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2/30 20:28:34
Name 공항아저씨
Subject [LOL] CK 참여중인 아마추어(전프로) 팀의 한계는?
LOL에서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팀게임과 솔랭은 천지차이다.]

그만큼 팀게임에서 필요한 운영능력이나 조합, 한타설계에 관한 노하우가 프로씬에서는 중요하다는 의미일텐데요

요즘들어 아프리카TV에서 '무슨 무슨 CK' 라는 이름으로 전프로를 포함하여 많은 천상계 유저들이 모여서 스크림, 대회를 하고있습니다.

이들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가 어디까지일까요?

밥먹고 내내 팀게임을 하고 있는 LCK 프로들의 단계에 도달 할 수 있다 / 재능이나 실력상승에 필요한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

의견이 궁금하네요. 의견을 물어보긴 했지만 왠지 싱겁게 의견이 통일 될 것 같기도 하구요.

먼저 말해보자면

저는 못할건 없다. 가능은 하나 LCK 상위권에 들기는 사실상 어렵다.

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도 CK가 있어서 비시즌이 행복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달달합니다
20/12/30 20:32
수정 아이콘
챌코도 못갈거같은데요....
달달합니다
20/12/30 20:37
수정 아이콘
참고로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lck선출로 이뤄진 서라벌게이밍이 작년에 챌코 본선도 아니고 예선에서 광탈했습니다..
20/12/30 20:41
수정 아이콘
그담에 시드권인수하고 참가해서 정규리그 1등하고 승격전까지 올라갓는데 그건 모르시나요?
달달합니다
20/12/30 20:45
수정 아이콘
카카오 합류하고 팀이 아예 새로만들어졌는데 그거랑 같나요?
모찌피치모찌피치
20/12/30 20: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승강전에서 전 시즌 9위 팀에게 0:3으로 떨어졌죠. 딱 그 정도 수준이지 않을까 싶네요.
20/12/30 20:49
수정 아이콘
딱 챌코 상위권이 한계겠죠
공항아저씨
20/12/30 20:45
수정 아이콘
저는 재능의 차이는 진짜 엄청난 선수들 제외하고 그냥 운영능력의 차이(코치진 + 인게임판단력)로 게임승패가 난다고 생각하고 있는편이에요.
아마추어와 프로의 피지컬차이는 생각보다 간격이 크지않다고 생각합니다. 챌코도 못갈것같은 이유도 알려주시면 참고가 될 것 같아요.
20/12/30 20:54
수정 아이콘
순수 쌩 아마추어 출신 BJ 팀이면 절대 챌코가기 힘들고(이미 잘하는 인재는 아카데미에서 쓸어감)
전프로출신BJ까지 끼면 당장 lck저번시즌까지 활약 하던 선수가 많아서 최소챌코상위권~LCK하위권 가능합니다
TranceDJ
20/12/30 20:55
수정 아이콘
CK랑 GGC는 좀 구분할 필요는 있을것 같고요. CK는 근데 거의 브실골플다 BJ들끼리 하는경우가 많고 천상계는 GGC쪽에 지금 집중포화되어 있죠. GGC쪽 말하시는거면 저는 이론적으로는 다 알지만 급변하는 상황에 다 대처해야하고 긴 리그 일정 진행하는게 저는 오히려 더 중요하다고 보네요. LCK 진출까지는 안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프로랑 아마추어 피지컬 차이가 없다 이것도 옛말인게 지금 BJ로 자리잡은 천상계 유저들 제외하고 왠만한 재능러들은 아카데미나 연습생으로 콜업되다보니.. 이제는 좀 간극이 있다고 봅니다.
다만, GGC같이 천상계 유저들 + 은퇴한 전 프로들은 LCK 진출 능력까지는 되도 그 긴 여정을 소화하기가 쉽지 않다는거죠.
곰그릇
20/12/30 20: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윗분 말대로 순수 아마추어 팀이면 챌코 아카데미 수준도 안 되고
전프로를 끼면 (특히 은퇴한 지 얼마 안된 정예 멤버들로) 챌코 상위권 ~ LCK 최하위권은 가능하겠죠
물론 CK처럼 단기간에 잠깐 호흡 맞추는 거 말고 장기적으로 '프로시절처럼' 열심히 연습한다는 전제 하에서

