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1/09 11:01:49
Name 아케이드
File #1 2020크리스마스하드웨어.png (30.9 KB), Download : 54
Link #1 https://www.vgchartz.com/article/446896/global-hardware-week-52-2020/
Subject [콘솔] 2020 크리스마스 글로벌 하드웨어 판매량




2020 크리스마스 (12/20-12/26)의 글로벌 하드웨어 판매량입니다. 괄호안은 누적 판매량

1위 - 닌텐도 스위치 1,159,994 (76,285,948)
2위 - 플레이스테이션 5 - 287,921 (4,480,728)
3위 - 엑스박스 시리즈 X|S - 158,458 (2,401,386)
4위 - 플레이스테이션 4 - 139,859 (114,965,268)
5위 - 엑스박스 원 - 68,995 (49,340,630)
6위 - 닌텐도 3DS - 3,261 (75,906,986)


-----------------------------------------------------

스위치가 사실상 지배했다고 볼수 있을 정도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차세대기들은 여전히 공급량이 시원치 않네요

차세대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탓인지  전세대기인 플스4와 엑박원도 꽤 팔려 나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야마 나오
21/01/09 13:19
수정 아이콘
어제 플5 예구 전쟁 보면서 11월20일 예구 성공한게 천만 다행입니다.....
요새 나오는 소식이나 썰 보면 9세대 콘솔은 물량난 극복하기 쉽지않아 보이네요;;
아케이드
21/01/09 14:00
수정 아이콘
APU나 DDR6등 부품 공급난아 심하다고 하네요
21/01/09 14:26
수정 아이콘
일본 내수에서 스위치가 90퍼더군요..
하긴 요즘 소니 게임 보면 해외 노린 겜들이 대다수니...
아케이드
21/01/09 14:44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게임이 문제죠
21/01/09 15:09
수정 아이콘
이 판매량은 실제 판매량이 아니라 추정량이죠.
아케이드
21/01/09 15:30
수정 아이콘
공식발표가 없으니까요...
21/01/09 15:32
수정 아이콘
공식발표가 없어도 판매량이라는 단어를 함부로 써도 되는건 아니죠
마감은 지키자
21/01/09 15:25
수정 아이콘
이대로면 플5의 생산량도 노답이지만 엑시엑은 더 노답이네요. 미국 시장에서만 간신히 플5의 출하량에 맞추는 느낌입니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는 그냥 공급이 안 되고 있다고 봐야 하고...
그리고 이 와중에 스위치 치고 나가는 거 보소... 얼마 전에 동숲에디션 정가에 팔기에 이제 좀 덜 팔리나 했더니 생산량이 늘었던 건가...
아케이드
21/01/09 15:30
수정 아이콘
생산량이 늘어난 거 같아요
21/01/09 20:25
수정 아이콘
물량만 따지면 사실 플스나 엑박이나 전세대때만큼 보급된거에요.
염력의세계
21/01/09 19:18
수정 아이콘
콘솔저변 확대에는 스위치의 공이 정말큰듯합니다. 플스와 엑박이 좋네 어쩌네해도 그들만의 싸움이었다고 생각이 드는데, 스위치로 콘솔게임에 대한 일반인들의 허들이 정말 많이 내려간것 같습니다.
아케이드
21/01/09 20:19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콘솔의 저변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상하이드래곤즈
21/01/10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같은 경우,
게임을 좋아한단 이유로 대형마트에서 새로운 기종 출시때마다 판매한 경험이 있습니다.
psp, 닌텐도ds, 위, 플스4, 엑박원등을 판매해 봤는데,
플스니 엑박이니 이런 것과 닌텐도의 체험형(?) 게임은
일반인(?) 입장에선 전혀 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일반 게임샵과 다르게 게임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 설명하고 판매해야 하는데, 이때 닌텐도의 세일즈 포인트는 말 그대로 넘사벽이죠.
