을 수 있다 [88] Leeka25623 23/09/09 25623 8
78014 [LOL] AG 대표팀 팬미팅 생중계 [9] SAS Tony Parker 15972 23/09/09 15972 0
78013 [LOL] 페이즈가 데뷔전 붙고 싶었던 선수, 그리고 가장 상대하기 힘든선수 [22] Leeka20318 23/09/09 20318 4
78010 [LOL] 23승 1패! ASCI 그룹 스테이지 결과 정리 [14] 비오는풍경16711 23/09/08 16711 0
78008 [LOL] 안녕하세요 김윤환 입니다 [471] 앙앙앙앙앙앙60131 23/09/08 60131 148
78007 [LOL] 덕담의 아슥씨 그룹스테이지 KDA를 알아보자 [25] Leeka17363 23/09/08 17363 1
78003 [기타] M 계약 해지.GENG [32] 이호철22725 23/09/08 22725 3
78002 [LOL] LCK 규정집 9.2.5 항 이야기 [52] Leeka20460 23/09/08 20460 2
78000 아시안게임 평가전 중계진 안내 | 전용준 캐스터 김동준, 강승현 해설 [143] 본좌23750 23/09/08 23750 8
77998 [LOL] 미스틱이 입장문을 올렸습니다 [97] Leeka39886 23/09/08 39886 7
77996 [LOL] 유혜디가 역대급 충격적인 폭로글을 올렸습니다 [186] Leeka52772 23/09/07 52772 11
77995 [LOL] 젠지 우승기념 굿즈 오픈 예고(일주일간) [17] SAS Tony Parker 17609 23/09/07 17609 2
77993 [LOL] 롤드컵 결승전에 2번 이상 진출해본 18명의 레전드들 [23] Leeka18454 23/09/07 18454 2
77992 [LOL] 대한민국 LOL 국가대표 평가전, '대회 버전' 13.12 패치로 진행 [38] Leeka18496 23/09/07 18496 2
77990 [LOL] 아시안게임 상황에 대한 정리 [59] Leeka25077 23/09/06 25077 9
77988 [LOL] 펌) 아겜 관련 대만에서 오늘 나오는 인터뷰 [137] 리니어23939 23/09/06 23939 8
77986 [LOL] 전 KTF 이지훈 감독의 폭언과 갑질을 폭로 합니다 [269] 앙앙앙앙앙앙113780 23/09/06 113780 123
77983 [LOL] 브라질을 제외한 모든 월즈 진출팀이 확정되었습니다 [5] Leeka16667 23/09/05 166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