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2/30 12:52:58
Name 1등급 저지방 우유
File #1 1.PNG (1001.7 KB), Download : 50
Subject [LOL] 비시즌에 이것저것... (수정됨)


비 시즌이라 이런저런 얘기를 해봅니다.
리그가 진행중이라면 겜게도 나름 활발할텐데 시즌 오프다 보니 그런듯하기도 하고...


1. 시즌 종료 후에 솔랭을 한 참 안돌리다가 약 한달여만에 다시금 돌렸었네요.
바뀐 아이템에 낯설어서 멀리 했었거든요.
그런데 왠걸 그냥저냥 봇전부터 몇 번하다보니 편하긴 하더라구요
심해유저라 나름 이것저것 천상계들도 안쓰는 나만의 빌드를 만들어보자...라고 이전 시즌까지 그리 생각했다면
이제는 그런건 때려치우고 걍 op.gg같은거 보고 추천템, 추천빌드나 쓰지 뭐 이런생각이었거든요
이번에 바뀐 시스템으로 인해서 걍 추천템만 올리고 있습니다.
전에 앰비션 방송에서 봤던 블리츠를 나도 한 번 써볼까..라고 생각했던 시기도 있었는데, 뭐 그것까지 갈 필요가 없을지도요.

2. 비시즌이라 인방 플랫폼에서도 나름의 컨텐츠를 구성해서 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tv 기준으로는
와꾸대장봉준bj가 얼마전 무드컵이라는 꽤나 큰 리그를 열었고(이전년도까지는 스타1을 발판으로 MPL을 열었)
이번엔 감스트bj가 천상계 기준으로 비슷한 리그를 열었습니다. 참가선수들 대부분이 전프로..
자세한 내용은 자몽맛쌈무님이 작성한 글이 있으니 패스
그리고 트위치tv에서도 자낳대 비슷한걸 열더라구요.(트위치는 리그 보는거랑 슼 갠방외엔 거의 안보는 수준이라 몰라서 패스)
무튼 저런걸 보면 저같은 솔랭유저도 때론 팀겜에 대한 갈망이 커지기도 한답니다
저도 팀겜을 즐길수 있는 커뮤니티에 속해있긴하지만, 저런 대회들은 더더욱 그런 욕구를 자극시키기도 하지요.
2-1. 아프리카tv에서 활약중인 해설(분석)인 클템, 빛돌은...
뇌지컬은 충분한데 피지컬은 어린 bj들에게 많이 밀리긴 하더라구요.
그럼에도 어린 친구들하고 잘 어울리면서 지내는 모습을 보니 좋아보이긴 했습니다.

3. 이번 년도에 많은 선수들이 은퇴를 선언했는데요.
갠적으로는 저번 롤드컵에서 객원해설을 한 몇몇 선수들은 분석데스크에 합류해도 좋은 모습을 보일 것 같아요
마침 리라는 코치진, 와디드는 해외리그로 이탈했으니까요.
심지어 얼마전에 본 폰의 근황에 대한 걸 보면 그도 분석데스크 합류는 미지수로 보이기도 하구요.
롤드컵 객원해설을 했던 고릴라나 구거 정도가 제 기준에선 괜찮아 보이구요.
이번에 kespa컵 진행하면서 나오는 포니 및 고수진 해설은 2부리그도 중계가 된다면 거기 해설진으로 합류해도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4. 해외에서 보내다가 이번에 다시 합류했지만 대중(?)으로 부터 다소 좋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는 선수들이 몇몇 있죠?
되려 저는 그 선수들이 다시금 고점을 보여주며 활활 불태웠으면 좋겠다...라고 생각이 듭니다.
아프리카의 뱅, KT의 블랭크, 담원의 칸...정도가 되겠네요(피넛은 잘했었으니 패스~)
관심가는 팀이 있다면 KT의 상체라고 할까요? 도란-블랭크-유칼...이 3인방이 만약 스프링 시즌 1군에 등록되어 고점을 보인다면...

