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6/23 10:38:26
Name Leeka
Subject [LOL] 티원전이 그동안 의미가 없었던 기인의 이야기
f030f771c7603304309cd8b4e51b8ec6.jpeg


-> 다른 선수들에겐 '우승을 하기 위해 넘어야 되는 거대한 벽이' 언제나 페이커와 티원이였고.
그래서 티원과의 경기가 큰 의미가 있었지만
기인에게는 그동안 의미가 없었다.

이젠 티원과의 경기가 의미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기인..



참고로 기인은 LCK 기준으로

1 - LCK 모든 선수 중 '패배' 1위... (페이커, 데프트 같은 10년차 고인물보다도 패배가 더 많음..)
1687483691_%EC%8A%A4%ED%81%AC%EB%A6%B0%EC%83%B7_2023_06_23_%EC%98%A4%EC%A0%84_10.26.53.png


2 - LCK 500전 넘긴 선수 중 '유일하게 승률 50% 이하' .... (48%임..)
1687484379_%EC%8A%A4%ED%81%AC%EB%A6%B0%EC%83%B7_2023_06_23_%EC%98%A4%EC%A0%84_10.38.49.png

로 정말 롱런한 선수 중 가장 구린 커리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오는일요일
23/06/23 10:41
수정 아이콘
엄티는 진짜 절망적인 수준이네요.
저렇게 커리어 상당부분이 패배면 멘탈 유지하기 쉽지 않겠네요.
23/06/23 13:06
수정 아이콘
엄티 커리어 반전을 노리던 시기가 19kt였는데 하필....
LCK가 Bo3인 걸 감안하면, 이걸 균등하게 기록했다면 거의 모든 경기가 3꽉패를 당한거아 봐야하는데 하하;;
23/06/23 10:41
수정 아이콘
오.... 멘트 좋네요.
어제 인터뷰에서도 [내가 가는길이 길이었다] 라며 멘트가 외향적으로 바뀐듯한 모습인데
그 변화만큼 경기도 기대가 되네요.
Davi4ever
23/06/23 10:41
수정 아이콘
구...구린 커리어란 표현은 너무 가혹한 것 아닌가요 ㅠㅠ
23/06/23 10:44
수정 아이콘
기인이 패배경기 수 1위라니.. 정말 상상도 못했던 수치네요 크크
무냐고
23/06/23 13:47
수정 아이콘
의도하시진 않은것 같은데 중의적 표현이네요 크크
앨마봄미뽕와
23/06/23 10:47
수정 아이콘
봐 줘 라
raindraw
23/06/23 10:54
수정 아이콘
410전에 승률 36.1%의 엄티가 눈에 띄네요. 저런 상황에서도 꾸준히 계속 하는건 정말 대단한 정신력일 것 같습니다.
DownTeamisDown
23/06/23 11:02
수정 아이콘
승률이 안좋아도 저렇게 경기수가 많다는걸로도 리스펙트 해줘야죠.
뜨거운눈물
23/06/23 10:58
수정 아이콘
어제 퀸 보고 와.. 두두 크산테 이후로 탑캐리 제대로 봤습니다!
23/06/23 11:16
수정 아이콘
kt 종신.. 해야겠지?
승률대폭상승!
23/06/23 11:20
수정 아이콘
기인 엄티 라바 상윤 눈꽃

