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1/07 11:04:40
Name biangle
File #1 pre_jpg.jpg (87.4 KB), Download : 54
Subject [기타] [바둑] 2022 삼성화재배 결승 신진서 9단 vs 최정 9단 프리뷰 (수정됨)


2022 LOL 월즈에서 LCK의 드라마가 펼쳐지는동안 바둑계에도 파란만장한 일들이 있었습니다.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이하 "삼성화재배") 32강 첫날 8명의 한국 선수가 출전해 총 2승 6패라는 암울한 결과가 나오자 모든 한국 바둑팬들이 가슴 졸이며 남은 대국들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말 그대로 남은 한국 기사들이 [두는 족족 승리를 따내며] 16강에 진출했던 한국 선수 7명이 [전원 8강에 진출]했었지요.

32강전에선 박정환 9단이 일찌감치 커제 9단을 제압했고, 16강전에서는 변상일 9단이 구쯔하오 9단을, 김명훈 9단이 탕웨이싱 9단을, 최정 9단이 이치리키 료 9단을 차례로 제압하며 굵직한 승부에서도 한국 바둑의 화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치러진 8강전에서 [최정 9단이 양딩신 9단을 꺾는 대이변]을 만들어내며, 최종적으로는 [삼성화재배 최초][4강부터 한국 기사들만이 남아 경쟁하는 국내기전 구도가 완성]되었습니다. 이변의 중심에서 [최정 9단은 변상일 9단을 상대로 다시금 업셋을 만들어내는 데에 성공]하였으며, 신진서 9단은 김명훈 9단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습니다.

결국 완성된 결승 매치를 살펴보면 참 기묘한 점들이 많은데, 결국 간단히 요약하자면
[4년째 세계 랭킹 1위를 수성 중인 신진서 9단] vs [6년째 세계 여자 랭킹 1위를 수성 중인 최정 9단] 매치업입니다.

- 두 기사 모두 삼성화재배 첫 우승에 도전합니다.
- 한국 남녀랭킹 1위의 맞대결인 동시에, [세계 남녀랭킹 1위의 맞대결]입니다.
- 신진서 9단은 3년 연속 결승에 진출하는 반면, 최정 9단은 3년만에 첫 본선 진출에 성공한 리그입니다.
- 최정 9단은 한국 여자 프로기사로는 최초로 메이저 세계대회 8강에, 4강에, 결승에 진출하는 대이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정 9단은 루이나이웨이 9단이 제2회 응씨배 4강에 진출한 이후 처음으로 여류 기사의 메이저 세계대회 4강 진출을 달성하였습니다. 참고로, 2회 응씨배는 1992년이었으며, [30년만에 여류 기사가 남녀 통합 메이저 기전에서 4강에 진출한 것]입니다. 여류 기사의 메이저 결승 진출은 [역사상 최초]입니다.
- 상대 전적은 현재 신진서 9단이 4전 전승으로 앞서고 있으나, 최정 9단이 4강전에서 제압한 변상일 9단은 이번 경기 전까지 최정 9단을 상대로 5전 전승으로 앞서고 있었습니다.
- 현재 ELO 기준 신진서 9단은 3835점, 최정 9단은 3403점입니다. (이세돌 9단을 가뿐히 제압했던 알파고(Lee)의 추정 ELO는 3739점이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최정 9단의 기대 승률을 계산해보면 대략 7.7%, 3판2선 기준 기대 승률은 [약 1.7%]입니다.
- 하필 신진서 9단은 삼성화재배와 유독 연이 좋지가 않습니다. 20년 결승에서는 1국부터 마우스 미스가 발생하며 커제 9단을 상대로 패배하였고, 21년 결승에서는 박정환 9단을 상대로 1국 승리를 따냈으나, 이후 두 경기를 연달아 패배하며 결국 준우승에 머물렀습니다.
- 하필 삼성화재배는 본선 32강전부터 결승전까지 2주일만에 모든 일정이 마무리되는 단기 토너먼트이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도 기세가 중요한 대회로 꼽힙니다.
- 하필 얼마 전엔 [모든 다전제 경기를 업셋으로, 우승까지 완성한 DRX]의 기운이 한국에...

이번 결승전은 오늘 정오 시작입니다! 과연 정말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일까요?



[1국 중계 라이브 : 바둑TV 중계 / 최명훈 해설]


[1국 중계 라이브 : K바둑 중계 / 송태곤 해설]


[2국 중계 라이브 : 바둑TV 중계 / 백홍석 해설]


[2국 중계 라이브 : K바둑 중계 / 안형준 해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owasama
22/11/07 11:07
수정 아이콘
이상한 기운이 한국에!
Liberalist
22/11/07 11:09
수정 아이콘
뭔가 스토리가 이번 롤드컵과 비슷한 면이 있네요 크크;;
22/11/07 11:12
수정 아이콘
불요불굴 꺾이지 않는 마음 리얼
LowTemplar
22/11/07 11:17
수정 아이콘
누가 우승해도 기록이라 너무 재밌네요
최정은 말할 것도 없고 신진서는 3연준이냐 아니냐가 달려서
ioi(아이오아이)
22/11/07 11:17
수정 아이콘
최정이 신진서를 이길 확률 1.7%
불가능이 아니다. 명백한 가능성
1.7%를 100%로
그 존재를 증명하는 자 최정
선대 여류기사들의 숙명
기적을 연금한다

