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2/16 05:51:14
Name League of Legend
File #1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215.5 KB), Download : 18
Link #1 https://www.upcomer.com/lol-global-and-regional-power-rankings-for-feb-15/
Subject [LOL] 업커머 2/15 파워랭킹 (수정됨)


업커머에서 2/15일 파워랭킹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웨이보게이밍에 패배한 EDG는 한단계 내려오고, LNG가 그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어제 경기로 메이저 리그에서 무패팀은 LNG , T1 두 팀 입니다.)

T1은 5위로 배정되었는데, 이게 이번 랭킹배정에 핵심이다보니 조금 언급을 해보자면
https://www.upcomer.com/lessons-learned-from-lck-2022-spring-split-week-4/ 에서도,
https://www.upcomer.com/lol-global-and-regional-power-rankings-for-feb-15/ 업커머 파워랭킹 에서도

T1-젠지 전이 순위상으로는 LCK 1,2등팀의 경기였고 2-0승리였기는 하지만
3명의 교체멤버가 있는데도 경기가 일방적이지않았던 점을 상당히 안좋게 보고있습니다.
기사에서는 구마유시 케리아가 미드쪽 아래 점부쉬에서 교전이 열리게 만든 장면을 어처구니없는 실수라며 꼬집었습니다.


대충 LPL 강팀들을 상대로 이렇게 해서 이기긴 힘들다는 취지의 평가가 메인이었다보니 
5위로 배정되며 지난 주에 비해 두 단계 순위가 내려갔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다른 LCK팀들도 후순위..지만 LPL5위팀 보다는 다들 높게보네요

새로 진입한 DRX 경우 데프트의 꾸준한 경기력, 믿을맨, 질때도 데프트는 잘헀던 모습이 강조되었고 다른팀(로그)이 랭킹에서 사라지며 진입했습니다. 이번에 있을 담원 한화전에서 확실한 랭킹권인지 증명해내야한다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6 05:53
수정 아이콘
이건 좀 웃음벨이네요. 아무리 그래도 LCK 1위가 5위는 좀..
League of Legend
22/02/16 05: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충 몇번 보니까 리그를 뭉텅이로 판단하고 세세한, 정확한 배정은 하지않는 편 같습니다.
T1 바텀 경기력이 메롱이었다는 점에서, 웨이보게이밍 경기력이 어제 1등팀으로 배정되어있던 EDG상대로 파괴적이었다는 점에서 갈린 것 같아요
Bronx Bombers
22/02/16 05:55
수정 아이콘
이번 주는 레알 웃기는 랭킹인 듯. 1경기야 비벼졌다고 해도 쟤네 2경기는 안 봤나
22/02/16 06:12
수정 아이콘
lpl은 경기력이 엄청난가보죠?
League of Legend
22/02/16 06:14
수정 아이콘
LPL 경기를 안보는 편인데, 그냥 어제 웨이보게이밍이 경기력 좋게 이겨서 그냥 4위 간 것 같아요
T1보다 LPL 애들이 겁나 쎄다 1,2,3 4위와 5위의 격차벽이 두껍게 존재한다 이런 느낌이 아니라 그냥 순위대로 박아넣고 LCK 1위팀 이번에 경기력 안좋았네? 그럼이번엔 아래.. 웨이보 게이밍 잘하더라.. 그러면 LPL 전부 위로.. 뭉탱이 느낌
Bronx Bombers
22/02/16 07:29
수정 아이콘
다른 팀은 모르겠고 EDG는 어제 지기 전까지는 대단하긴 했습니다. 솔직히 EDG는 춘절 브레이크 전까지는 LCK 어떤 팀도 힘들겠다 싶을 정도로요