별개로 서라벌은 카카오빨이 크다고 봅니다
티맥타임
20/12/31 05:02
수정 아이콘
저도 ggc선수들중에 그나마 lck에서 경쟁력있는 선수 카카오가 유일하다고 생각해요
공항아저씨
20/12/30 21:03
수정 아이콘
씨맥 피드백 보는 재미가있네요..
TranceDJ
20/12/30 21:04
수정 아이콘
미필특공대상대로 압승..
자몽맛쌈무
20/12/30 21:59
수정 아이콘
피드백지리네요 진짜 엄청 세세하고 귀에 쏙쏙박힘
불대가리
20/12/30 23:07
수정 아이콘
어디서볼수있나요?
공항아저씨
20/12/31 08:3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저라댓 팀 아무나 들어가서 보시면 됩니다 미키방송 보시면 미키한테 피드백하는 씨맥 목소리 들을수있을거에요.
버거킹맘터
20/12/30 21:04
수정 아이콘
전프로들 그리고 천상계유저들 대부분은 lck팀에서 불러주지 않아 은퇴 또는 프로를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솔랭에서 날라다니는 챌린저 괴물들도 갓 데뷔해서는 헤메는게 흔한데 프로팀을 너무 우숩게 보는게 아닌가 합니다
20/12/30 21:23
수정 아이콘
쿠잔 구거같은 선수들은 바로 몇개월전에 lck뛰던선수들인데 챌코상위권은 된다봐야죠 단지 터질포텐이 없어서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매력이 없는거라
올해는다르다
20/12/30 21:24
수정 아이콘
그동안 챌코, 승강전 사례를 보면 전프로팀정도면 LCK 9등 내외가 한계라고 봅니다.
양 웬리
20/12/30 21:49
수정 아이콘
이안 선수는 미필특공대나 수틀리면샷건팀은 lck 최하위급(지난 시즌 설해원)보단 확실히 더 낫다 하더군요
다시마두장
20/12/30 21:56
수정 아이콘
요즘같아선 웬만큼 클래스 있는 전프로들이 워낙 많다보니 저도 챌린저스까지는 도달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애초에 싹수가 푸릇푸릇한 선수들은 LCK 팀들이 쓸어갔다보니 최근 하부리그엔 엄청난 재능이 있진 않았거든요.

근데 이 또한 스펙트럼이 너무 넓다보니 뭐라 단정하기도 어렵긴 합니다.
당장 미드에 폰 세우는거랑 천상계 솔랭 유저 세우는거랑은 천지차이일테니까요.
TranceDJ
20/12/30 22:03
수정 아이콘
흠. 진에어 시니어즈(진에어 5인, 소환포함) 스크림 연패중인데 그렇게까지 천상계 솔랭유저 낮춰서 볼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0/12/30 22: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짜 택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프로씬을 물로 보는게 아닌가 싶네요 진짜 냉정히 말해서 나이많은 선수, 리그에서 10연패 박고 강등당하던 선수, 선택 받지 못해 외부 리그에서 고생하다 온 선수, 2부에서도 밀린 선수, 은퇴한지 한참 된 선수가 주축입니다 지금 드록바 에투 네스타 존테리 샤비 세도르프 이런 선수 팀 모아서 EPL 뛰면 몇등할까요 이거 물어보는거랑 똑같다고 생각해요 심지어 선수시절 클라스 차이 생각하면 축구 올스타가 더 아깝죠 무엇보다 프로씬에서 한경기 준비하려고 하루종일 합맞추고 연습하는거랑 그냥 아마추어 대회에서 상금 헌팅하면서 편하게 맞춰보는거랑 동격으로 보는거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봐요
스타도 그렇고 아재 아마추어 팬들이 이런거 좀 뽕 껴서 보는 경향이 강한거 같아요 와고에서도 이런 비슷한 얘기 자주 봤는데
비오는풍경
20/12/30 22:42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하겠습니다
어림 반푼 어치도 없습니다
애초에 경쟁에서 밀린 사람들입니다
20/12/30 23:16
수정 아이콘
서라벌이 챌코 우승하고 나름 lck 승강전 최종까지 갔던거 생각하면 그렇게까지 차이는 안나보이는데요..
20/12/31 00:23
수정 아이콘
승강전 최종까지 갔단 얘기는 10~11위 정도 한다는 얘기지만 승강전 최종에서 붙은 샌박한테 삼대떡을 당했습니다. 심지어 전 라인 차이나면서 압도적으로 털어먹었습니다. 등수만 10위, 11위지 부등호로 나타내면 기본적으로 > 3개는 있어야 합니다. 차이 엄청 심해요.
달달합니다
20/12/31 12:10
수정 아이콘
거기까지 간것도 리라 나가고 카카오 합류해서 카카오빨로 올라간겁니다
프라이드랜드21
20/12/30 23:29
수정 아이콘
챌린저스는 신인 유입이 끊긴 고인물이었으니 어떻게든 챌코-lck 승강전 사이 어딘가를 비벼볼만했을지도 모르는데요

