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5/07 22:27:50
Name Leeka
File #1 7ACE4621_930D_428C_8B00_F10245EAA690.png (159.3 KB), Download : 64
Subject [LOL] 고리가 어느정도 하면 성공일까?


이게 다른팀이면 고리 영입에
???? 를 넣을텐데

농심은 사실 고리가 리그 하위권 미드만 되도
업그레이드가 되는 상태라서…


미드망겜에서 이 상태로 플옵가고
상대미드가 쵸비인데 5꽉했다는걸 생각하면

농심은 미드가 좀만 업글해도 보이는거 이상으로
팀이 좋아질 확률이 높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ranceDJ
21/05/07 22:35
수정 아이콘
농심은 왜 2라운드 넘어가기전에 놀았는지 의문. 야하롱 무조건 컨택할줄알았는데..
이호철
21/05/07 22:38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순위 웅장해지네요.
그래도 GPD 는 꼴지가 아니군요
모찌피치모찌피치
21/05/07 22:41
수정 아이콘
골드를 못 먹어서 그런게 아닐까요
Lord Be Goja
21/05/07 22:45
수정 아이콘
가장 안전한 발판..
키모이맨
21/05/07 22:47
수정 아이콘
고리가 너무 오래동안 경기 안나오고 팀만 옮겨다녀서 아예 미지수인게 문제지

