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1/10 02:38:24
Name League of Legend
File #1 Screenshot_2022_01_10_at_02.26.01.jpg (262.5 KB), Download : 4
Subject [LOL] 감스트 롤 대회 역대급 4강전이 펼쳐졌습니다.


https://pgr21.net/humor/444466 <- 저는 라인업 보고 00s가 쎌 것 같다고 했는데
많은 분들의 저지불가(칸 저라뎃 쿼드 프린스 투신) 팀이 독보적으로 강할거라는 예상을 뒤엎고 00s가 결승을 진출했습니다.

특히 최기명 선수는 많은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렸던 유망주 클라스를 증명해내면서 결승 진출 수훈갑 아니었나.. 생각이 들었고

정훈 선수는 한국 대표로 중국1.5군팀과 경기까지 출전했음에도 올해 콜업도 안되고 , 롤 프로를 그만두나? 생각했는데.. ggc에서 유미로 미친 핑퐁 보여주면서 제 기대보다 훨씬 더 잘해줬고 왜 콜업이 안된거지? 생각이 들게 만드네요.

개인적으로는 라인업 보고 평가했을때 백크 선수가 더 잘할거라 예상해서 00s가 쎌거라고 생각했는데 오늘은 쿼드선수와 비교했을때 많이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할 만큼은 해줬어요.
1세트에 칸에게 밀리다가 완전히 뒤집고 3연 솔킬? 4연 솔킬을 낸 트랩 선수도 잘했습니다.

그래도 오늘의 MVP는 00s vs 저지불가 팀에서 오너, 캐니언 탈론보다 더 미친듯한 하드캐리를 보여준 나탈리 선수의 탈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탈론유미가 없었으면 1세트는 절대 못이겼을거에요.

1경기 밧락스 팀 경기도 재밌었는데(4강 2경기를 하루에 다 진행했습니다)
2경기 00s 경기는 진짜 미쳤습니다. 경기가 숨도 못쉴정도로 치고박고 피지컬싸움하고.. 혹시 안보셨다면 추천합니다..^^