이제 열리는 2군리그는 챌코 약화의 원흉?들인 각팀의 아카데미가 정규 코치진의 지원을 받고 튀어나올 예정이라 그 틈바구니에 껴들어갈 일도 없겠지만 끼워준다쳐도 전프로 천상계팀이 하위권을 전전할거라고 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20/12/30 23:37
수정 아이콘
오늘 노페가 한마디 했죠.
'나온지 1년된 챔프는 10대가 할 수 있고, 2년된 챔프는 20대가 할 수 있는거 같아. 신지드는 7년 되었으니까 70대도할 수..?'
그만큼 10대와 20대의 피지컬은 생각보다 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속도에서도 큰 차이가 납니다. 최근 롤챔스 우승자 연령이 25살 언더인걸 보면 확연히 드러나죠.

끊임없이 신챔프가 나오고 빠르게 메타가 변화하는 롤의 특성상 나이가 찰만큼 찬 전 프로선수들의 한계는 명확하다고 봅니다.
퀴도르
20/12/31 00:24
수정 아이콘
LCK는 어림도 없다고 봅니다
엘제나로
20/12/31 01:14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 보면 수틀리면샷건팀이 평가가 좋나보네요?
수틀리면 샷건팀 정글 미드가 LJL 중위권팀에 입단했으니
LJL 중위권팀이 LCK오면 통할까요? 하고 비슷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Hudson.15
20/12/31 06:51
수정 아이콘
중위권급이었으면 이미 직장을 찾았겠죠
시간이지나면
20/12/31 07:48
수정 아이콘
애초에 경쟁력이 있었다면 현재 팀에 남아있거나 팀에 포함되어 있겠죠.
결국 대부분이 경쟁에 밀려서 은퇴하거나 한거니까요. 그 사람들이 다시 뭉친다고 하더라도 좋은 결과는 나오기 어렵다고 봅니다. 앞으로는 더 차이 날테구요
공항아저씨
20/12/31 07:50
수정 아이콘
흐음.. 저라뎃 팀이 5승4패다가 씨맥 감독 합류 이후 11승 2패여서 저는 피드백의 힘이 꽤 크다고 생각하거든요. 모든 선수가 같은 코치 아래서 코칭받은게 아니니.. 저는 이런 경우를 생각했는데 제 생각과는 의견들이 많이 다르네요. 제 생각이 정답은 아니니 그런가보다 하고 생각중입니다
20/12/31 08:23
수정 아이콘
기적같은일이 일어나서 쿠타이거스 같은 퇴물들끼리 각성하는 팀이 있을순있겠죠 크크크 결국 사람이 하는 게임인데. 다만 대부분이 높아야 2군리그 상위권 수준일 겁니다. 선수들 중 일부는 우승 못할바에 은퇴한다는 마인드로 은퇴한 사람들이 꽤 있을것 같거든요
20/12/31 14:45
수정 아이콘
각성팀이 나올수도 있는데 평균적으로보면 안될거에요
20/12/31 17:13
수정 아이콘
E스포츠 인걸요.
솔랭, 방송 등 접근성이 좋아서 만만해보이는거지 프로는 이유가 있습니다.

