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0/18 10:27:11
Name Leeka
File #1 0eef26c1f89572d7e577294ac8a4b037.jpeg (158.3 KB), Download : 36
Subject [LOL] G2라는 슈퍼팀이 LEC를 얼마나 부활시켰을까? (수정됨)


2018 서머 결승전 대비 2019 LEC 결승전 평균 시청자 45.4% 증가
2018 서머 결승전 대비 2019 LEC 결승전 피크 시청자 67% 증가


2018 서머 정규시즌 대비 2019 서머 정규시즌 평균 시청자 37% 증가



2016년부터 LEC 시청률은 계속해서 떡락중이였고..  리그 위기네 뭐네 하고 있었는데

2019 LEC 서머는 당시 시청자 기록이 '2016스프링 ~2019 스프링' 중 어떤 시즌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높음'


슈퍼팀 G2가 MSI를 먹으면서 리그에 만들어낸 압도적인 선순환.





그 이후에 G2는 거대 팬덤을 보유하면서 유럽 평청자를 프나틱과 양분하는 1~2위 팀이 되었고

유럽은 이 기회를 잘 살림 + 2부리그를 제대로 만들면서 현재 선순환으로 인해 LEC 시청자수는 G2가 떡상 시킨 그 시청자를 유지하는걸 넘어서
올해 기준으로도 저 시절 이상 보고 있음..

(물론 유럽이 성적을 계속 못 낸다면.. 위험해질수 있긴 한데
유럽이 2부리그도 어느정도 안착하고.. 업셋, 콤프등이 계속 발굴되는거 보면.. 한국도 그리핀/담원을 필두로 세대교체가 되었듯 문제 없지 않을까 싶은 생각?)


그런의미에서 G2의 5명은 정말 유럽 롤씬에선 GOAT가 될 수밖에 없는 업적을 세우지 않았나..






+@ LCS가 슈퍼팀이 한번만 성공했더라도 세계선은 달랐을지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버스탈땐안전벨트
22/10/18 10:32
수정 아이콘
막줄을 보니 다시 한번 길로또를 욕하는게 맞겠네요
서양 롤판의 지크 예거 '안드레 길로또'
22/10/18 10:45
수정 아이콘
도대체 길로또에겐 무슨일이 크크 로또를 얼마나 맞았는데 망했길래 크크
피우피우
22/10/18 13:18
수정 아이콘
어떻게 사람 이름이 길로또
22/10/18 13:36
수정 아이콘
아니....그동안 길로또가 별명인줄 알았는데 이름이에요? 뭐 로또라도 맞은것마냥 계속 기회 받는다고 길로또인줄
22/10/19 01:38
수정 아이콘
'길로또는 또 뭔데 십덕아 지들끼리만 아는말 쓰네' 생각했는데 검색해보니 진짜 이름이 길로또라 할말을 잃었습니다
피죤투
22/10/18 10:38
수정 아이콘
한국 팬들이 가장 미우면서 좋아하는 유럽팀은 지투가 아닐까..
제발 부활해줘
22/10/18 10:39
수정 아이콘
국내팀을 제외하고 정말 좋아했던 팀이 19년 G2
22/10/18 10:46
수정 아이콘
G2 운영 스타일도 개꿀잼이었쬬 확실히 풀떄 풀다가 한방에 역전하고 쫙쫙 불려버리는
Equalright
22/10/18 10:47
수정 아이콘
유럽은 ERL - EM 시스템 성공시킨게 진짜 신의 한수죠
유망주들이 대활약할 공간 + 동기부여할만한 대회가 다 갖춰지니 선수수급도 확실해졌고, 지역특색도 부여되니 팬들 동기부여도 엄청 잘되고 인기도 올라감.

카민코프가 프랑스리그 소속인데도(LEC 루머가 있지만) 인기만 따지면 엄청나다더군요.