근데 그 EDG를 어제 WBG가 멀리 보내버려서 WBG 평가가 떡상한 듯
22/02/16 12:57
수정 아이콘
진 edg쪽 랭킹을 깎을수도 있는거니까요
League of Legend
22/02/16 14:31
수정 아이콘
깎았어요 1위팀을 확내리기보다 이긴팀을 더 올린판단은 강팀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2/02/16 06:16
수정 아이콘
누가 갈진 모르겠지만 이번 MSI도 재밌겠네요.
이호철
22/02/16 06:33
수정 아이콘
LCK에 특별히 애정이 없는 사람이 봐도
LCK 1위 팀이 5위에 배치된 건 진짜 아닌 듯.
22/02/16 06:41
수정 아이콘
근거있는 순위도 아니고 그냥 EDG 이기면 오르고 밀리면 떨어지는 순위표죠.
T1이 잘못한게 있다면 EDG와 붙어볼 일이 없다는 것..! 아깝다!
사이퍼
22/02/16 07:07
수정 아이콘
이건 뭐 길게 말하기도 힘드네요 중뽕 그 자체
아무리 lck가 망해도 1등팀이 lpl 4위팀한테 지는건 상상이 안됩니다.
올해는다르다
22/02/16 07:25
수정 아이콘
LPL 실력은 모르겠지만 티원 경기력은 심각하긴 했어요. 다만 리그 다른 팀들이 좀더 못해서 이기고는 있습니다만.
22/02/16 07:40
수정 아이콘
Blg만 없었음 1,2부리그 드립이라도 쳤을텐데 크크
이호철
22/02/16 08:02
수정 아이콘
순위가 별 의미는 없지만 V5가 목록에 있는건 반갑긴 하군요.
좋아하는 선수들이 많아서 롤드컵에서도 꼭 보고 싶은 팀입니다.
일이사사이
22/02/16 08:06
수정 아이콘
와...이건.... 진짜 중뽕이 너무 심한데?
22/02/16 08:22
수정 아이콘
국뽕 vs 중뽕
22/02/16 08:35
수정 아이콘
고맙다…
악몽의 미로성
22/02/16 08:36
수정 아이콘
억울하면 이겨야죠. 뭐...
업커머가 맨날 까이지만, 저기보다 더 정확한 곳이 있냐하면 거기서 거기인지라
22/02/16 11:09
수정 아이콘
작년 FPX 평가보고도 정확하다고요?
악몽의 미로성
22/02/16 13:10
수정 아이콘
작년 FPX는 다 틀렸는데요? 업커머보다 더 낫고 정확하다고 할만한 확실한 곳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됩니다.
22/02/16 13:49
수정 아이콘
FPX 뿐만 아니라 EDG 빼고는 맞춘게 없는 수준입니다만
악몽의 미로성
22/02/16 14:0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업커머보다 더 낫고 정확하다고 할만한 확실한 곳을 알려달라니까요. LCK 전문가들도 다 틀린 결승이었는데요.
22/02/16 14:10
수정 아이콘
파워랭킹이 우승자 맞추기가 아니지 않습니까. 제가 파워랭킹 올라올때 마다 말하는건데 파워랭킹은 우승리그를 맞추는 랭킹이 아니라, 팀의 전체적인 성적과 결과를 다 고려해서 내야합니다. 그런데 작년 파워랭킹이 정확했다고요? LPL 2팀이 조별딱 했는데요?
악몽의 미로성
22/02/16 14:12
수정 아이콘
업커머가 절대적이고 정확하다고 했습니까? 까일만하지만, 저기보다 확실히 나은 곳이 있냐는 물음은 왜 회피하시죠?
22/02/16 14:15
수정 아이콘
다른곳으로 물타기 하지 마시고요. 애초에 평가 자체가 많이 틀렸는데 다른데보다 정확하다고 얘기하는게 뭔 의미가 있는거죠? 작년 롤드컵 결과와 파워랭킹 비교하면 정말로 그게 맞았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닌거죠?
악몽의 미로성
22/02/16 14:24
수정 아이콘
평가 자체가 많이 틀렸다는 님의 평가는 무슨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하는겁니까?
현직 코치,해설들도 주관적인 평가가 들어가서 진짜 객관적인 전력 예측이 안되는데,
방구석 롤 전문가 주제에 내 평가하고 다르니까 이건 틀렸어 빼애애액 크크크
애초에 첫 댓글이 롤 평가라는게 거기서 거기니까 억울하면 이겨야한다는겁니다. 거기서 왜 정확하냐는 말이 나오죠?
그걸 반박하려면 업커머보다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곳을 말해야하는데, 저건 그저 틀렸어 빼애애애액 참나
22/02/16 14:25
수정 아이콘
악몽의 미로성 님// 평가가 많이 틀렸다는건 당장 작년 LPL 2팀이 조별딱이고 LCK는 4강에 3팀을 보낸 결과를 가지고 얘기합니다.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게 바로 작년 롤드컵 결과입니다. 또 우승팀 얘기하실거 같아서 얘기하자면, 파워랭킹은 전체적인 팀의 성적을 다 고려해야 하지 우승팀 맞췄다고 면죄부가 되는 랭킹이 아닙니다. 작년 파워 랭킹이 정확했다라고 얘기할려면, LCK와 LPL의 롤드컵 성적이 반대였어야 정확하다고 얘기할만 하죠.
악몽의 미로성
22/02/16 14:38
수정 아이콘
하아... 그러니까 누가 업커머가 절대적이고 정확한 곳이라고 했냐고요.
제가 작년 업커머 파워 랭킹이 정확하다고 이야기했나요?
롤에서 팀전력 평가는 거기서 거기고, 업커머보다 객관적이고 확실한 곳이 있다면 모를까 아니면 억울하면 이겨야한다는건데. 크크
님이 그렇게 정확하면 님이 랭킹 올리세요. 방구석 롤붕이의 객관적인 통찰력을 기대할께요!
22/02/16 12:27
수정 아이콘
담원이 우승해도 변하지않았고 4강 3lck여도 이렇게 후려치는데 더 이기라는건가요?
악몽의 미로성
22/02/16 13:12
수정 아이콘
아래의 새벽하늘님의 댓글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LCK 고평가 할때는 잊으시고 이러면 안되죠.
작년에 담원이 2연속 우승을 성공했다면 모르겠지만, 지금은 LPL의 시대가 맞죠
22/02/16 15:12
수정 아이콘
그땐 lck가 5년연속 우승후자나요. 그때 lck가 4위까지 줄세웠나요?이번에도 lpl 두팀이면 말도 안하죠
lck 전승팀이 5위니까 그렇지.
악몽의 미로성
22/02/16 15:25
수정 아이콘
lpl 1팀만 올라온 것도 붙어봐야 아는거겠지만, 내전덕분도 있다는건 잊으시면 안되죠.
롤드컵 우승팀인 EDG를 기준으로 두고 평가하면 그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이야기한건 새벽하늘님 첫댓의 링크를 말한 겁니다. LPL 뽕으로 가득 찼다면 티원과 그리핀을 1,2위로 안두겠죠.
22/02/16 15:30
수정 아이콘
과거에 티원과 그리핀이 1.2위인건 5년연속 우승후니까 그럴수 있다입니다.
지금 lpl이 3년연속 우승했나요?
그리고 내전덕분이요? 조별리그는 lpl성적이 좋았나요?
이디지가 뭐 담원 3대0으로 압살했나요?1대2로 위기에 몰렸었는데요.
그냥 님이 lck를 너무 저평가하는거 아닌가요?
악몽의 미로성
22/02/16 15:42
수정 아이콘
LPL이 3년 연속 우승했냐고요? 3년 연속 우승안했지만, 최근 4년중에 롤드컵 3번은 우승했고, MSI 두번 우승했네요.
LCK는? 최근 4년중에 롤드컵 한번, MSI 한번입니다. 2021년 MSI는 개인적으로도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아무튼 결과가 이렇습니다.
조별리그의 성적이요? 조별리그가 롤드컵 본선에서의 성적을 보여주나요?
그럼 2019년의 FPX는 뭔가요? 조별리그로 팀파워 1위 정하고 끝 할꺼면 롤드컵 본선은 왜 하나요?
3대0으로 압살을 이야기한다면 탑 칸이 빠져서 명백하게 전력이 약화된 담원에게 질 뻔한 티원을 높게 평가해줘야는 건 어떻나요?
EDG는 우승전력 그대로고 이 EDG를 이긴 웨이보가 티원보다 낮을 평가를 받을 이유는 또 멉니까?

