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1/09 11:01:49
Name 아케이드
File #1 2020크리스마스하드웨어.png (30.9 KB), Download : 54
Link #1 https://www.vgchartz.com/article/446896/global-hardware-week-52-2020/
Subject [콘솔] 2020 크리스마스 글로벌 하드웨어 판매량




2020 크리스마스 (12/20-12/26)의 글로벌 하드웨어 판매량입니다. 괄호안은 누적 판매량

1위 - 닌텐도 스위치 1,159,994 (76,285,948)
2위 - 플레이스테이션 5 - 287,921 (4,480,728)
3위 - 엑스박스 시리즈 X|S - 158,458 (2,401,386)
4위 - 플레이스테이션 4 - 139,859 (114,965,268)
5위 - 엑스박스 원 - 68,995 (49,340,630)
6위 - 닌텐도 3DS - 3,261 (75,906,986)


-----------------------------------------------------

스위치가 사실상 지배했다고 볼수 있을 정도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차세대기들은 여전히 공급량이 시원치 않네요

차세대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탓인지  전세대기인 플스4와 엑박원도 꽤 팔려 나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야마 나오
21/01/09 13:19
수정 아이콘
어제 플5 예구 전쟁 보면서 11월20일 예구 성공한게 천만 다행입니다.....
요새 나오는 소식이나 썰 보면 9세대 콘솔은 물량난 극복하기 쉽지않아 보이네요;;
아케이드
21/01/09 14:00
수정 아이콘
APU나 DDR6등 부품 공급난아 심하다고 하네요
21/01/09 14:26
수정 아이콘
일본 내수에서 스위치가 90퍼더군요..
하긴 요즘 소니 게임 보면 해외 노린 겜들이 대다수니...
아케이드
21/01/09 14:44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게임이 문제죠
21/01/09 15:09
수정 아이콘
이 판매량은 실제 판매량이 아니라 추정량이죠.
아케이드
21/01/09 15:30
수정 아이콘
공식발표가 없으니까요...
21/01/09 15:32
수정 아이콘
공식발표가 없어도 판매량이라는 단어를 함부로 써도 되는건 아니죠
마감은 지키자
21/01/09 15:25
수정 아이콘
이대로면 플5의 생산량도 노답이지만 엑시엑은 더 노답이네요. 미국 시장에서만 간신히 플5의 출하량에 맞추는 느낌입니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는 그냥 공급이 안 되고 있다고 봐야 하고...
그리고 이 와중에 스위치 치고 나가는 거 보소... 얼마 전에 동숲에디션 정가에 팔기에 이제 좀 덜 팔리나 했더니 생산량이 늘었던 건가...
아케이드
21/01/09 15:30
수정 아이콘
생산량이 늘어난 거 같아요
21/01/09 20:25
수정 아이콘
물량만 따지면 사실 플스나 엑박이나 전세대때만큼 보급된거에요.
염력의세계
21/01/09 19:18
수정 아이콘
콘솔저변 확대에는 스위치의 공이 정말큰듯합니다. 플스와 엑박이 좋네 어쩌네해도 그들만의 싸움이었다고 생각이 드는데, 스위치로 콘솔게임에 대한 일반인들의 허들이 정말 많이 내려간것 같습니다.
아케이드
21/01/09 20:19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콘솔의 저변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상하이드래곤즈
21/01/10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같은 경우,
게임을 좋아한단 이유로 대형마트에서 새로운 기종 출시때마다 판매한 경험이 있습니다.
psp, 닌텐도ds, 위, 플스4, 엑박원등을 판매해 봤는데,
플스니 엑박이니 이런 것과 닌텐도의 체험형(?) 게임은
일반인(?) 입장에선 전혀 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일반 게임샵과 다르게 게임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 설명하고 판매해야 하는데, 이때 닌텐도의 세일즈 포인트는 말 그대로 넘사벽이죠.