G2가 씨를 뿌리고 좋은 시스템으로 개화시킨게 아닌가 싶어요
바람이분다
22/10/18 10:47
수정 아이콘
M5와 G2는 정말 롤판 마지막까지 기억될 것 같습니다.
22/10/18 10:48
수정 아이콘
킹즈 오브 유럽
G2 만의 변칙 운영도 사실 그걸 뒷받침하는 체급이 있어서 가능했죠
19 롤드컵 때 결승이 두고두고 아쉬울 법한...
22/10/18 10:50
수정 아이콘
본인들도 18 월즈에서 IG한테 진건 100번 싸워서 100번 질 차이라... 아쉽지 않다고 했는데
19 월즈 FPX는 너무 아쉽다고 했으니..
김연아
22/10/18 11:23
수정 아이콘
근데, 18 IG와 격차가 훨씬 큰 건 맞는데, 19년도도 그 상황에서는 다시 돌려도 이기기가 너무 힘들 것 같아요.

결국 미드 노틸 픽 하나 때문에 아예 밴픽이 성립이 안 된 수준의 결승전이어서.

당연히 본인들은 정말 아주 아쉽겠죠.
22/10/18 10:52
수정 아이콘
T1 - LCK 우승 탈환 & 페이커 4회우승
IG - 2연속 우승 & 더샤이, 루키
G2 - 최초 그랜드슬램

저는 누가 우승해도 좋았는데, 거기서 우승을 FPX가...
김연아
22/10/18 11:24
수정 아이콘
The Breaker FPX

하지만 2년 뒤 준준딱 진기록을 세우는데....
인간atm
22/10/18 11:03
수정 아이콘
결승전만 치열했다면 흠잡을거 하나 없는 19 롤드컵이었죠..
김연아
22/10/18 11:21
수정 아이콘
1경기까지는 명경기 스멜이었는데.....

결국 노틸러스 픽 하나 때문에 밴픽 단계부터 와장창창창 무너져버린.....
인간atm
22/10/18 11:38
수정 아이콘
캡스가 라이즈 궁으로 탈출쇼 했을 때까지만 해도 무지 흥분했던 기억이 납니다.
수퍼카
22/10/18 13:24
수정 아이콘
라이즈 궁 탈출쇼는 원더가 캡스를 탈출시켜준 거죠. 그 때 라이즈를 괜히 탑으로 돌리고 미드 파이크를 했었죠.
DeglacerLesSucs
22/10/18 11:04
수정 아이콘
퍽즈 캡스 중 한명이 바텀라이너를 미드보다 재밌어했다면 이 팀의 역사는 달라졌을까요.. 결국 두 선수 모두 미드라이너에 대한 열망이 넘쳐났기에 유럽 최고의 재능을 영끌해서 모였던 G2라는 팀이 계속 지속되기는 어려웠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 마르틴 한센 선생님의 와우사랑)
더치커피
22/10/18 11:35
수정 아이콘
원더가 19msi에서의 파괴력을 주욱 유지만 했어도..
22/10/18 11:17
수정 아이콘
19월즈가 진짜 역대급이긴 했죠
특히 4강라인업이 그냥 죽여줬죠
22/10/18 13:24
수정 아이콘
당시 유럽의 최강, 당시 한국의 최강, 전 시즌 롤드컵 우승팀, 당시 중국의 최강. 4강 트레일러도 기깔나게 뽑혔죠
김연아
22/10/18 11:20
수정 아이콘
G2가 우승을 한 번 했어야 했는데....
자아이드베르
22/10/18 11:28
수정 아이콘
LEC든, LCS든 G2같은 팀이 더 나와야 월즈가 더 흥미진진할 것 같습니다.
다시마두장
22/10/18 11:36
수정 아이콘
그룹 2일차에 북미체험 한 번 하고나니 자국 팀들의 선전이 얼마나 중요한가가 와닿더라구요.
역으로 맨날 지면서 자국팀 응원하는 LCS 팬들의 인내심이 대단했다는 생각이...
OcularImplants
22/10/18 13:03
수정 아이콘
2주차에 한중대항전 되니 조별리그가 김이 팍새더라고요
22/10/18 14:08
수정 아이콘
LCS가 진짜 반성해야겠다는 생각한게 A조 2주차 C9 팬들 C9 깃발 흔들어가며 열성적으로 응원하는 거 보는데 플레이는 어.. 어....
응원의 반만 했어도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22/10/18 14:42
수정 아이콘
한국팀 응원하는 입장에서 너무 잔인하고 미운 경기력이지만 진짜 매력있고 재밌게 게임하던 팀이었어요
고오스
22/10/18 17:14
수정 아이콘
당시 G2가 너무 잘해서 LCK 팀 및 팬들은 올해까지 G2 증후군에 시달렸죠