결승전은 밧락스 vs 00s 팀의 경기로 화요일에 진행된다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1/10 02:45
수정 아이콘
00s 경기 내내 나온 얘기가 얘네들 피지컬 너무좋다..
애플리본
22/01/10 03:00
수정 아이콘
와 미친 경기였습니다. 1경기는 칸이 좀 아쉬웠고 2경기는 벡스 럭스가 아쉬웠네요. 그리고 나탈리랑 1경기 유미는 진짜 미친듯.. 최기명도 튀지는 않았지만 안죽고 딜 엄청 잘 박더군요. 아프리카 팀전 좋아하시는 분들은 꼭 챙겨보시길
Jurgen Klopp
22/01/10 03:10
수정 아이콘
오늘 너무 재밌었네요. 상대적으로 pgr에선 화제가 안된게 아쉽긴 한데 lck도 아직 개막 안했는데 꼭 보시길..
League of Legend
22/01/10 03:31
수정 아이콘
저도.. 오랜만의 프로급 롤 대회경기인데 진짜 주거니받거니 ~눈호강
천혜향
22/01/10 03:18
수정 아이콘
정훈선수 폼이 최고였습니다. MVP로 선정되진 않았지만 유미의 [엄청난피지컬]플레이가 없었으면 게임이 박살이 났을겁니다.
그와 별개로 4강 1경기도 정말 명경기였죠. 구락스 화이팅입니다 경기력 너무 감동적이었어요.
근데 GGC도 스크림과 대회성적이 정반대더군요 스크림 1~3위팀이 모두 결승에는 가지못했습니다.
22/01/10 03:23
수정 아이콘
고양이가 이걸? 유미가 이걸? 유미도 잘하는 사람이 잡으면 다르군요 크크
검은잠
22/01/10 03:24
수정 아이콘
1군 브리온 서폿이 딜라이트니 정훈이 딜라이트를 밀어낼만 하냐 묻는다면 쉽진 않긴 하죠.
딜라이트도 그 힘든 1군 무대서 자신의 가치를 보여준 선수라 만약 콜업 되었어도 주전 경쟁을 펼쳤을거라 볼거라 차치해도 저번 국대전이나 이번 ggc에서 정훈의 활약은 인상깊긴 합니다. 유미 숙련도가 기가 막히더라고요.
반찬도둑
22/01/10 03:24
수정 아이콘
진짜 00s는 피지컬이 뭔지 제대로 보여줬다고 봅니다
League of Legend
22/01/10 03:29
수정 아이콘
https://www.fmkorea.com/4238697029
최기명이 평캔까지 쓰면서 럭스랑 심리전한걸 설명해주는데 이게 프로급 롤 플레이구나 싶네요..
무빙만 하는게 아니라 평캔까지 저기서 럭스 q피하려고 .. 이거 하나로 사실 잘큰 제이스 때문에 겜 불리했는데 럭스 케이틀린 잡고 게임 끌고갔죠..
애플리본
22/01/10 03:25
수정 아이콘
참고로 지금 저지불가팀 범인찾기 느낌으로 칸프린스 vs 쿼드저라댓투신 으로 찢어져서 오늘 밤에 CK 예정이네요. 크크. 그리고 프린스는 미친듯. 방송천재. 크크크크.
League of Legend
22/01/10 04:23
수정 아이콘
프린스는 방송이 천직인거마냥 잘하네요
22/01/10 10:53
수정 아이콘
ck가 뭔뜻인가요?
애플리본
22/01/10 11:00
수정 아이콘
LCK에서 따온 듯한데 별풍걸고 하는 스폰빵 대회를 무슨무슨CK 이런식으로 부릅니다.
22/01/10 12:0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아름다운이땅에
22/01/10 03:41
수정 아이콘
재미로만 따지면 웬만한 lck경기들보다 재밌더군요 결승도 기대되네요
League of Legend
22/01/10 03:43
수정 아이콘
조심스럽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결승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진짜 오늘 경기는 역대급..!
22/01/10 07:42
수정 아이콘
2경기도 좋았고, 밧락스 경기도 정말 정말 좋았네요.
결승 때 옛날 락스 유니폼 입고 나왔으면..
22/01/10 08:44
수정 아이콘
와 정훈 유미 플레이는 미쳤더군요
FarorNear
22/01/10 09:13
수정 아이콘
트랩은 최근대회 시그니처픽들 밴하고 불편한 구도 만들어야 힘 못써서 탈락했는데 저지불가가 스크림성적이 너무좋고 칸이 워낙 줄타기 플레이 달인이다보니 풀어준게 화근이 된것 같아요. 트랩-나탈리-백크 이 세명은 우승한번하고 계속 뭉치더니 아프리카 대회 또 결승 가네요
22/01/10 09:33
수정 아이콘
프랜차이즈 사업보다 인방 플랫폼 + 대기업 BJ들이 각잡고 만드는게 훨씬 퀄이 좋더군요

보면서 라코님들 일좀 하세요 만 두어번 생각하게됩니다
천혜향
22/01/10 10:49
수정 아이콘
당연하죠 lck 옵저버가 들어가 있는데 크크
Ovv_Run!
22/01/10 10:15
수정 아이콘
00s VS 저지불가 1경기는
저도 최근 1,2년간 본 경기중에서 제일 재밌었던거 같습니다.
화요일 결승에 붙을 밧락스 VS 00s
제일 노련한 팀과 제일 젊고 빠른팀의 대결이 되었는데
정말 기대하고 있습니다.
22/01/10 11:10
수정 아이콘
Ggc불판이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22/01/10 12:4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아무래도 인방쪽 대회라 그런가 싶네요.
22/01/10 13:44
수정 아이콘
자낳대는 매일 올라오던데..확실히 pgr에선 트위치가 인지도가 넘사인가봐요
애플리본
22/01/10 14:10
수정 아이콘
일단 아프리카 감성을 별로 안좋아하기도 하고.. 저라댓 같은 BJ는 코인게이트에 연루되어있어서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을거예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2/01/10 16:29
수정 아이콘
트위치쪽에 충성도가 높은 시청자들이 피쟐에.많다는거 아닐까요?
그 닉네임
22/01/10 17:54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의외인게 아프리카 시청자 층이
트위치보다 연령대가 높아서
피지알이랑 비슷한걸로 알았는데 말이죠.
1등급 저지방 우유
22/01/10 11:11
수정 아이콘
저는 최근에 큐베때문에 계속 트위치에서 자낳대만 보고 있었는데
GGC 하는건 알고 있었지만요