플스와 psp, 엑박의 장점은 그래픽,휴대성,독점작 등등..
일반 고객들은 크게 느끼지 못하는 반면에
닌텐도 게임들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거기에 약간의 뽕맛 양념 좀 쳐주면 호기심에라도 한번 해보고 싶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위 런칭때 제가 근무하는 지점에서 전사 판매량 2위를 했을만큼 많이 팔았는데 그 고객들 중 대부분은,
저같은 겜돌이가 아니라 ‘신혼부부or자녀가진 부부’였습니다. (저도 위를 너무 잘 알아서,저의 몇 안되는 미구매 콘솔입니다.- 딱봐도 혼자하면 재미없음)
스위치는 거기서 겜돌이와 일반인까지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은 점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751 [LOL] T1 체고의 조합은? [181] 벌레퇴치19100 21/01/31 19100 2
70750 [LOL] 저는 티원 감코진을 믿고 올해 이 조합으로 쭉 갔으면 좋겠습니다. [228] 황금경 엘드리치26444 21/01/31 26444 43
70749 [LOL] 역대 최악 탑라이너의 강력한 후보가 등장한것 같습니다. [101] 삭제됨18563 21/01/31 18563 10
70748 [LOL] 10인체제는 최악이다. [249] 월광의밤23293 21/01/31 23293 13
70747 [PC] 리듬게임의 전통, 이지투디제이가 온라인으로 리부트됩니다. [13] TranceDJ13410 21/01/31 13410 3
70745 [LOL] T1의 시스템을 믿기에 한치의 불안함도 없습니다. [82] 좋은16476 21/01/31 16476 5
70744 [LOL] T1의 오늘 스쿼드는 칸커클테케입니다. [134] 16101 21/01/31 16101 1
70742 [기타] 갑자기 흥해버린 트위치 철권 대회 [29] 길갈17153 21/01/30 17153 8
70741 [LOL] Ig와 fpx의 경기가 다가왔습니다. [45] 이리떼17587 21/01/30 17587 0
70740 [LOL] 210129 오늘의 LCK 간단리뷰 [78] 1등급 저지방 우유20296 21/01/29 20296 8
70739 [LOL] 전설의 산수화 스킨 판매시작 [28] 스위치 메이커18174 21/01/29 18174 0
70738 [LOL] '10인 로스터'는 저평가 되있고 '조직력'은 과평가 되있다. [259] Black Clouds21206 21/01/29 21206 20
70737 [스타2] 자기 전 가볍게 한 판 하기 좋은 협동전 추천 (스크롤,데이터 주의) [26] 따라큐15754 21/01/29 15754 10
70736 [PC] 코로나로부터 세상을 구해보자! Plague Inc: The Cure 출시 [4] 及時雨10318 21/01/29 10318 6
70735 [모바일] 2월 3일, 스팀게임 '슬레이 더 스파이어' 안드로이드 출시예정! [27] goldfish11400 21/01/29 11400 3
70734 [LOL] 스프링 이즈 나띵! 진짜로? [133] 갓럭시15307 21/01/29 15307 1
70733 [LOL] '칸나' 김창동 "현재 메타 힘들다...잘해야할 거 같다" [96] 박수영20722 21/01/28 20722 0
70732 [LOL] LCK 역사속 대가족 팀들은 어떤 운영을 했을까? [23] 갓럭시12773 21/01/28 12773 3
70731 [LOL] kt 롤스터 '도란', "나는 재능보다 노력파" [39] insane13429 21/01/28 13429 5
70730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저는 T1이 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559] 좋은25672 21/01/28 25672 18
70729 [모바일] 프리코네) 드디어 한섭에 등장한 뉴캬루.. [52] Aqours13905 21/01/28 13905 1
70728 [LOL] 롤드컵 티켓 분배 방식 재정리 [29] Leeka19300 21/01/28 19300 3
70727 [하스스톤] 19.4.1 패치노트 (정규전 단 한 글자!) [7] BitSae11458 21/01/28 1145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