+짤은 명예5레벨 기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타급센스
20/12/30 13:26
수정 아이콘
클템은 ck중독수준이죠
20/12/30 20:16
수정 아이콘
워낙 솔랭 톡식함에 질려서
유튜브 땜시 억지로 하는 티 팍팍 내는게
보기 힘들었는데
요즘 클템 행복해보여요 크크
20/12/30 15:25
수정 아이콘
클템은 잘하는거 하면 딱히 요즘 잘한다는 친구들한테도 안밀리던데..거기에 오더는 천상계구요. 물론 프로급이랑은 안되겠지만서도
20/12/30 15:30
수정 아이콘
클템 팀이 오히려 되게 클린하고 재밌습니다.
쌍욕도 잘 안나오고 한번씩 못 할 때마다 읔엨 올라오는 재미도 쏠쏠하고 크크
프로미스나인
20/12/30 16:17
수정 아이콘
딱히 생각해 본 적이 없었어서 그런지 스타1의 김윤환 선수가 클템보다 한참 전에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하여 지도자까지 했는데 클템보다 나이가 어리다는 게 새삼 신기했습니다. 거기에 광대 포지션+실력의 차이까지 더해져 클템이 김윤환선수를 휘어잡아 디코 듣는 재미가 좋았습니다. 김윤환 선수의 롤 경기를 볼때마다 뭔가 부족한 흐름읽기에 아쉬웠는데, 클템의 오더와 완급조절과 함께 재밌게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624 [LOL] LCK 각 팀에서 가장 많은 경기수를 기록한 선수들 [14] Leeka11328 21/01/13 11328 2
70623 [LOL] 크라운샷과 네메시스가 한국에 옵니다. [11] Rated12598 21/01/13 12598 0
70621 [LOL] 11.2 패치 프리뷰 [20] BitSae12045 21/01/13 12045 0
70619 [LOL] LCK 개막을 앞두고 여러가지 이야기 [27] Leeka13176 21/01/13 13176 1
70618 [LOL] 현질하고 나니 현타오네요 크크크 [29] 파란무테12679 21/01/13 12679 7
70616 [LOL] 중국의 맛 속칭 중뽕의 시작을 알렸던 스피릿 [16] Rated13956 21/01/12 13956 1
70615 [LOL] 현역선수중 롤드컵 우승보고 싶은 선수 한명은 ? [79] -Aka12390 21/01/12 12390 0
70614 [LOL] T1 양대인 감독 입장문 발표 [292] 아롱이다롱이25389 21/01/12 25389 2
70613 [LOL] 챔피언 리메이크 투표가 진행중입니다. [67] 고통빈12985 21/01/12 12985 1
70612 [LOL] 시즌 개막 전부터 활활 불타고 있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311] 하얀마녀23829 21/01/12 23829 1
70610 [LOL] 캐니언 선수 역대급인거..죠..? [84] 공항아저씨18953 21/01/12 18953 3
70609 [LOL] LCS 리그 포맷 대격변 [27] ELESIS17480 21/01/12 17480 2
70604 [LOL] LCK 스프링 중계 스트리밍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20] Leeka18009 21/01/11 18009 1
70603 [LOL] 래퍼드 "올해는 스트리머로 활동할 것 같다" [83] 공항아저씨20031 21/01/11 20031 2
70598 [LOL] 2021 LCK에 대해 알아보자 [15] roqur14986 21/01/10 14986 2
70594 [LOL] LPL 플레이오프 포맷 변경 [116] ELESIS18420 21/01/10 18420 1
70593 [LOL] 비에고 버그 근황 [24] 스위치 메이커17090 21/01/10 17090 1
70592 [LOL] [LOL분토론] 1부 2부 3부 [7] 카루오스12155 21/01/10 12155 9
70588 [LOL] 솔랭도르는 대회와 관계없을까!? 왜냐맨의 LCK 예측 [32] 왜냐맨17346 21/01/09 17346 27
70586 [LOL] 국대대표 선발 방식에 대한 이야기 [125] gardhi17228 21/01/09 17228 3
70583 [LOL] 롤 2021 시즌 시네마틱 영상 [27] 반니스텔루이12850 21/01/09 12850 0
70582 [LOL] 아프리카 GGC 담 온 게이밍 우승 ! 2천만원 획득! [20] 공항아저씨15940 21/01/09 15940 2
70577 [LOL] lpl 한국인 용병 시장의 변화 살펴보기 [12] gardhi16373 21/01/08 1637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