플스와 psp, 엑박의 장점은 그래픽,휴대성,독점작 등등..
일반 고객들은 크게 느끼지 못하는 반면에
닌텐도 게임들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거기에 약간의 뽕맛 양념 좀 쳐주면 호기심에라도 한번 해보고 싶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위 런칭때 제가 근무하는 지점에서 전사 판매량 2위를 했을만큼 많이 팔았는데 그 고객들 중 대부분은,
저같은 겜돌이가 아니라 ‘신혼부부or자녀가진 부부’였습니다. (저도 위를 너무 잘 알아서,저의 몇 안되는 미구매 콘솔입니다.- 딱봐도 혼자하면 재미없음)
스위치는 거기서 겜돌이와 일반인까지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은 점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776 [LOL] T1과 한화의 자리만 바뀐 21 스프링 현재까지 현황 [111] Leeka24713 21/02/03 24713 3
70775 [LOL] 페이커 포모스 인터뷰 LCK 600전 원동력은 '꾸준함'이었다" +설인사 [234] 박수영29239 21/02/03 29239 2
70774 [LOL] 여러분이 선호하는 해설조합은? [101] TAEYEON14383 21/02/03 14383 3
70773 [기타] 블랙 서바이벌 골드 달성 후 잡담 [31] 아보카도피자11594 21/02/03 11594 1
70770 [LOL] 오늘 T1의 로스터는 제엘페구케입니다. [161] 20344 21/02/03 20344 2
70769 [PC] 개인적으로 최근 즐겨 하는 국산 게임. Skul: The Hero Slayer [11] 時雨10253 21/02/03 10253 0
70768 [PC] 드래곤볼Z 카카로트 60% 할인 (~2/6) [26] 고쿠12110 21/02/03 12110 0
70767 [LOL] '트루 T1'이 있는 LCK CL 3주차 [28] 길갈15741 21/02/02 15741 0
70766 [LOL] LEC 2주차 까지의 감상평 [10] 초갼12420 21/02/02 12420 3
70765 [LOL] lpl 전반기 5강 주관적인 감상평 [40] gardhi17251 21/02/02 17251 14
70764 [오버워치] [OWL] 스토브리그 이야기 -4- [5] Riina10677 21/02/02 10677 1
70763 [LOL] 우두루 리메이크 확정 [50] 반니스텔루이16470 21/02/02 16470 1
70762 [LOL] 클템,포니의 찍어 / 강퀴 및 노페의 T1 내용 요약 [165] TAEYEON26780 21/02/01 26780 2
70761 [LOL] [펌]주관적인 LCK 이 주의 선수- 3주차 [5] 1등급 저지방 우유11755 21/02/01 11755 2
70760 [기타] 리치의 커리어를 롤판으로 환산해보기 [25] Leeka17262 21/02/01 17262 9
70759 [LOL] 1라운드 막바지 내 맘대로 뽑는 XX도르 [28] 따라큐13918 21/02/01 13918 2
70758 [모바일] [21.01.30.] 페이트 그랜드 오더 이용자 대표 성명회 [3] 이호철9744 21/02/01 9744 2
70757 [LOL] LCK 페북/인스타 논란 [86] carpedieem18812 21/02/01 18812 16
70756 [LOL] 현 LCK 남아있는 선수들의 주요 커리어 [29] Leeka13380 21/02/01 13380 0
70755 [스타2] 2021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1 결승전 우승 "조성호" [8] 김치찌개11483 21/02/01 11483 0
70754 [LOL] 농담 반 진담 반, 이렇게 된다면 T1 한상용 구원투수 등판이 낫지 않나요? [47] 토루15484 21/02/01 15484 5
70753 [LOL] 시즌의 1/3이 끝난, LCK 현시점 순위와 팀별 짧은 이야기 [102] Leeka20395 21/01/31 20395 2
70752 [LOL] 또 트할과 사건이 터진 구마유시 [254] Leeka27995 21/01/31 27995 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