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11/02 00:18:17
Name Hestia
Subject [LOL] 2012-2020 역대 롤드컵 우승팀 시즌 전적



*라이엇 공식 대회로 해당 시즌 기준




[2012] Taipei Assassins

GPL 2012 Season 1  우승 (41승 3패 93.2%)
Season 2 Regional Finals - Taipei  (2승)
Season 2 World Championship  우승 (7승 2패 77.8%)

55전 50승 5패 90.9%



[2013] SK Telecom T1 K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Qualifiers  (2승)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3위 (14승 6패 70%)
HOT6iX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15승 3패 83.3%)
Season 3 World Championship/Qualifiers  (3승 1패)
Season 3 World Championship  우승 (15승 3패 83.3%)

62전 49승 13패 79.0%



[2014] Samsung Galaxy White

PANDORA.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준우승 (11승 5패 68.8%)
HOT6iX Champions Spring 2014  3위 (13승 6패 68.4%)
HOT6iX Champions Summer 2014  3위 (12승 5패 70.6%)
2014 World Championship/Qualifiers  (3승)
2014 World Championship  우승 (15승 2패 88.2%)

72전 54승 18패 75.0%



[2015] SK Telecom T1

Champions 2015 Spring Pre-season  1위 (9승 1패 90%)
SBENU Champions Spring 2015  우승 (29승 11패 72.5%)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10승 5패 66.7%)
SBENU Champions Summer 2015  우승 (38승 6패 86.4%)
2015 World Championship  우승 (15승 1패 93.8%)

125전 101승 24패 80.8%



[2016] SK Telecom T1

꼬깔콘 LCK 2016 Spring  우승 (35승 17패 67.3%)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12승 5패 70.6%)
코카콜라 제로 LCK 2016 Summer  3위 (30승 16패 65.2%)
2016 World Championship  우승 (14승 6패 70%)

135전 91승 44패 67.4%



[2017] Samsung Galaxy

2017 LCK Spring Season  3위 (30승 15패 66.7%)
2017 LCK Summer Season  4위 (29승 18패 61.7%)
Rift Rivals 2017 LCK-LPL-LMS  준우승 (2승 1패)
2017 World Championship/Korea Regional Finals  (6승 2패)
2017 World Championship  우승 (13승 3패 81.3%)

119전 80승 39패 67.2%



[2018] Invictus Gaming

2018 LPL Spring Season  4위 (40승 11패 78.4%)
2018 LPL Summer Season  준우승 (42승 17패 71.2%)
Rift Rivals 2018 LCK-LPL-LMS  우승 (2승 1패)
2018 World Championship  우승 (14승 4패 77.8%)

131전 98승 33패 74.8%



[2019] Funplus Pheonix

2019 LPL Spring Season  3위 (33승 14패 70.2%)
2019 LPL Summer Season  우승 (35승 6패 85.4%)
Rift Rivals 2019 LCK-LPL-LMS  준우승 (3승 1패)
2019 World Championship  우승 (14승 4패 77.8%)

110전 85승 25패 77.3%



[2020] Damwon Gaming

2020 우리은행 LCK Spring Split  4위 (26승 25패 51.0%)
2020 Mid-Season Cup  (1승 2패 33.3%)
2020 우리은행 LCK Summer Split  우승 (37승 5패 88.1%)
2020 World Championship  우승 (14승 3패 82.4%)

113전 78승 35패 69.0%






*담원이 올해 세운 기록
-리그제 개편 이후 역대 LCK 최고승률(세트 기준) 우승 (2020 LCK 서머, 88.1%)
-롤드컵 역대 우승팀 승률 4위 (2020 롤드컵, 82.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1/02 00:21
수정 아이콘
한 해를 마무리 짓는거라서 스프링이 들어가긴 하지만 스프링의 성적이 유의미하진 않네요
유의미했던건 압도적이었던 그팀뿐..
20/11/02 00:2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스프링에서도 자국리그 4위가 커트라인이긴 한듯... 전부 4위안에는 들어갔네요 크크
박수영
20/11/02 00:38
수정 아이콘
125전 101승 24패 80.8%

