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1/05 20:39:35
Name 키토
Subject [LOL] 코라이즌에서 코어장전 선수와 인터뷰를 했습니다.


4강전 이후 코라이즌에서 코어장전 선수와 인터뷰를 했습니다.

몇몇 인상깊었던 답변들은

[슈퍼팀이 좀더 실패한다는것은   슈퍼팀은 많이 나오지않는다
슈퍼팀이 아닌 팀은 슈퍼팀을 제외한 모든팀인 거다.
그렇기 때문에 그팀이 더 잘할 가능성들도 항상 열려 있는거고
그냥 ' 슈퍼팀이라고 해서 성공이 보장된것은 아니다.' 정도 인거지
너무 실패라고 하고 싶지는 않다.]
라는 답변이 있었는데
북미에서 본인이 올해 슈퍼팀의 일원이라서 느낀점이 상당한것 같았습니다.

페이커의 슈퍼 플레이의 근원은 이라는 질문의 답변도 너무너무 인상적이었습니다.

페이커의 몇해동안의 부진 아닌 부진의 시기에 각종 밈이 되었던 돌발행동이라는 플레이들이 그 당시에는 게임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플레이들이 아니었나 싶은 장면들이 지나가더군요. 물론 정말 실수인 경우도 있었지만요.

4강이후 DRX의 "중요한건 꺽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이 문장이 페이커 선수의 선수생활 전반을 관통하는 그런 문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ateful Days~
22/11/05 20:44
수정 아이콘
티원은 정말 실수를 많이한다.. 하지만 실수해도 플레이가 바뀌지 않는다.
22/11/05 20:48
수정 아이콘
그것도 쓰고 싶었는데 다쓰면은 영상을 안보실것 같아서 코장의 현재 상황과
페이커 이야기 두가지 인상깊었던 것만 썻습니다.
영상 많이 봐주세요.(코라이즌 관계자 아님)
Grateful Days~
22/11/05 20:55
수정 아이콘
지금 시청하고있습니다. 간접적 관계자님.. 크크크..
人在江湖身不由己
22/11/05 21:12
수정 아이콘
코로 시작해서 페로 끝나는 크크
드랍쉽도 잡는 질럿
22/11/05 21:30
수정 아이콘
페이커에 관한 말에 동의합니다.
폼이 기복이 조금은 있었을지언정 기량이 항상 최상급이었다고 보는데, 환경이 안 맞았던 것이죠.
이번 롤드컵도 그렇고, 저평가의 아이콘과도 같다고 봅니다.
파비노
22/11/05 22:55
수정 아이콘
페이커의 기준점은 과거의 페이커니깐 저평가를 당할수밖에없죠.....기준점이 너무나도 가혹하다고나 할까요
22/11/05 22:15
수정 아이콘
씨맥도 이런 말을 했죠. 페이커는 넘어져도 한 발자국이라도 앞으로 넘어지려고 시도한다고. 속칭 유관행동이라는게 별 다른 게 아니고 그냥 조금이라도 더 나아지기 위한 시도를 계속하는 것에 있다고 봅니다.
멍멍이개
22/11/06 01:48
수정 아이콘
그런 시도를 하는 선수는 많습니다. 페이커는 걍 천재인거...
22/11/06 02:42
수정 아이콘
10년째 그러고 있는 선수가 페이커 하나뿐이죠.
그냥사람
22/11/05 22:18
수정 아이콘
자기자신을 믿고 도전을 무서워 하지 않는다. 부럽습니다 페이커 선수.
뽐뽀미
22/11/05 23:17
수정 아이콘
인터뷰 영상 재밌게 보고 북미는 슈퍼 팀 안 만드나 하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이미 있었군요...또르르ㅠ
22/11/06 06:10
수정 아이콘
음 슈퍼팀에 대한 조금 다른 관점이네요. 납득이 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935 [PC] 페르소나5 로열 후기 (스포) [16] 피죤투13552 22/11/07 13552 2
75934 [LOL] 2022 월즈를 보며 느낀 감상들 [49] Baphomet G18983 22/11/06 18983 34
75933 [LOL] 데프트의 '꽉찬' 커리어를 알아보자 [19] Leeka18019 22/11/06 18019 14
75932 [LOL]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5] 어빈24576 22/11/06 24576 25
75931 [LOL] 롤드컵 우승 스킨 수익 피셜들 [58] Leeka25509 22/11/06 25509 3
75930 [LOL] T1에게, 그리고 케리아 선수에게 하고 싶은 말 DeglacerLesSucs15331 22/11/06 15331 16
75929 [LOL] Don't ever say it's over, if I breathin'. [43] Baphomet G17124 22/11/06 17124 19
75928 [LOL] 데프트만 가진 유일한 기록들 [18] Leeka16714 22/11/06 16714 12
75927 [LOL] 리그 레전드한테 내민 악마도 절레절레할 계약 [30] 월희17179 22/11/06 17179 7
75926 [LOL] DRX 우승기념 이벤트가 시작됩니다 [8] OneCircleEast14927 22/11/06 14927 2
75925 [LOL] 2022년 롤드컵 퍼스트 팀을 정해 봅시다. [86] 일모도원17084 22/11/06 17084 2
75924 [LOL] 역대 롤드컵 본선 다승 순위 (30승 이상) [14] 니시노 나나세17967 22/11/06 17967 2
75923 [LOL] 오늘 기준으로 달라진 역체 라인의 위상을 알아봅시다. [245] Bronx Bombers25738 22/11/06 25738 6
75922 [LOL] 구마유시 인스타 라이브 방송 정리 [74] 리니어21142 22/11/06 21142 40
75921 [LOL] 올 한해 티원 고마웠습니다 (+내년이 더 기대되는 이유) [15] Taima15598 22/11/06 15598 12
75920 [LOL] 다음 데프트는 누구? - LCK 현역 최장기 월즈 무관 선수 TOP 14 [33] qwerasdfzxcv15706 22/11/06 15706 4
75919 [LOL] 좌절감이 사나이를 키우는 것이다 [39] 마스터충달18634 22/11/06 18634 76
75918 [LOL] 롤이스포츠 역사상 최고 시청자 경신 [22] newness17576 22/11/06 17576 3
75917 [LOL] 자! 승부의 신 정산하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19] 지구 최후의 밤16234 22/11/06 16234 1
75916 [LOL] 이제 제 마음속 역체팀이 되어버린 2022년 DRX [21] 통피13220 22/11/06 13220 11
75915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2005년 SO1 스타리그를 보는 듯 했던 2022년 롤드컵 [34] 활화산17433 22/11/06 17433 6
75914 [LOL] EDG 구단주의 SNS와 클리어러브의 중국 공식 방송 [3] Leeka17330 22/11/06 17330 10
75913 [LOL] 22년 DRX 최종 성적 [33] 니시노 나나세16798 22/11/06 16798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