그리고 위에서도 티격태격하면서 이야기한건데, 객관적인 전력평가가 불가능하니 억울하면 이기면 된다는겁니다.
업커머가 무지성 중뽕이라고 마냥 평가하기엔 아예 근거가 없는게 아니에요. 그러니 이겨서 증명해야한다는거죠.
악몽의 미로성
22/02/16 15:56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저 LCK까 아닙니다. 담원이 EDG에게 져서 좋다고 하는 양반때문에 빡친적도 있어요. 그냥 현실이 이렇다는겁니다. 롤드컵 우승했으니 존중해줘야 우승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댓글을 적었고, 이겨서 증명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년도 우승하면 그깟 업커머가 멉니까
22/02/16 23:57
수정 아이콘
분하지만 맞는말이고 2회연속우승정돈해줘야 명예회복 가능할거같네요..
대법관
22/02/16 08:43
수정 아이콘
이러다 매치 1패라도 하면 BLG 아래로 보내겠군요..
마스터카드
22/02/16 08:57
수정 아이콘
뭐 이기면 되죠
개인적으로 올해는 티원이 일을 낼거라고 봅니다..
22/02/16 08:57
수정 아이콘
지난 롤드컵 4강 중 3팀이 LCK 소속이었는데..! 크크 아무리 월즈 타이틀을 뺏겼다지만 LPL 고평가가 심하네요 진짜
꾸르륵
22/02/16 08:58
수정 아이콘
lpl 최상위팀은 실수를 안한다니
당장 어제 진 edg가 실수를 계속해서 진거고
lpl이야말로 실수가 상수인 리그인데 뭔 쌉소리지
League of Legend
22/02/16 14:33
수정 아이콘
실수를 안한다기보다 T1의 봇라인을 지적한건 시야도 없고 양사이드로 팀원 다 뻗어있는 상황인데 싸움열린게 팀게임적으로 큰 실수라고 보는거죠. 어떤 스킬의 실수 이런 뜻이 아니라요
키모이맨
22/02/16 08:58
수정 아이콘
아주 확연하게 LPL>LCK>LEC로 두는건 알겠는데 좀 과해보이긴하네요 크크
쿼터파운더치즈
22/02/16 09:07
수정 아이콘
말이 안되는게 저 기준이면 작년도 동일하게 갔어야죠...
심지어 스프링에도 담원기아도 1위 유지한게 아니고 2위 내려오고 상위권 중국팀이 차지했었는데
억울하면 이기는게 아니고 이겼는데도 LCK는 저평가 받았던게 문제죠
박수영
22/02/16 09:07
수정 아이콘
T1 팬 여러분께 미리 죄송합니다. T1이 5위를 차지한것은 그들의 성적에도 불구하고 회의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Gen.G와의 시리즈는 Gen.G가 3명의 교체 선수를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조잡했습니다. T1은 봇 라이너 'Gumayusi' 이민형과 서포터 'Keria' 류민석이 사이드 라인 중 하나를 밀어넣으면서 미드에서 몸싸움을 벌이는 등 어리석은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정글러 'Oner' 는 젠지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바텀 쪽 강가에 무작정 돌진하는 실수를 보였지만, 젠지의 기계적 실수 덕분에 실점으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최고의 LPL 팀은 이러한 기본적인 실수를 하지 않습니다. T1은 국제 무대에서 중국의 거물을 상대하려면 계속해서 성장하고 이러한 오류를 보완해야 합니다.

티원 코멘트
랜슬롯
22/02/16 17:45
수정 아이콘
아래에 대한 부분들은 몰라도 티원이 젠지 상대로 특히 1경에서 아주 깔끔했다고 말하기 힘들긴하죠. 좀 거시기하긴 하네요. 뭔가 내려다보는 말투로 말하는 느낌인데… 뭐 졌으니 할말은 없습니다 -.-
22/02/16 09:09
수정 아이콘
마음에 들진 않지만 t1 경기력이 별로였던 것도 맞긴해서...
애플리본
22/02/16 09:09
수정 아이콘
이젠 그러려니. 크크. 작년 4강 다 잊었니?
은때까치
22/02/16 09:12
수정 아이콘
젠지전 구케 실수가 나와선 안 되는 실수이고 크게 혼날만한건 맞지만, 저건 전적으로 "너무 안일해서" 나온 플레이고, 보통 저런 플레이는 빡집중한 겜에서는 잘 안 나오는ㅡ 교정이 쉬운 실수거든요? 오히려 저는 그 이후에 정신차리고 어려운게임을 좋은 판단과 운영으로 역전한게 티원의 실력을 더 잘 보여줬다고 생각했는데...

요새 LPL을 거의 보지를 않으니 랭킹에 대해 뭐라 할수는 없지만, 저 실수 하나 때문에 티원을 저렇게 내려치기 한 건 이해가 잘 안가네요. 한 이벤트로 팀 전체를 평가하려면 올시즌 광동에서 기인 그브랑 본대랑 따로 논, 그정도 임팩트는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
League of Legend
22/02/16 14:36
수정 아이콘
저 장면 + 3명 교체선수인데 게임 뒤집히고 질뻔했다는게 이해가 안가나봐요