이젠 아니지만요
Fabio Vieira
22/10/19 10:49
수정 아이콘
진짜 G2는 19년에 월즈 우승을 했어야 했는데.. 물론 진짜 무섭긴 했는데 얘네들은 그래도 밉지는 않아요 크크.. 트위터 보는 맛도 있고..
아 물론 제가 kt팬이라서 하는말은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736 [LOL] 2022 월즈, 현재까지 108개의 챔피언 (그룹 기준 93개) 등장 [6] Leeka12034 22/10/23 12034 0
75735 [LOL] 담젠전 보면서 기억에 남는 장면들 (현지 함성 클립) [9] Leeka16509 22/10/23 16509 13
75734 [LOL] 경기 후 쇼메의 슬픈 인터뷰 [33] 타임러스17184 22/10/23 17184 4
75733 [LOL] 젠지 VS 담원 With 클템 [8] 검사16365 22/10/23 16365 1
75732 [LOL] 애슐리 강: 선수가 된다는건 무슨 기분일까 [12] insane17561 22/10/23 17561 11
75731 [LOL] 8강 마지막 경기 DRX EDG 간단 프리뷰 [47] 원장16047 22/10/23 16047 2
75729 [LOL] 올해 젠지vs담원을 관통하는 한마디 [98] PLoLiA19244 22/10/23 19244 2
75728 [LOL] 롤드컵 8강 경기 후 젠지 인터뷰 [29] OneCircleEast17040 22/10/23 17040 4
75727 [LOL] 제가 롤드컵 다시보기로 달리는 방법 [20] 새벽하늘13337 22/10/23 13337 5
75726 [LOL] 유미로 인해 1년 농사가 끝난 담원 [75] Leeka22842 22/10/23 22842 6
75725 [LOL] 1년내내 풀세트! 역대급 젠담 월즈 8강 후기 [444] Leeka32319 22/10/23 32319 11
75724 [PC] [발로란트] GEN.G와 T1의 로스터가 공개되었습니다. [5] 유나결13214 22/10/23 13214 0
75723 [LOL] 얀코스 선수가 G2를 떠나나보네요 [11] 반니스텔루이16147 22/10/23 16147 0
75722 [LOL] 올해 롤드컵 우승 스킨부터 새로운 방식이 적용됩니다 [37] Leeka19398 22/10/22 19398 2
75721 [LOL] T1 vs RNG 클템(복구됨)/강퀴 [38] 검사23112 22/10/22 23112 5
75720 [LOL] 현재까지 남은 롤드컵 징크스들 [34] Avicii17176 22/10/22 17176 1
75719 [LOL] 역대 롤드컵 4강팀, 리그별로 살펴보기 [4] Leeka14538 22/10/22 14538 0
75718 [LOL] 10월 23일 일요일 오늘의 롤드컵 일정 [73] 발그레 아이네꼬22882 22/10/22 22882 8
75717 [LOL] 내년 롤 리그 대격변 관련 다양한 이야기들 [22] Leeka17607 22/10/22 17607 0
75716 [LOL] 5 chinese can't win - 2022 월즈에서도 그대로 [89] Leeka20928 22/10/22 20928 9
75715 [LOL] T1 vs RNG, 승리와 함께 값진 플러스 알파 [116] 잘생김용현25540 22/10/22 25540 21
75714 [LOL] 롤드컵 티원 부활 RNG 때운 !!!!!!!!!!!!! [116] 아수날25535 22/10/22 25535 7
75713 [LOL] 2023년 LEC 리그 진행방식 대폭 변화 [30] 비역슨15085 22/10/22 150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