인벤에서 무관 다전(300전이상) 저승률로 따져보니 이런팀이 나오는군요
23/06/23 11:23
수정 아이콘
보통 실력이 떨어지는 선수들은 다전을 할 수가 없는 구조죠. 반대로 실력이 좋은 선수일수록 출전기회가 사실상 공무원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기인은 그냥 팀운이 없었다 정도로 이야기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Davi4ever
23/06/23 11:34
수정 아이콘
통산 패배 1위는 그만큼 프로씬에서 롱런했다는 의미여서 불명예스러운 쪽으로 몰아가기만 할 기록은 아니라고 봅니다.
(KBO리그 통산 다패 1위가 송진우죠. 물론 이분은 다승도 1위지만...)
그리고 롤은 팀의 승패를 선수가 그대로 가져간다는 점에서 팀 전력의 영향도 있을 수밖에 없고요.
저 데이터에 구린 커리어라는 표현을 쓰는 건 물론 각자 의견차이가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6/23 11:49
수정 아이콘
개인 18연패한 심수창을 어떻게 해석하면 18연패할수 있을때까지 올라올 수 있는 실력은 있었다 이렇게 보는 느낌인가요 크크
Davi4ever
23/06/23 11:59
수정 아이콘
저는 통산 기록에서의 패배 데이터에 대한 생각을 말씀드린 거라 심수창의 18연패와는 조금 결이 다른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부분도 심수창 18연패 이야기 나올 때 항상 나오는 레퍼토리죠 크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3/06/23 12:07
수정 아이콘
크크 근데 사실 통산패는 일단 통산출전수에 비례하는 경향이니 롱런했다가 되는데...기인의 통산패는 참 이례적이긴...
이경규
23/06/23 20:03
수정 아이콘
틀린말은 아닌거같습니다. 진짜 못했으면 18번 내보내지도 않았을듯
청운지몽
23/06/24 07:41
수정 아이콘
올해 현재 메이져리그에선
캔자스시티의 조던 라일스가
15경기 선발등판 후 0승 11패 진행중입니다
군령술사
23/06/24 14:42
수정 아이콘
박찬호 선수의 한만두도 박찬호 선수의 구위가 괜찮았던 게 원인 중 하나라는 말도 있더군요 ㅠㅠ
23/06/23 11:37
수정 아이콘
어제 퀸 보고 반했습니다
Valorant
23/06/23 11:59
수정 아이콘
기인 선수가 진작 다른 팀에서 뛰었더라면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올해도 롤드컵 진출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BETTER TOP WINS의 사나이 기인 선수 크크..
mooncake
23/06/23 12:48
수정 아이콘
낭만파 기인
0126양력반대
23/06/23 12:54
수정 아이콘
한 번만 봐주면 안되겠니 기인아
미카엘
23/06/23 13:02
수정 아이콘
결승을 한 번밖에 못 가봤는데도 승률이 5할 근처라는 게 대단한 것 아닙니까
무냐고
23/06/23 13:48
수정 아이콘
??? : Better top wins
당근케익
23/06/23 14:00
수정 아이콘
48프로라는게 대단해보입니다 오히려
그런팀들에 있으면서 50프로에 근접하다는게...
kt에서 50프로 뚫자!!
대구머짱이
23/06/23 14:11
수정 아이콘
18년도때는 반대였을텐데..
데이나 헤르찬
23/06/23 14:14
수정 아이콘
티젠담듀나 아니면 해외 강팀에 갔다면 롤판의 역사...까진 몰라도 개인 커리어는 확실히 바뀌었겠죠
수퍼카
23/06/23 14:24
수정 아이콘
이런 기록이 쌓여버렸다는 게 안타깝기도 하고 그렇네요. 의도치 않게도 실력에 걸맞는 팀에 가는 게 중요하다는 교훈같은 걸 남긴 것 같기도 한데 어쨌든 앞으로는 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인 선수.
23/06/23 15:06
수정 아이콘
진짜 실력대비 팀운이 너무 없었던 선수
취급주의
23/06/23 15:13
수정 아이콘
19 기인 영상은 지금도 종종 봅니다
23/06/23 16:16
수정 아이콘
다른의미로도
패왕 기인 이네요
트윈스
23/06/23 17:09
수정 아이콘
구린 커리어는 좀 너무하네요..
파쿠만사
23/06/23 19:01
수정 아이콘
팀 선정하는 선구안이 유일한 단점인 선수..ㅠㅠ
이경규
23/06/23 22:27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고른건 걍 돈보고 고른거아닌가요? t1 거르고 아프리카 가는걸 선구안 구리다고 표현하긴 뭐한거같습니다.
베스킨라
23/06/23 18:26
수정 아이콘
커리어가 저래도 항상 국대탑 순위에 올라오는 기인의 위엄이네요.
일반상대성이론
23/06/23 18:59
수정 아이콘
kt는 왜 대문자랑 소문자가 따로있지... 언제 한번 바뀌었나요?
천혜향
23/06/23 19:38
수정 아이콘
저런 커리어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저평가 당하고 있죠 지금도.
노래하는몽상가
23/06/23 19:55
수정 아이콘
구린 커리어..크크
프로는 성적으로 말하는거지만
그 성적이 저렇게 안좋음에도 불구하고
탑하면 떠오르는 선수...참 신기합니다
자유형다람쥐
23/06/23 20:55
수정 아이콘
저는 기인이 높은 곳에서 목표를 이뤄낸 뒤 흘리는 눈물이 너무 보고 싶습니다
지오인더스트리
23/06/23 21:55
수정 아이콘
어제 퀸도 그렇지만 예전에 칼리스타 선픽에 밴픽 끝날 즈음 기인한테 수납하는데 그대로 탑레넥 찢어버리는데 감동받았읍니다. 어제 경기 보고 그때 생각 나더군요...
Meridian
23/06/23 22:06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3년계약은 크.....
인생은에너지
23/06/23 22:26
수정 아이콘
팀이 진거지 내가 진 건 아니다
뭐 이런느낌인가요
23/06/23 23:3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상위권에서 상위팀과의 피말리는 대진은 또 다른 의미라고 생각해서
이번 토요일 빅매치가 참 기대되네요.