생각보다 2군들이 더 쎈 리그다 라는 결론이 나면 반영될지도 모르겠지만 젠지2군이 CK 하위권이다보니..
곰성병기
22/02/16 09:17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걍 중뽕이죠
새벽하늘
22/02/16 09: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선정랭킹 내놓던 espn기자팀들이 나와서 만든게 업커머잖아요 처음부터 중뽕은 아니었을거고 나름 근거가 있겠죠. 과거엔 어땠는지 좀 찾아봤어요 https://sktlol.tistory.com/48 2019.3.26일랭킹인데 18년을 그렇게 꼴아박았는데 lck팀을 1,2위로 뒀네요. 이런걸 보면 쭉 잘하던 지역이 한번정도는 우승을 내줘도 사고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는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사실 이 랭킹은 한번이 아니고 두번 진이후고 아래가 중국팀으로 도배되긴 했지만..세계대회를 연달아 3~4개정도 먹었는데 인식이 안변하면 중뽕이라고 할수있을거 같아요. 그런데 지금은 모르겠네요. 그냥 자기들이 평소 하던대로 한거 같기도해요.
22/02/16 14:11
수정 아이콘
같은 년도 6월 랭킹 보면 또 느낌이 전혀 다르죠.
새벽하늘
22/02/16 14:14
수정 아이콘
6월에 그렇게 변한 이유가 또 있겠죠. 중요한건 lpl팀을 무지성으로 위로 두고 시작하는게 아니라는거잖아요.
22/02/16 14:16
수정 아이콘
글쎄요. 지금은 무지성으로 위로 놓고 시작하는거 같습니다만. 단순이 특정팀을 기준으로 두고 리그 순위만 고려해서 랭킹을 매기는거는 무지성이 맞다고 보는데요. 심지어 티원 랭킹 하락의 사유가 경기력에 문제가 있었다는건데, 또 랭킹 순위는 리그 순위를 고려하는 듯한 이중잣대가 있죠.
새벽하늘
22/02/16 14:18
수정 아이콘
전체기간으로 보면 안 그런다는거에요. 분명 예외인 경우가 있거든요. 지금은 그렇게 보일수 있지만 그건 어떤 이유때문에 그렇다고 보는게 맞거지 중뽕이라서 무지성으로 lpl팀을 위에 뒀다고 하는건 이상하다는거에요.
22/02/16 14:2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전체기간으로 봐도 무지성으로 랭킹을 매기는 경향이 좀 있다고 듭니다. 당장 티원의 감점사유만 봐도 너무 말이 안되잖아요. 애초에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특정팀을 기준으로 보고 위 아래를 그팀과의 상대전적으로만 매긴다는거 자체가 웃기지 않나요?
새벽하늘
22/02/16 14:26
수정 아이콘
그건 전문가수준을 따질일이지 무지성 중뽕이라고 몰아갈게 아니죠. 제 처음 댓글도 그런 맥락이구요.
22/02/16 14:29
수정 아이콘
17년 부터 쭈욱 봤을때 LPL팀은 비롯한 서양팀은 좋은 점을 최대한 봐주는 반면 LCK팀은 감점사유를 최대한 찾아내는 느낌이 일관적이라서 얘기한겁니다. 새벽하늘님이 올린 19년 3월 처럼 예외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런 경향이 매우 강했습니다. 당장 19년 롤드컵 파워랭킹 1위는 무려 G2 였습니다.
새벽하늘
22/02/16 14:31
수정 아이콘
진선정이라는 단어가 나온 국내에서조차 과하다고 평가받은 국뽕파워랭킹도 espn랭킹이에요. 그냥 자기들만의 근거가 있는거죠. 이걸 중뽕베이스라고 하는게 이상하다는거에요.
22/02/16 14:34
수정 아이콘
진선정 얘기는 지나치게 먼 과거를 가지고 와서 얘기하시는거죠. 각자 기억하는게 다를 수 밖에 없지만, 저는 이 파워랭킹이 유독 비 LCK 팀에게 후하게 부여되는 경우를 많이 봐서 하는 얘깁니다.
새벽하늘
22/02/16 14:3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때는 우리입장에서는 국뽕 저쪽입장에서 보면 한뽕으로 보였을거고 지금은 중뽕으로 보이는거잖아요. 그렇게 변하게된 계기가 있을거라는겁니다. 무지성중뽕으로 몰기보다 그렇게 접근하는게 더 좋지않을까요?
22/02/16 15:09
수정 아이콘
글쎄요. 그동안의 전적을 봤을때 쉽게 동의가 안됩니다.
새벽하늘
22/02/16 15:14
수정 아이콘
과거 파워랭킹 훑어보고 있는데요. https://hicesports.tistory.com/13 이땐 담원을 1위 줬네요. 저 시기가 lpl이 2연속 롤드컵 먹고 lck가 털렸던 msc후의 랭킹인데요. 무지성중뽕 베이스면 담원을 1위 줬을까요? 이번 랭킹이 중뽕으로 보이는건 맞습니다. 하지만 중뽕이상으로 서양혐랭킹이기도 하죠. 위에 서양을 좋게 본다고 하셨는데 이번 랭킹은 대놓고 서양혐랭킹이네요? 전 그냥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서 나름의 근거로 랭킹을 준다는 생각이 들어요.
22/02/16 15:16
수정 아이콘
반례를 찾을려면 얼마든지 찾을수 있죠. 저는 전체적인 경향성을 말한겁니다. 이번처럼 그 반대의 사례도 차고 넘처요.
새벽하늘
22/02/16 15:17
수정 아이콘
lck를 낮게보고 비lck를 좋게 평가하는게 베이스면 lck팀이 좋게 나오는 경우는 나올수가 없죠. 반례가 있다는거 자체가 한쪽으로 쏠린게 아니라는거잖아요. lck혐오하는 감정을 숨기려고 한번씩 lck 좋게 준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22/02/16 09:43
수정 아이콘
어제 WBG가 EDG 발리던데...
유자농원
22/02/16 09:44
수정 아이콘
응 기대컨 고맙고~
유자농원
22/02/16 09:45
수정 아이콘
DRX 올라온거랑 서구권 멸망한건 재미있네요
22/02/16 09:47
수정 아이콘
사실 팬들 체감보다 최근 몇 년은 확연한 LPL 우위라서 1부리그 보정 평가 들어간 거죠. LCK도 저런 시절이 있었으니...
억울하면 성과를 좀 내야죠 크크
아델라이데
22/02/16 09:49
수정 아이콘
LCK에서 폼떨어지고 간 한국선수들이 LPL에서 다 날아다니는데.. 그건 어떻게 설명할건지 궁금하네요.
22/02/16 09:55
수정 아이콘
반대로 lpl에서 멸망한 선수가 lck에서 활약하는 경우도 있어서...
위 파워랭킹에 대해서는 굉장히 별로라고 생각하지만(티원이 2위였어야 한다고 생각) 개별 선수로 까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킹이바
22/02/16 10:03
수정 아이콘
반대로 LPL에서 망한 선수들이 한체 먹고 그 선수들 데려오려고 혈안된 케이스도 많아서
그런 개별 케이스 일일이 대는 건 위 파워랭킹과는 무관하고 의미없는 이야기죠.
강나라
22/02/16 09:57
수정 아이콘
한 3위정도면 이해하겠는데 5위는 에바죠.
나른한날
22/02/16 09:57
수정 아이콘
업커머 랭킹 볼때마다, 낮으면 낮을수록 반전의 묘미가 있어서 재밌던데...(DK가 저평가 당했지만, 예상을 넘어서는 퍼포먼스를 보여줄때....같은)
나름 21년도 국제정 우승자 리그를 점수를 더 줬구나 싶네요. EDG <--1황, EDG랑 비비거나, 게임내용이 준수하다 <<-- 가산점..뭐 이딴식..
Lord Be Goja
22/02/16 10:00
수정 아이콘
랭킹상 갑자기 담원 개같이 부활한 표보니 즐겁긴한데, T1이 한게임 정도 좀 약해보였다고 저렇게 깎일만한가 궁금하군요
강나라
22/02/16 10:0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LPL에서 LNG보다는 EDG, RNG가 더 쎄보입니다. LNG는 타잔과 도인비의 시너지로 운영으로 풀어나가는 경기가 많은데 본인들 체급보다 높은팀들 상대로도 통할지 좀 의문이에요.
22/02/16 11:55
수정 아이콘
그런것도 있지만 LNG가 한타를 정말 잘하긴 합니다 구도설계 같은걸 상위권팀들 중 가장 잘하는 느낌은 확실히 있긴 해요 그러니 전승중이겠지만..
칰칰폭폭
22/02/16 10:02
수정 아이콘
세 음절만 말하겠습니다.