베이는...말그대로 그냥 천고 풀타임 시즌급이라....
고리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치는 그냥 LCK 중하위권미드1일겁니다 딱 그정도만 하면 무조건 슈퍼업그레이드임
그리고 저는 꽤 가능성 있어보이는데 고리가 가서 욕먹고 경기도 못나와서 그렇지 일단 EDG이적을 했었고
(업계 평가가 어느정도 받쳐주니까 그래도 중국팀에서 미드로 쓰려고 데려간거겠..죠?)
이번에도 스프링-서머 사이 좋고 검증된 선수는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LCK 3팀이 컨택했었다고 하니..
개인적으로는 거기에 아프리카도 있었을 거 같고 아무튼 고리는 그냥 평범한 프로 미드라이너~좀 못하는
프로 미드라이너급만 되면 무조건 농심입장에서는 성공입니다
Blackballad
21/05/07 22:47
수정 아이콘
문제는 이제 정글 패치가 이루어질 거고, 지금보다는 훨씬 갱킹 위주의 메타가 될 거라는 점입니다. 농심이 이번 시즌 선전한 데에는 피넛의 활약을 절대 빼놓고 생각할 수가 없는데, 피넛 본인은 나름대로 유연한 정글러이지만(데뷔시즌 에이스 카드가 엘리스/니달리라는 양 극단 정글러), 커리어를 쭉 봤을 때 팀에 있어 피넛 본인의 가치가 극대화되는 때는 성장형 정글을 잡고 자신의 캐리력을 한껏 끌어올릴 때였고 전반적으로 성장형 정글 메타일 때 피넛의 성적도 좋았습니다. 그 점을 생각하면 피넛의 팀적 기여도가 이번 시즌보다는 얼마간 떨어질 것으로 추측되고, 고리가 프로 1부 1인분 수준만 해줘도 분명 팀에 있어 업그레이드겠지만 그걸로 드라마틱하게 날아오를 거라고는 보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아이폰텐
21/05/07 22:51
수정 아이콘
그쵸 피넛도 사실 성장형 메타에서 작년하반기부터 크게 이득을 본 선수라 ...
Blackballad
21/05/07 23:06
수정 아이콘
예. 프로급에서는 결국 게임사가 주관하는 패치에 의해 형성되는 메타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게 되어 있습니다. 작년 롤드컵에 진출한 중국팀에 토종 중국인 정글러가 아무도 없고, 결국 담원이 우승한 것도 이 성장형 정글 메타의 영향이 매우매우 컸습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거의 모든 토종 정글러들이 공격성을 극대화하는 육식 정글을 목표로 했고 상위권에서 예외로 쳐줄 만한 선수는 시즌 11까지 온 이 시점에서도 클리어러브 정도가 끝입니다. 피넛이 작년에 롤드컵 진출할 수 있었던 것도 그 영향이 매우 컸지요. 본인은 상대적으로 운영을 중시해 왔던 한국에서도 손꼽히는 성장형 정글러였으니까요. 실제로 LGD 사전총평에서도 피넛이 멱살캐리해서 끌고 왔다는 이야기가 거의 대부분이었고..
AdolChristin
21/05/07 23:36
수정 아이콘
피넛이 멱살캐리한건 사실 스프링이고 서머는 시예가 잘했죠 물론 피넛도 잘하긴 했지만 스프링만큼의 캐리력은 아니였죠
물론 플옵에서 닝을 상대로 굉장히 잘해주긴 했지만요 크크
돌아온탕아
21/05/07 23:01
수정 아이콘
이게 업글안되면 2라운드때 베이 콜업되고 천고-그레이스 시즌2찍을수도 있는건데 진짜 악몽일듯요 크크크
21/05/07 23:05
수정 아이콘
뭐라도 해야될때 뭐라도 한거라서 나쁘게는 안 봅니다.
아프리카에서 원딜 영입한것도 그렇고요.
유자농원
21/05/07 23:21
수정 아이콘
꽤나 했다고 평가받는 신인 솔카보다 잘하기도 힘들다는거 생각하면 베이만큼 또 한다해도 사실 이상할건 없는데...
김솔라
21/05/07 2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정도면 그냥 마우스만 잡아도 성공이네요.
21/05/08 00:06
수정 아이콘
베이가 확 눈에띄긴하는데 바로위에있는 플라이도 만만치않네요...
난나무가될꺼야
21/05/08 00:29
수정 아이콘
쵸비의 위엄..
티모대위
21/05/08 02:17
수정 아이콘
베이보다 못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LPL짤쟁이
21/05/08 03:24
수정 아이콘
베이 상위호환. 플라이 하위호환. 고리의 정확한 위치입니다. 데마시아 컵부터 봐왔는데 IG를 겨우겨우 이기더군요.
태엽없는시계
21/05/08 22:40
수정 아이콘
저 자료는 볼때마다 쵸비 정말...
StayAway
21/05/10 15:50
수정 아이콘
플라이 급만 해도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503 [LOL] 문도 박사의 리메이크안이 공개되었습니다. [65] MiracleKid25271 21/05/26 25271 0
71501 [LOL] 서머 개막전에 받은 LCK 굿즈 인증 [11] Leeka18115 21/05/25 18115 7
71497 [LOL] 2021 LCK 서머 6월 9일 개막.news [47] 아지매17110 21/05/25 17110 0
71494 [LOL] 젠지 ALL IN | EP03. 멍청한 올인 [18] 에바 그린18908 21/05/24 18908 7
71493 [LOL] 트위치 자낳대 2021 시즌2 경매결과 [59] 길갈20140 21/05/24 20140 2
71492 [LOL] 원딜의 역할에 대한 LCK와 LPL의 인식차이 [214] Pokemon34171 21/05/24 34171 0
71491 [LOL] 담원이 일본 발로란트팀에 한국음식을 주고 갔네요 [72] Salmon24849 21/05/24 24849 1
71489 [LOL] 중국 웨이보에 올라왔었던, 파워랭킹 산정 점수 [42] Leeka23053 21/05/24 23053 0
71488 [LOL] 국제대회 2회 이상 우승한 선수들 [21] Leeka29761 21/05/24 29761 0
71487 [LOL] 대인의 면모를 보여준 매드라이온즈 [29] Leeka18492 21/05/24 18492 1
71486 [LOL] MSI결승에서 RNG와 실력차이가 났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136] 삭제됨24078 21/05/24 24078 14
71485 [LOL] LCK 4장 확정 & 3렙에 삼키기를 안찍었던 베릴 [42] Leeka20875 21/05/24 20875 2
71482 [LOL] 21 MSI 주관적+감성적 감상평 (담원) [85] 암드맨18874 21/05/24 18874 9
71481 [LOL] MSI에서 적극 도입해야 하는 럼블 이후 일정 [10] 파란무테16105 21/05/24 16105 4
71480 [LOL] 담원기아. 고생 많았습니다 - 결승후기 [349] Leeka22093 21/05/24 22093 12
71477 [LOL] 베릴의 럼블스테이지 지표(feat. 라이엇) [70] Leeka18945 21/05/23 18945 0
71476 [LOL] 한국과 중국의 티켓 4장 확보 & 또 너냐 김허수.. [79] Leeka24208 21/05/23 24208 3
71474 [LOL] MSI 4강 DK VS MAD 감상 [80] ioi(아이오아이)21669 21/05/23 21669 2
71471 [LOL] 中서 열리는 3번째 ‘롤드컵’, 결승전 11월 6일 확정 [36] 카루오스17381 21/05/22 17381 0
71470 [LOL] Doggo가 던진게 아니라 RNG란 팀이 무서운겁니다. [110] 빛돌v25370 21/05/22 25370 18
71469 [LOL] MSI 4강 RNG VS PSG감상 [54] ioi(아이오아이)22216 21/05/22 22216 3
71468 [LOL] 2021 MSI 4강전을 앞두고 올리는 4강팀들의 지표. [23] 초갼14683 21/05/21 14683 3
71464 [LOL] 김정균 감독 "이런 일이 다시 안 일어나게 해달라고 얘기했다" [114] Davi4ever29733 21/05/21 29733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