폰 같은 선수가 갑자기 트라우마 극복하면 가능성은 있겠네요
20/12/31 19: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냉정하게 보면 저 팀들이 LCK에서 통할 실력이 되었다면 프로를 하고있지 방송을 하고있지는 않을겁니다

전프로는 결국 기량이 떨어지건 몸이 안좋건 대부분 프로레벨에서 통할 실력이 아니게 되서 은퇴한거죠.
오사십오
21/01/02 03:15
수정 아이콘
챌코 최하위, 2020년에 최소 1부리그 중위권에있던 은퇴3개월미만 5명이 뭉쳐야 챌코권이고 1년합숙하면 챌코 중위권쯤될거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588 [LOL] 솔랭도르는 대회와 관계없을까!? 왜냐맨의 LCK 예측 [32] 왜냐맨16317 21/01/09 16317 27
70587 [콘솔] 플스4 황혼기에 써보는 플스4 게임 간단평 [51] 비공개12540 21/01/09 12540 1
70586 [LOL] 국대대표 선발 방식에 대한 이야기 [125] gardhi15805 21/01/09 15805 3
70585 [하스스톤] 19.2.1 패치노트 [30] BitSae12051 21/01/09 12051 1
70584 [콘솔] 2020 크리스마스 글로벌 하드웨어 판매량 [13] 아케이드12686 21/01/09 12686 0
70583 [LOL] 롤 2021 시즌 시네마틱 영상 [27] 반니스텔루이11962 21/01/09 11962 0
70582 [LOL] 아프리카 GGC 담 온 게이밍 우승 ! 2천만원 획득! [20] 공항아저씨14999 21/01/09 14999 2
70581 [콘솔] [스위치] 몬헌 라이즈 체험판이 배포중입니다 [15] Cand10360 21/01/09 10360 1
70580 [PC] [블랙 서바이벌:영원회귀] 실험체 평가 [8] 아보카도피자10448 21/01/08 10448 2
70579 [모바일] 한국 페이트그랜드오더가 지금 불타는 이유 [77] 원장14119 21/01/08 14119 2
70578 [PC] [POE] 새 확장팩 "아틀라스의 메아리" 공개 [49] 어강됴리11423 21/01/08 11423 6
70577 [LOL] lpl 한국인 용병 시장의 변화 살펴보기 [12] gardhi15244 21/01/08 15244 1
70576 [기타] [섀도우버스] ETA 시즌 초 로테이션 메타 분석 [10] SilentSlayer10569 21/01/07 10569 5
70575 [기타] [싸펑] 약 스포, 재미는 있는데 할수록 화가나는 게임 [17] 겨울삼각형15426 21/01/07 15426 0
70574 [LOL] "중국이 중국했다 " 라이엇, 2021 시즌 Teaser 영상 공개 [65] 아롱이다롱이20225 21/01/07 20225 4
70572 [기타] 이번 카트리그 예선서 여러 논란이 있었네요. [14] Broccoli13712 21/01/07 13712 0
70571 [LOL] 자낳대 D-DAY 예선전 예상해봐요~ [35] 처음이란11131 21/01/07 11131 3
70570 [LOL] (뻘글주의) 153 챔피언으로 노말 1승씩 챙기기(153승)에 성공했습니다. [20] bifrost10298 21/01/06 10298 22
70569 [LOL] 스프링 우승 예상 감독 만장일치 담원이네요 [65] 따라큐19367 21/01/06 19367 4
70568 [LOL] 2021 LCK 스프링 세부사항 정리 [37] 아롱이다롱이14661 21/01/06 14661 0
70567 [LOL] 6년 12번의 스프릿 그리고 단 한번의 [33] 공항아저씨10534 21/01/06 10534 2
70566 [LOL] 대한미국놈 LCK 해외해설진 합류 [21] 공항아저씨12679 21/01/06 12679 0
70565 [LOL] 변경된 플옵 방법의 4가지 장점. [78] 아우어케이팝_Chris18745 21/01/05 18745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