도 인 비

감사합니다.
22/02/16 10:04
수정 아이콘
축구로 치면 EPL팀 4팀이 챔스 8강에 다 진출했고, 그 중 3팀이 4강을 갔는데(떨어진 한 팀도 같은 EPL팀에게 떨어짐)
우승을 레알 마드리드가 했다는 이유로 그 다음 해 파워랭킹에서 라리가 1~4위 팀보다 EPL1위 팀이 약하다고 평가한 셈이네요.
이불베개
22/02/16 10:07
수정 아이콘
lck 1등 > lpl 4등 정도면 거의 양리그 격차가 롤판 이래 최대치 수준 혹은 그에 근접했다는건데 최근 경기력 흔들렸다는걸 감안해도 3위보다 내려가는건 살짝 애매해보이긴 합니다.

최근 해가 거듭할수록 lck lpl 수준이 한쪽이 앞설 때는 다른쪽이 따라잡는 식으로 평준화되고 있다고 생각해서 압도적인 팀이 나올 순 있어도 한 리그가 압살하는 구도는 거의 안나올거 같아요.
여행가요
22/02/16 10:15
수정 아이콘
오히려 좋을 지도?
22/02/16 10:15
수정 아이콘
Lck랑 lpl이랑 스크림못하게하면 누가손해일까요?
Lpl쪽이 압도적으로 손해일거 같은데
kartagra
22/02/16 10:19
수정 아이콘
덤으로 중국인들 한국 솔랭에서도 쫓아내고요. 대체 다른 서버에는 왜 와서 깽판질인지.
노련한곰탱이
22/02/16 10:20
수정 아이콘
이건 뭐 선동열 식 마인드를 감안해도 선을 많이 넘었네요. 이건 뭐 누가보면 Edg가 무실세트 압살로 월챔을 먹었는 줄 알겠네요.
멧돼지도축
22/02/16 10:20
수정 아이콘
최근 두리그 상위권 팀들 경기력을 봤을땐 lpl이 앞서는건 맞는거 같은데 티원이 웨이보보다 밑인건 어제 edg이긴 뽕이 조금 들어갔다고 보구요
담원은 강팀상대론 지고 약팀만 상대해서 확실하게 평가하기 힘들고
젠지는 kt상대로 지고 이후는 코로나변수로 제대로 평가하기 힘들고
티원은 전승중이긴하나 본문 내용대로 젠지전에서 흔들림과 그외 타팀과의 경기에서도 종종 불안한 모습이 보이고 있으니까요
현재 경기력 기준으론 lck상위권팀들이 lpl상위권팀들에 많이 밀려보이는데 나중 국제전 폼이 어떨지는 아무도 모르지만요

또한 실수적인 부분에서도
예전처럼 양리그가 획일적인 모습을 보이진 않지만
lck는 실수없이 빡빡하게 굴려나가는걸 선호하는거 같고
lpl은 실수를 상수로보고 lck보다 더 과감한 판단과 플레이가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런만큼 쓰로잉도 많구요
그런 느낌에서 lck팀의 실수가 조금 더 치명적으로 보이는부분이 있어서 저런 코멘트를 한게 아닐까 싶네요
22/02/16 10:30
수정 아이콘
두리그가 갭이 있는건 맞는데, lck1등이 5위인건 좀 에바고, 3등정도가 적당.
파비노
22/02/16 10:33
수정 아이콘
1경기의 T1 10위
2,3경기의 T1 1위
합쳐서 5위
22/02/16 10:34
수정 아이콘
로그 2패했다고 바로 빠진거 보소 크크
근데 지난주에 전패팀 AST한테 승리를 헌납한거 보면 뺄만도 했어요.
김연아
22/02/16 10:41
수정 아이콘
현재는 다 고만고만하긴 한데, 그래도 아직 패배없는 T1을 저렇게 내리는 건 좀...이란 생각이 드네요.

일단 작년 우승없이도 롤드컵 직전 FPX 1위는 이해가 가는 측면이 많은데, 현재 LNG 1위는 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좋은 선수들이고 잘 하는 선수들인 것은 맞는데, 체급적으로 문제가 있어요.
아러가 올라와준다면 혹은 라이트가 라인전까지 성장해준다면 이라는 가정이 붙어야 진정한 강팀 느낌이 날 것 같아요.
라인전에서 이기고 시작하는 법이 그리 많지가 않아요. 상대팀이 초강팀들도 아니었는데요.
도인비도 폼 회복 중이고, 아러도 올라오는 중이긴 한데,
도인비 역시 작년 서머처럼 라인전까지 씹어먹고 캐리하던 폼까지는 아니고, 작년 스프링 정도의 느낌이고,
아러도 라인전 압살이 상수처럼 느껴지지도 않습니다.
라이트는 롤드컵 때 실력이 뽀록이 아니다는 증명 중이긴 한데, 역시 바이퍼나 구마유시, 데프트 같이 이기는게 상수라고 보기가 어려워요.
물론 타전/도인비의 운영은 대단하지만, 그래서 강팀과 붙었을 때 의문점이 6연승 하는 동안에도 계속 드는데 1위??