그러나 기억하라 98.3%
공포와 절망은 확률이 아닌 현실이다.
이치죠 호타루
22/11/07 11:21
수정 아이콘
신공지능을 상대하는 최정이라... 단기전은 진짜 모릅니다. 신공지능이라고 해도 결국에는 사람이니까요. 1회전의 승패 차이가 두집 이내라면 3차전까지는 갈 것 같네요.
22/11/07 11:22
수정 아이콘
최정 기사의 꺾이지 않는 댄스를 볼 수 있길...
네~ 다음
22/11/07 11:31
수정 아이콘
와... 이건 또 다른 레전드인데요.
닉네임을바꾸다
22/11/07 11: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앞으로 바둑은 겜게로...응?(역사와 전통의...게임)
타시터스킬고어
22/11/07 11:42
수정 아이콘
비벼볼 곳이 사실 신진서의 부담감 뿐이긴 한데 아마 쉽지 않을거 같긴 합니다.
멍멍이개
22/11/07 11:55
수정 아이콘
중꺾마...!!
멍멍이개
22/11/07 12:05
수정 아이콘
혹시 저처럼 찾는 사람이 있을 수 있어 링크 붙입니다. 현재 생중계 중인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3ITkNGhl2E
22/11/07 12:1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본문에 내용 추가하였습니다.
22/11/07 12:13
수정 아이콘
최정 꺾이지 않는 라스트 댄스가 나오면 충분히 가능할지도
22/11/07 14:01
수정 아이콘
여류기사가 명백한 당대 최강자를 꺾고 우승하는 걸 볼 수 있으려나요;; 롤로 치면 진짜 여자 페이커급의 임팩트일텐데요
유료도로당
22/11/07 16:05
수정 아이콘
1국은 신진서 9단이 이기네요.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지금 돌을 던져도 이상하지않은...
천혜향
22/11/08 02:06
수정 아이콘
라스트 댄스는 아니겠죠? 젊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257 [LOL] 티원 응원글, 아쉬운점 [5] PARANDAL12626 23/05/23 12626 1
77256 [오버워치] [OWL] 2023 오버워치 리그 4주차 리뷰 [2] Riina11759 23/05/23 11759 0
77255 [LOL] 사실 티원보다 더 심각한 젠지 [69] 니시노 나나세19712 23/05/23 19712 2
77254 [LOL] lck 플옵 일정 줄여보기 [17] newness13400 23/05/22 13400 0
77253 [LOL] 1년간 결승 전패 티원, 무엇이 문제일까 뻘글 써보기 [224] Taima24119 23/05/22 24119 1
77252 [LOL] 데프트가 22 월즈를 우승하고 받은 것들 [26] Leeka15552 23/05/22 15552 8
77251 [기타] 올해 E스포츠 게임 뷰어쉽 순위 및 분석 [18] 만찐두빵15342 23/05/22 15342 0
77250 [LOL] MSI 2023 동시시청률 + 평균시청자수 신기록 달성 [18] 만찐두빵13597 23/05/22 13597 0
77249 [LOL] Rules와 룰러 [46] 지구 최후의 밤16721 23/05/22 16721 1
77248 [LOL] 이번 MSI를 보면서 느낀점. 제가 느낀 소위 국제전의 적응력 싸움에 대한 이야기 [67] 랜슬롯21123 23/05/22 21123 13
77247 [LOL] 룰러 데프트 뱅의 데뷔 후 커리어 정리표 [89] qwerasdfzxcv20382 23/05/22 20382 0
77246 [LOL] 새로운 리그, 같은 지배자. 룰러의 해 [35] Leeka15469 23/05/22 15469 5
77245 [LOL] 서머가 더 무서워질 LPL [31] 라면15393 23/05/21 15393 1
77244 [LOL] 결성직후 바로 국제대회를 먹은 슈퍼팀 JDG [223] Leeka22492 23/05/21 22492 6
77243 [콘솔] 김실장의 P의 거짓 개발팀 초대석 4부작 [16] 렌야12087 23/05/21 12087 3
77242 [LOL] 국제대회 결승전 3회 이상 출전자 [10] ELESIS12509 23/05/21 12509 3
77241 [LOL] DRX 2023 Summer Split 로스터 발표 [40] BitSae13911 23/05/21 13911 0
77240 [스타2] 2023 GSL 시즌1 코드S 결승전 우승 "조성주" [3] 김치찌개12221 23/05/21 12221 2
77239 [LOL] JDG vs BLG 프리뷰 & MSI TOP4 팀들의 지표그래프 [24] 전설의용사17376 23/05/21 17376 4
77238 [LOL] TSM LCS 철수, 다른 메이저로 이전 [20] Be Quiet n Drive16521 23/05/21 16521 0
77237 [LOL] 정신 차려줘서 고맙다(티원 응원글, msi후기)(부제 : 티원,젠지 그대들은 자랑스러운 lck팀입니다) [14] 소년명수15730 23/05/21 15730 4
77236 [LOL] LPL의 영광은 우리 세대가 수호할 것이다 [49] Leeka16804 23/05/21 16804 0
77235 [LOL] [MSI] 고개 숙인 배성웅 감독, "다전제 티어 정리가 승패 갈랐다" [128] 리니어23097 23/05/21 230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