이런 글 하나 올라오면 다시보기가 급 땡기더라구요
한 번 찾아봐야겠습니당
22/01/10 11:26
수정 아이콘
크크 저도 그런데 아프리카 들어가서 다시보는게 영 귀찮네요 ㅠㅠ
22/01/10 11:40
수정 아이콘
이번 GGC는 개인방송은 김민교방송으로
다시보기는 감스트 유튜브로 올려저서 감스트 유튜브 가서 보시면 됩니다요.
22/01/10 13:57
수정 아이콘
오오오 감사합니다.
비행기타고싶다
22/01/10 11:18
수정 아이콘
어디서 보나요? 링크점...
22/01/10 11:32
수정 아이콘
감스트 유튜브에가서 찾아보시면 될꺼에요
FarorNear
22/01/10 12:1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2IA1MfUh-xc
좀전에 올라왔네요
22/01/10 11:25
수정 아이콘
경기 안봤는데 입소문(?)이 제법 도는걸 보니 정말 재밌었나봅니다.
저라뎃은 팀겜 할때마다 우승을 못하는거 같네요. 최기명은 이런거 있을때마다 눈에 띄게 잘하는 거 같은데 아직 어린걸로 아는데 프로는 생각 없는건지...
양 웬리
22/01/10 12:54
수정 아이콘
저라뎃이 우승을 못한다고 하기엔 2021 대회 커리어가 천상계 아마추어 중에선 최기명에 이은 2위입니다.(5회 우승)

하나원큐 1회 우승
멸망전 뱅보 우승
ALL 난프찐막 우승
Luf 저라뎃은 아이유 우승
하나원큐 2회 우승

저 대회들이 다 인방, 아마추어 쪽에선 굵직굵직한 것들이었죠
22/01/10 14:36
수정 아이콘
천상계 아마추어가 전프로는 빠지는 건가요?
작년은 제가 롤을 많이 못봤는데 21년엔 우승 많이 했네요. 그전까진 팀게임 할때마다 망했던 기억이 있어서...
양 웬리
22/01/10 14:47
수정 아이콘
전프로도 포함입니다.
작년 저라뎃은 뭐 거의 우승 청부사로 불렸었죠. ALL 파일럿 시즌의 난프진먹 기점으로 팀겜에 눈을 떴다고 많이들 평가 합니다.
22/01/10 13:13
수정 아이콘
drx에서 연습생했었죠. 데프트 있던 시절에요. 하다가 포기하고 bj로 넘어왔습니다.
22/01/10 14:34
수정 아이콘
연습생 했던건 아는데 아예 포기한건가 싶어서요
22/01/10 15:06
수정 아이콘
유게에도 관련 글 올라왔는데, 저번에 방송 보니까 아예 포기라고 하더라구요. 할 생각 전혀 없다고...
22/01/10 1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고로 아프리카티비 2022년 첫 시청자 10만짜리죠..
22/01/10 11:37
수정 아이콘
밧락스 경기는 감동이 있었고
00s 경기는 감탄이 있었네요

지금 감스트 유튜브 채널에 막 4강 경기 업로드됐네요. 다시보기 정주행 한번 해야겠어요
22/01/10 12:08
수정 아이콘
밧락스 경기도 재미있었어요. 결승 기대됩니다.
양 웬리
22/01/10 12: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어제 GGC 경기들은 LCK 경기들보다 훨씬 재밌었습니다
시라노 번스타인
22/01/10 12:51
수정 아이콘
사실 여기선 언급이 없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ggc 얘기만 엄청 나온 수준이라...
게임 수준들이 딱 lck 개막전 달궈주는 역할을 하는 셈이였죠.
흥행도 뭐...어제 공식방송인 김민교 방송은 10만 찍었고 선수들 방송도 흥했던 편이라.
팬케익
22/01/10 13:05
수정 아이콘
게임내용도 좋았지만 해설 케미가 좋아서 꿀잼이었던듯
22/01/10 13:48
수정 아이콘
어제 4강 경기들은 진짜 개꿀잼이었습니다