EDG는 작년 세체는 바이퍼, EDG는 바이퍼의 팀이다를 계속 증명 중인데...
역시나 플랑드레는 세체는 얼어죽을 느낌의 탑이고,
스카웃도 저점 뜰 때 진짜 어마어마하게 내려가고,
그러다보니 지에지에는 거기에 휩쓸리고,
바이퍼가 워낙 파멸적으로 잘 하고, 메이코도 거기에 맞춰서 잘 받쳐주는 중이라 그럭저럭 이기고는 있는데,
잘 하는 상체 만나니까 바로 쓸려가 버렸죠.

오히려 RNG가 1패하긴 했는데, 그래도 현재까지는 가장 강팀다운 안정적인 면모를 보이고는 있습니다.
샤오후가 미드와서도 라이즈와 코르키 등을 아주 잘 다뤄주면서 계속 과거 이상으로 잘 하는 중이기도 하구요.
아직까지는 빈이 작년 샤오후보다 못하는 중이긴 해요.
그래서 +-가 참 애매한 팀이네요.

WBG는 소프엠이 워낙 종잡을 수가 없는 느낌인데, 진짜 많은 경기를 어제나 제드 캐리할 때처럼 할 수 있으면 진짜 강력한 우승후보긴 할 것 같습니다만,
아직 확실히 폼이 올라왔다고 보기 애매하고, ON도 아직 물음표가 많이 뜨는 서폿인데,
꼭 T1 위로 올리는 게 맞는건지...

최대한 T1을 낮게 봐도 RNG, 그리고 작년 우승팀인 EDG 빼면 위로 놓기 어려워 보이는데 참...
새벽하늘
22/02/16 10:46
수정 아이콘
파워랭킹 4위까지 팀들중에서 edg제외 나머지 3팀은 lpl순위가 edg보다 높은 팀들이죠. edg가 아주 부진하지 않는 이상 edg가 lck팀들보다 아래로 갈일은 없을건데 그 edg를 기준으로 잡고 순위를 주다보니까 저렇게 된거 같아요
22/02/16 10: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국이 후원금을 많이 주나보네요
티원응원하지만 돈 많이 주면 저거보다 더 빨아줄 수 있습니다
새벽하늘
22/02/16 10:48
수정 아이콘
농담으로 하셧겠지만 사실 이 가능성도 배제못하죠. espn 나온다음에 중국자본 투자받아서 업커머 세웠을 가능성도 꽤 높다고봐요.
사이퍼
22/02/16 11:05
수정 아이콘
지수소녀는 대체 어떤 신념을..
22/02/16 11:12
수정 아이콘
가끔 신념을 꺾지 않는 분들이 있죠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22/02/16 10:47
수정 아이콘
업커머가 도인비빠인듯
새벽하늘
22/02/16 10:52
수정 아이콘
도인비로 한정하면 전세계사람들이 롤알못입니다. 국내커뮤에서 정한 순위를 보면 pgr파워랭킹 1위, 펨코 파워랭킹2위고 해외에서 정한순위도 레딧파워랭킹 1위였죠. 사심이 거의 없는 도박사 배당률도 펀플러스가 삼대장이었구요.
22/02/16 10:55
수정 아이콘
작년에 롤드컵 시작하기전에는 충분히 이유가 있었죠
근데 올해에도 이러한 스텐스를 유지하는건 약간 편향적이라서요
새벽하늘
22/02/16 10:57
수정 아이콘
lng를 edg밑으로 둘수는 없는게 lng가 lpl유일 전승 1위팀이거든요.
22/02/16 11:1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업커머가 도인비빠라는 말은 틀렸네요
LPL 고평가가 맞가네요
22/02/16 10:53
수정 아이콘
t1이 젠지2군 상대로 너무 절긴했지만 5위는 좀..
신류진
22/02/16 10:54
수정 아이콘
LCK가 아주 급이 떨어지는 리그도 아니고, 전승 1위를 고작 랭킹 5위로 놓다니 -_-

T1 경기력은 지난 경기가 쬐금 떨어졌지 나머지는 상당했는데 더더욱 납득이 안되네요.

LCK가 이번에는 롤드컵 먹어서 중뽕좀 어떻게 해줬으면 합니다.
그르지마요
22/02/16 11:06
수정 아이콘
T1 5위는 그냥 어처구니가 없네요.. 그리고 로그가 워낙 추한꼴을 보여서 랭킹에서 빠진건 이해가 되는데 그런 기준이면 지난주에 압도적이었던 프나틱이 10위정도에는 들어가야하는거 아닌가??
밀크카밀
22/02/16 11:26
수정 아이콘
저번주 T1 경기력 별로라서 경기력에 대한 멘트는 이해되는데 '최고의 LPL팀은 기본적인 실수를 하지 않는다'가 웃기네요.
앞으로 저 1~4위 팀들이 실수할 때마다 회자될 멘트..
22/02/16 11:47
수정 아이콘
크크 멘트 개웃기네요 진짜
22/02/16 11:52
수정 아이콘
크크크 LPL 높게보는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그저 웃음벨 크크크
킹이바
22/02/16 12:31
수정 아이콘
어제 edg 웨이보 경기만 봐도.. 크크
이선화
22/02/16 14:39
수정 아이콘
이거리얼