기인이 어떤 모습 보여줄지 참 궁금합니다.
비행기타고싶다
23/06/24 14:11
수정 아이콘
전 럭키 엄티 정도가 아닌가...하는생각이..
우승급 팀으로 만들지도 못했고, 우승급 팀으로 가지도 못했죠.
너구리 칸 제우스 같은 선수들과 비교해봐도 실력이 앞서는 느낌도 없고요.
23/06/24 18:04
수정 아이콘
사실 티원이 잘했으면 2018년에 높은 곳에서 만날 뻔도 했겠지만... 그 이후에도 아프리카와 플옵, 선발전에서 만나긴 했는데 기인이 말하는 '높은' 곳은 그 정도가 아니었겠죠. 월즈 토너먼트나 리그 결승 내지 4강 정도를 말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 실력이야 의심할 게 없으니 이번 팀에서 티원과 좋은 승부했으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제우스도 전에 말하는 거 보니 기인을 (당연히) 매우 높게 평가했던 거 같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477 [LOL] [추억] 클템 킬 딴 남자. [2] 기무라탈리야11633 23/07/01 11633 5
77476 [LOL] [추억]어쩌면 마지막을 장식하게 될 추억 자랑글. 앰비션의 롤하이 128회 [7] 깐부치킨9520 23/07/01 9520 12
77475 [LOL] 빈이 탑 서브가 된 이유는 제우스 때문 [32] Leeka14218 23/07/01 14218 0
77474 [PC] [추억]나의 게임인생의 시작 C&C [35] 판을흔들어라8025 23/07/01 8025 4
77473 다시 또 터져버린 로스트아크 이번엔 중국몽? [128] Nerion16402 23/07/01 16402 8
77472 [TFT] 챌린져 달성 현버전 1티어 전설 + 티어 조합 소개 + 운영법 [43] 만찐두빵14523 23/07/01 14523 6
77471 [LOL] 이번에 제가 작업한 롤 관련 논문이 나왔습니다! [10] 전설의용사12392 23/06/30 12392 17
77470 [스타1] [추억] ES FORCE, 그리고 기타 소장품들 [21] 미국8255 23/06/30 8255 9
77469 [TFT] 갓 시즌에서 간 시즌이 될 뻔했던 TFT 시즌 9 (핫픽스 적용됨) [17] BitSae11010 23/06/30 11010 0
77468 [PC] 요즘 트렌드(?)인 출시 연기를 정면으로 돌파한 게임 [16] João de Deus11144 23/06/30 11144 3
77467 [LOL] 클리드는 어느 정도의 죄인가? [92] 류지나19335 23/06/29 19335 40
77466 [뉴스] [이슈] 감사원, 게임물관리위원회 비위 의혹 '사실'로 확인 [11] 졸업8697 23/06/29 8697 6
77465 [뉴스] 게임위 "레드 데드 리뎀션, '한국어판'으로 심사했다" [7] 졸업8230 23/06/29 8230 2
77464 [콘솔] 플스 스토어 피파 23 75% 할인 (20,750원 [8] SAS Tony Parker 7915 23/06/29 7915 1
77463 [LOL] 한화생명 2군 정글 Grizzly 선수의 LCK데뷔를 축하합니다. [42] 밤수서폿세주16498 23/06/28 16498 3
77462 [LOL] 클리드 피해자 분들의 2차 폭로 [263] Leeka22078 23/06/28 22078 1
77461 [LOL] 쉐도우 코퍼레이션 클리드선수 관련 입장문 [166] 카루오스17425 23/06/28 17425 0
77460 [기타] 국내 정상급 보컬리스트와 파판14의 음원 콜라보 [4] 이츠키쇼난7244 23/06/28 7244 0
77459 [LOL] 13.12 패치 LPL & LCS & LCK CL 1페이즈 밴 통계 [5] 전설의용사8145 23/06/28 8145 0
77458 [디아블로] 악몽 던전으로 순간이동 추가 [40] CV10411 23/06/28 10411 3
77457 [기타] 하베스트 문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은근 많은 게임 [4] gfreeman988011 23/06/27 8011 1
77456 [모바일] 제노니아 크로노 블레이크 후기: 또니지 또이크 [20] 만찐두빵8479 23/06/27 8479 4
77455 [모바일] 1~2년정도 원신 플레이 후기 [31] 아따따뚜르겐9583 23/06/27 958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