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12/19 17:43:43
Name Espio
File #1 하스_변화1.png (2.27 MB), Download : 56
File #2 하스_변화2.png (2.09 MB), Download : 56
Link #1 https://playhearthstone.com/ko-kr/news/23747034/2022-e
Subject [하스스톤] 2022 하스스톤 E-스포츠가 변화합니다. (그랜드마스터 폐지, 전장대회 신설) (수정됨)




현재 하스스톤 정규전의 E-스포츠는 마스터즈-그랜드마스터-월드챔피언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월드챔피언쉽의 경우 그랜드마스터에 해당하는 선수만 자격이 생겨서 (중국리그 제외)
그랜드마스터가 아닌 선수들의 동기부여가 상당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2022년부터 이제 그랜드마스터가 아니어도 월드챔피언쉽에 도전이 가능합니다.
현재 지역별 그랜드마스터즈 (APAC, EU, AM) 시즌1/2 우승자 6명 + 중국 골드리그 우승자 2명의 8명으로 이루어 졌던 월드챔피언쉽은
내년부터 16명으로 진행됩니다. 16명은 시즌 챔피언쉽 8명, 중국 골드리그 4명, 2022년 그랜드마스터즈 시즌 1 지역별 우승자 3명, 그리고 라스트콜로 불리우는 마지막 그랜드마스터즈 시즌 우승자 1명으로 이루어 집니다.

시즌챔피언쉽은 현 그랜드마스터즈 체제로 바뀌기 이전의 시즌챔피언쉽과 거의 동일합니다.
내년에 총 6번의 마스터즈 투어가 진행되는데, 이 중 3개씩 묶어서 마스터즈 투어의 상위 성적 16명이 시즌 챔피언쉽에 진출하게 되고, 두번의 시즌챔피언쉽에서 탑4가 월드챔피언쉽에 진출하게 됩니다.

내년 그랜드마스터 시즌1의 경우, 4주동안 진행이 되며, 기존과 동일하게 지역별 우승자는 월드챔피언쉽에 진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각 지역별 상위 4명 12명과, 마스터즈 투어에서 높은 성적을 거둔 4명이 마지막으로 "그랜드마스터즈 라스트콜"로 남은 1자리의 월드챔피언쉽 자리를 놓고 다투게 됩니다.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이제 더이상 그랜드마스터즈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지난번에 그마가된 grr선수, 이번에 첫 그마를 단 슬퍼하지마노노노(돌갤러리) 그리고 기적과도 같이 그마에 복귀한 천수선수에게는 다소 아쉬운 소식일지도 모르지만, 새로운 경쟁구도와 신예들의 등장을 위한 이와같은 변화가 저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여집니다.

이와 더불어 전장대회가 진행됩니다. 총 상금 미화 500,000달러의 대회가 여러번에 걸쳐서 개최가 될 예정인데,
개인적으론 이 전장대회도 기대가 많이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트만두에서만두
21/12/19 17:49
수정 아이콘
아직도 유튜브 단독 중계인가요? 트위치 중계가 되야 희망이 있는데 말이죠
21/12/19 17:51
수정 아이콘
22년 까지 계약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카트만두에서만두
21/12/19 17:52
수정 아이콘
그러면 22년 이후를 노려봐야겠네요. 유튜브가 단독 중계하는 한 어떤 변화를 줘도 답을 찾기가 힘들어서..
21/12/19 18:1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시들시들해지는데 그마포맷+유투브 단독중계로 확 식었죠
저도 굳이 유투브까지 찾아가서 볼필요 못느껴서 안보게되었네요
valewalker
21/12/19 18:23
수정 아이콘
그마 유지 문제로 스트레스 받던 선수들을 많이봤는데 뒤늦게나마 바꿔주네요
까먹었다
21/12/19 18:34
수정 아이콘
1년만 빨리 바꾸지..
21/12/19 18:48
수정 아이콘
그마 폐지및 시챔위주로 회귀하는 분위기인데 선수 개인에게나 리그적인 관점으로나 이게 맞는방향이라고 봅니다.
근데 유튜브 중계부터 없애고 트위치로 돌아와야할 것 같은데 이건 23년에나 가능...
다시마두장
21/12/19 21:06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계의 마이너스의 손 블리자드가 과연 회생할 수 있을지...
21/12/20 11:44
수정 아이콘
이번 전장대회도 재밌었죠
운영측 템포가 너무 느린게 문제였지만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378 [PC] GTA5 온라인 뉴비의 필수 채널!! [3] PLANTERS9639 22/01/01 9639 1
73377 [모바일] [게임 홍보] 디버스 오더 [14] 캬옹쉬바나13276 22/01/01 13276 4
73376 [LOL] 하나 원큐 집LOL 대회 시작합니다. [14] League of Legend15877 21/12/31 15877 0
73375 [스타1] 2021년 스타크래프트 기록 [9] 라티13881 21/12/31 13881 1
73374 [LOL] [투표] 2022 LCK 스프링 파워랭킹을 선정해봅시다! [57] 사이먼도미닉14385 21/12/31 14385 1
73373 [PC] 스팀선정 올해의 붐빈게임 [35] Lord Be Goja16181 21/12/31 16181 1
73372 [기타] 2021년 킹오브98계 4대천왕 - "소소곽대" [35] unMute15162 21/12/31 15162 5
73371 [LOL] LPL 100경기 이상 선수들 승률 TOP 5 [11] Leeka11747 21/12/31 11747 0
73370 [LOL] 칸이 개인 방송에서 언급한 담원 탑라인 이야기 [51] Lord Be Goja23259 21/12/30 23259 3
73369 [LOL] LCK 개막전 대진의 역사(from 15) [61] roqur15791 21/12/29 15791 1
73368 [LOL] 2022 LCK 스프링 일정이 유출된 거 같네요 [83] Aqours18060 21/12/29 18060 0
73367 [LOL] 쵸비: "T1과 페이커를 이기고 싶다" [211] insane24723 21/12/29 24723 0
73366 [LOL] KT 보니 이광수, '팡수'로 소환사명 변경 [13] insane14482 21/12/28 14482 0
73365 [LOL] 캐니언 김건부 선수가 담원 기아랑 재계약한 이유.jpy [11] insane16147 21/12/28 16147 1
73364 [LOL] lck 어워드에 간 국민일보 윤민섭 기자님이 "쇼메이커" 와 가진 인터뷰 [13] 아롱이다롱이12500 21/12/28 12500 1
73363 [LOL] [LCK 어워드] 2021 시즌 수상자 전체 공개...'쇼메이커' 허수 7관왕 [25] 아롱이다롱이12096 21/12/28 12096 2
73362 [콘솔] 일본 아사히TV '5만명이 진심으로 투표! 비디오 게임 총선거' 결과 발표 [41] EpicSide12739 21/12/28 12739 0
73360 [LOL] 2022 LCK 스프링시즌 1월 12일 수요일 개막, 미디어데이는 5일 개최 [5] 아롱이다롱이9913 21/12/28 9913 0
73359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12/28(화)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2] 캬옹쉬바나10604 21/12/28 10604 0
73358 [오버워치] 2021년 블리자드 두 E스포츠의 실패에 관해 - 번역 [25] 카트만두에서만두17443 21/12/27 17443 3
73357 [LOL] 내년 스프링,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프리시즌 변경점은? [33] gardhi15376 21/12/27 15376 10
73355 [뉴스] e스포츠, 대한체육회 정식종목으로 채택 [26] Fin.12264 21/12/27 12264 2
73354 [기타] 2021년 E스포츠 흥행 TOP10 - 번역 [5] 카트만두에서만두14579 21/12/27 1457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