중국 팀 고평가 LCK 저평가 할 수는 있는데 그 멘트는 뭔가 크크
마감은 지키자
22/02/16 14:44
수정 아이콘
밈 하나 나온 거죠. 크크크
애플리본
22/02/16 15:12
수정 아이콘
"어나더레벨" 급이 될 것 같은 예감이……
일이사사이
22/02/16 18:06
수정 아이콘
저 기자들은 경기 결과만 확인하고 LPL 보는거 같지도 않습니다 크크
펭귄방패
22/02/16 11:30
수정 아이콘
순위표는 볼때마다 LPL이 최고다 인데 어차피 붙어보기 전엔 모르는거 왜 통합순위를 가리는지 모르겠네요. 실재로 겨뤄보면 예측한 파워팩터가 맞지도 않음.
더치커피
22/02/16 11:44
수정 아이콘
와 웨이보가 EDG 잡았군요 덜덜
22/02/16 11:47
수정 아이콘
어제 한국어 중계 하던데, 이 경기 볼걸 ㅠ.ㅠ
22/02/16 11:50
수정 아이콘
그냥 잡은것도 아니고 아주 멀리 보냈습니다 고점폭발 크크
더치커피
22/02/16 12:04
수정 아이콘
역시 더샤이의 팀답네요 크크
박수영
22/02/16 12:36
수정 아이콘
edg 저점도 같이 터진경기라 스카웃 바이퍼 캐리라인도 상대방한테 그냥 잡아먹혔고 플랑드레는 전복시키기 바쁘고
더치커피
22/02/16 12:44
수정 아이콘
후안펑이야 원래 잘하고
앤젤도 스카웃보다 나았나보군요
박수영
22/02/16 12:59
수정 아이콘
심지어 온 도 2경기때 쓰레쉬 잡고 다 끌어잡아서

쟤 누구냐고
League of Legend
22/02/16 14:42
수정 아이콘
스카웃은 메롱인데 엔젤은 안정적으로 상대압박을 다 흘리는 수준이더라구요
Cazorla 19
22/02/16 12:38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 더샤이 그웬을 세체 그웬이라 생각하는데
이걸 두번이나 주더라구요 바로 폭-파
22/02/16 13:16
수정 아이콘
이건 좀 심하네요 크크 다른 lck팀들이야 멤버 변화도 있고 그러니 그러려니하지만 티원은 최소 3위 안쪽에는 있어야 납득이 됩니다
22/02/16 14:14
수정 아이콘
당장 LCK와 LPL이 통합해서 리그를 치른다고 했을 때 과연 티원과 젠지가 저 순위에 있을까요? 동의할 수가 없네요.
22/02/16 14:25
수정 아이콘
서양 관계자들의 경우 LCK 강점기 시절에도 LPL 성적에 비하면 중뽕 심했고 G2가 잘 하던 시절에도 중뽕 심했고 담원월즈 우승하고도 중뽕 심했죠. 이정도면 일관성 하나 만큼은 인정해줘야
55만루홈런
22/02/16 14:36
수정 아이콘
뭐 어쩌겠습니까 msi 롤컵 우승해야지 크크

티원도 전승이지만 경기력 안좋은건 사실이라 내려가도 별 생각은 없긴 해요
취급주의
22/02/16 14:58
수정 아이콘
억울하면 국제대회 우승해야, 억울하면 돈 좀 찔러줘야...
다레니안
22/02/16 17:09
수정 아이콘
LCK는 벌써 티원 MSI각이 선명히 보이는데 LPL은 누가 올지 감도 안오네요. 크크
프라이드랜드21
22/02/16 17:14
수정 아이콘
국제대회 4년간 7번해서 5번 우승했는데 저정도는 고평가 아닐지도 모르겠네요
Msc합치면 8번중 6번인가
Lck는 먹은게 롤컵이라 훨씬 나은 대우지 국제 유관 숫자만 따지면 lec랑 같아요
22/02/16 17: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담원이 20월즈 우승하고 난뒤에는 lck = 담원은 강한팀 맞음 근데 나머진...딱히? 였는데
edg가 21월즈 우승하니까 lpl = 언터쳐블한 세계체고존엄리그 가 됨
lck소속팀이 21월즈 4강에 3팀이었던거랑
월즈 직전 랭킹 1위라던 펀플은 충격의 조별탈락이었고 rng vs edg 내전 경기가 눈썩이었던건 그냥 넘어감
한결같아서 참 웃겨요
랜슬롯
22/02/16 17: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4강 LCK 3팀이였다? 와 근데도 아직 정신 못차리고 LPL만 고평가 하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까놓고 말해서 그건 지극히 우리 LCK 팬들의 관점인게..

막말로 LPL 팬이나 중립팬들 입장이라면 뭐라고 말할 수 있냐면, 어? 그래 맞어. LCK가 조별리그에서 잘해서 8강올라온거 맞는데 너희 어차피 다전제 못한거고, 운좋게 셔플로 우리가 내전으로 8강에서 LPL 팀들끼리 만나서 4강에 LCK 팀 3팀있었던거지 RNG나 우리 EDG팀이 각각 따로 LCK 팀들 붙었으면 우리가 이겼을껀데? 라고 말할껄요?

이 말을 부정할려면 최근 LCK 팀들이 다전제에 LPL 팀들 상대로 우위를 점하고 있거나, LCK 팀들이 우승을 했다면 달랐겠지만 결론만 놓고보면 8강에서 팀킬하고 올라온건 LPL 팀이고 본인들은 우리가 팀킬해서 너네가 3팀 4강에 있었던거지 팀킬 아니였으면 우리도 두팀 올라왔을거라고 말할거라는 거죠. 쉽게 말해서 억울하면 우승했어야되는데 우승못했으니까 할말없죠. 고평가가 아니라 지금 상황이 이런거고. 4강에 LCK 3팀 올라왔을때는 국뽕 최대치올라왔는데 까놓고 말해서 이거는 그냥 LPL 팀이 우승한 시점에서 완전 퇴색된거나 다름없습니다.

뭐 제 주관적인 생각으로 8강에서 LPL 팀들이 찢어져서 내전이 아니라 LCK 팀들과 붙었다면 제 생각에 LCK 팀들이 이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최소한 그 시점에서는 메타 해석에 있어서 LCK팀들이 앞서고 있었으니까) 뭐 그것도 제 생각일뿐이지 무슨 객관적인 데이터나 근거가 있는 게 아니니까요.