안본 사람들에게 다시보기로 보라고 추천할 정도였음
제라스궁5발
22/01/10 16:46
수정 아이콘
GGC가 엄청 핫하죠
여기서만 유독 언급이 적은게 신기하더라구요
구락스에 칸/쿼드/프린스 쭈스/요한 다 나오는데
아스미타
22/01/10 17:53
수정 아이콘
불판이모님들 취향이 자낳대 쪽이라 그런 거 같아요..
유지어터
22/01/10 23:06
수정 아이콘
LCK 시작전에 딱 좋은 컨텐츠라고 봅니다
저지불가가 압도적으로 우승할줄알았는데 이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678 [LOL] 업커머 2/15 파워랭킹 [137] League of Legend16248 22/02/16 16248 0
73651 [LOL] 드디어 돌아온 쵸비의 맛 - 4주 2일 후기 [33] Leeka12284 22/02/10 12284 8
73568 [LOL] 데프트 징크스 45승 4패달성과 증명한 젠지클래식 [80] Leeka13420 22/01/29 13420 4
73486 [LOL] LCK CL 오늘 경기결과 / 현재순위 / 목금 비공개, 담주 월요일 방송경기 대진 [9] 아롱이다롱이8936 22/01/18 8936 1
73463 [LOL] LCK 1주차 각 라인별로 인상적이었던 선수들 [38] 카트만두에서만두13634 22/01/17 13634 0
73424 [LOL] 감스트 롤 대회 역대급 4강전이 펼쳐졌습니다. [52] League of Legend12454 22/01/10 12454 5
73363 [LOL] [LCK 어워드] 2021 시즌 수상자 전체 공개...'쇼메이커' 허수 7관왕 [25] 아롱이다롱이8765 21/12/28 8765 2
73298 [LOL] LCK, 몸값 거품이 아닐 수도 있다? [70] 제라그13969 21/12/15 13969 5
73136 [모바일] [블루아카] 시로&쿠로 총력전 예고맞이 공략 [15] terralunar10832 21/11/25 10832 5
73133 [LOL] 2021년 통합 올프로팀을 선정해봤습니다. [79] 카트만두에서만두10866 21/11/25 10866 5
73112 [기타] Stop nerfing fighting game - 롤격 개발노트 감상 [99] RapidSilver15047 21/11/24 15047 10
73107 [LOL] 다가오는 시즌 매우 일러보이지만 짧게 적어보는 몇몇 팀 전망 [41] 랜슬롯11676 21/11/24 11676 1
73085 [LOL] 칸나관련, 티원 입장문 전문 [151] Leeka20669 21/11/23 20669 10
73080 [LOL] 칸나 사건 티원 입장 발표 [414] Leeka23684 21/11/22 23684 5
73027 [포켓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분노의 후기 (사지마!!) [45] 스위치 메이커12293 21/11/20 12293 6
72910 [모바일] (블루아카) 총력전 개시 예고 기념 비나 입문 가이드 [43] terralunar11902 21/11/13 11902 3
72891 [LOL] 이쯤에서 다시보는 18IG 스크림썰 [68] 니시노 나나세17769 21/11/11 17769 8
72860 [LOL] 돌고돌아 증명한 젠지 더 클래식? [79] Leeka14070 21/11/08 14070 3
72857 [LOL] 중국제외, 첫 스트리밍 동시시청자 400만 돌파 [10] Leeka12981 21/11/08 12981 0
72854 [LOL] 결과적으로 올 한해 LPL의 LCK 인재 빼오기는 대성공이었네요 [76] 꿈솔15580 21/11/07 15580 0
72830 [LOL] EDG, 중국의 슈퍼 히어로에 등극하다 - 결승 후기 [295] Leeka15449 21/11/07 15449 9
72826 [기타] 린저씨의 리니지w 리뷰 [156] 햇살17828 21/11/06 17828 17
72821 [LOL] 2021 월드챔피언십 결승전 프리뷰 [15] 왜냐맨12230 21/11/05 12230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