쉽게 말해서 저는 솔직히 이번 업커머에서 1위에서 5위까지 따다닥 다 중국팀들 해도 이야 얘들 아직도 중국뽕맞은거 정신못차렸네 라고 말은 못할거같습니다. 작년까진 그말했는데, 이제는 그렇게 말할 자신이 없어요. FPX가 진짜 너무나도 허무하게 나락으로 떨어졌지만 결과만 놓고보면 결국에 LPL팀이 우승한게 팩트니까요.

아무튼 뭐, 말이 길었는데 억울하면 우승해야죠 어쩌겠습니까. 우승한다고 업커머에서 바꿔줄지는 몰라도 최소한 팬들입장에서는
이야 그렇게 지고도 정신 못차렸네 라고 말이라도 할 수 있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솔직히 이런 거 봐도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렵니다 저는.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저는 이제까지는 솔직히 다전제에서 한국팀들이 중국팀들 만났을때 이길거라고 생각했는데
이게 처음으로 완전히 꺾인게 아시안게임이였는데, 이제는 진짜 약간 무서운 느낌도 듭니다. 단판제에서 이겼더라도 이거 다전제가면 또 모르는 거 아니야? 예전엔 이게 반대였거든요. 예전엔 LCK가 단판에서 져도 어 그래 어차피 우리가 다전제 이길 수 있어, 라고 했는데 완전히 바뀌어버렸습니다.
일이사사이
22/02/16 18:0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느정도 동의하는 부분이고
이 전의 업커머 글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댓글을 작성했었는데
아무리 그래도 LCK 전승팀 T1이 5위(...)인건 좀 심하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최소 T1 2~3위만 넣어줬어도 나머지 순위는 어느정도 크게 이견없이 납득했을거 같네요.
다시마두장
22/02/18 01:15
수정 아이콘
실제로 EDG도 우승 후에 '우리가 스크림 다 패고 다녔고 우리의 적수는 RNG 뿐이었다' 라고 인터뷰했지만...
결과가 우승이니 뭐 반박할 수가 없었죠.
지난 수년 간 LPL 독주 경향성이 짙었던 영향이라고 생각하고(특히나 대 LCK 전적이 압도적이었으니) 올해는 부디 LCK가 다 해먹길 고대할 뿐입니다.
오클랜드에이스
22/02/16 21:24
수정 아이콘
진선정에 이은 웨선정 크크
22/02/16 21:25
수정 아이콘
어쭈…? 이렇게 후려친다 이거죠? 진짜 제발 올해는 LCK가 MSI, 월즈 다 헤쳐먹었으면 좋겠습니다.
천혜향
22/02/17 08:17
수정 아이콘
작년에 졌으니 인정할 만한 순위라고 생각합니다만..
lpl lck cl 까지 40팀 통합리그 풀리그 돌리면 중국애들 정신못차리고 발릴거 같은데 ....
솔직히 drx 2군으로 대부분 정리할거같음
1등급 저지방 우유
22/02/17 09:37
수정 아이콘
이걸 진지하게 보는 사람이 꽤 있군요
전엔 다들 재미로 많이 본다고 하던데..
재플린
22/02/17 09:40
수정 아이콘
DK가 우승할땐 DK만 특출난거고 EDG가 우승하면 리그 수준차이때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462 [LOL] 더 이상 더블엘리 찬성과 반대는 의미가 없습니다. [162] 날라9443 22/05/31 9443 2
74458 [LOL] 슬슬 더 바뀌길 바라는 LCK 플레이오프 방식 [158] qwerasdfzxcv10060 22/05/30 10060 5
74452 [LOL] 캐드럴의 어제 5세트 밴픽 리액션 영상 [143] Hestia11959 22/05/30 11959 11
74445 [LOL] 카이팅형 원딜과 돌진형 원딜.. 밴픽 잡담 [91] Leeka9152 22/05/29 9152 6
74444 [LOL] T1 고생 많았습니다. [207] Hestia11546 22/05/29 11546 32
74406 [LOL] 우리 탑 최 "the ZEUS 우제" [99] roqur13925 22/05/24 13925 21
74397 [LOL] 지금 T1의 상태에 대한 감상. [15] 예니치카10488 22/05/23 10488 10
74388 [LOL] 220522 MSI 챔피언 밴픽 티어리스트 [15] 은때까치8482 22/05/22 8482 8
74371 [LOL] 우리는 그 여정을 끝낼 의무가 있다. [31] 호프스테터11608 22/05/19 11608 38
74225 [LOL] 롤판 커뮤니티 여론의 흐름의 변화 [62] 멍멍이개11859 22/04/22 11859 55
74185 [LOL] [PCS] PSG탈론, 결승서 3-2 로 승리하며 우승.. MSI 진출 [8] 아롱이다롱이6729 22/04/17 6729 2
74110 [LOL] 페이커를 뭐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요 [158] 작은형12818 22/04/07 12818 13
74071 [LOL] 3세트. 티원을 이기게 만든 제우스의 판단들 feat 결승 후기 [151] Leeka11813 22/04/04 11813 10
74061 [LOL] V10! 2022 스프링의 티원 선수별 감상 [70] Pokemon8927 22/04/03 8927 16
74053 [LOL] 불사대마왕에 대한 헌사 [12] 아몬8859 22/04/03 8859 21
74047 [LOL] T1의 전승 우승을 축하합니다! [210] roqur14157 22/04/02 14157 34
74012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점점 역체정으로 인정받는 캐니언 [943] carpedieem27231 22/03/29 27231 12
73977 [LOL] 상대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카드를 밴한다 VS OP를 밴한다 여러분의 선택은? [42] 랜슬롯7266 22/03/25 7266 0
73933 [LOL] 세상의 모든 부정을 타파한 프레딧 브리온 [82] TAEYEON11491 22/03/19 11491 15
73788 [LOL] 2월26일 LCK 후기 [91] TAEYEON14420 22/02/26 14420 3
73777 [LOL] 캐니언은 신이다. [61] TAEYEON10128 22/02/25 10128 2
73721 [LOL] 22 한화생명e스포츠의 다큐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14] AppleDog8069 22/02/21 8069 1
73719 [LOL] 캐니언의 역대급 정규시즌 POG 페이스 [43] Leeka9321 22/02/20 932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