이게 진짜 말이 되는 승률인가...다시 봐도 미친게 분명한데
쿼터파운더치즈
20/11/02 00:45
수정 아이콘
전 프리시즌 데이터는 빠져야 한다고 보고..저게 들어가면 케스파컵이나 중간중간 사이드 리그들도 들어가야 할 거 같아요 롤마스터즈 등등
아무튼 이런 세부기록 데이터 모아서 보는건 참 좋네요
20/11/02 00: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라이엇 공식대회 기준입니다. 15 프리시즌 데이터가 빠지면 115전 92승 23패 80%네요.

https://news.zum.com/articles/18008005
라이엇게임즈는 '2015 LoL 챔피언스 코리아' 프리시즌(시범경기)을 12월 3일부터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프리시즌도 시즌5 패치로 진행됐고, 온겜 자체적으로 한게 아닌 라이엇 주관으로 한 15 스프링 내에 속한 경기라 포함했습니다. 케스파컵, 롤마스터즈, IEM, 데마시아컵 등등은 라이엇 주관이 아니라 제외.
쿼터파운더치즈
20/11/02 00:50
수정 아이콘
MSI만 우승했으면 진짜 레전드 오브 레전드였긴 하겠네요
물론 그거 아니어도 승률이나 포스가 말그대로 역대급 미친 수준이지만
티모대위
20/11/02 01:06
수정 아이콘
17삼성의 1년 세트승률이 꽤나 괜찮았네요? 선발전-롤드컵의 승률이 워낙 좋아서 글킨하지만
퍼리새
20/11/02 01:09
수정 아이콘
후반주차까지 정규 1위경쟁이었나 2위경쟁이었나 할 정도로 리그 상위권 팀이었죠... 상위권 승수차도 빼곡해서 한번 미끄러지니 훅 내려갔지만
20/11/02 02:46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만 보면 스프링 2패차 2위, 썸머는 1패차 3위로 되게 촘촘 했어요. 그 놈의 플옵 5전제만 가면 져버려서 시즌을 3위, 4위로 마무리했구요. 하지만 선발전에만 가면...!
대학생이잘못하면
20/11/02 07:42
수정 아이콘
17삼성이 정규시즌때는 셌어요. 플옵에서 문자 그대로 전패를 해버려서 그렇지
기사왕
20/11/02 01:36
수정 아이콘
TPA 90퍼대 승률도 이야...
20/11/02 08:10
수정 아이콘
대만에 경쟁팀이 너무 적은것도 있겠죠
겨울삼각형
20/11/02 14:28
수정 아이콘
저러는 와중에 나겜에 나와서 [녹턴발싸]
같은 절름발이 같은 모습만 보여주면서 전패했죠.

그래서 롤드컵에 한국에선 X밥으로 봤는데..

갑자기..
20/11/02 01:39
수정 아이콘
15 sk 는 전승 우승 할 수 있었는데 딱 한판 지지 않았나요 ..완전 불리하게 시작햇는데 그것도 한번 역전할뻔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블리츠크랭크
20/11/02 01:44
수정 아이콘
결승전에서 그랬죠. 인베에서 터졌는데 따라갔다가 스맵의 피오라한테 사이드 털리면서 졌죠
예니치카
20/11/02 01:57
수정 아이콘
결승 3경기였죠. 초반에 쿠 타이거즈가 다 터뜨려서 1만 골드 차에 바론까지 내줬는데 갑자기 SKT가 앞뒤 맥락도 없이 미친듯이 한타 이기기 시작하니까 클템이 분통을 터뜨렸던.....
박수영
20/11/02 02:19
수정 아이콘
진짜 뒤집히나? 하는 순간 스맵이 결국 사이드를 다시 한번 뚫어내면서
예니치카
20/11/02 02:28
수정 아이콘
진짜 거기서 스맵이 2:1 슈퍼플레이 안 했으면....
StayAway
20/11/02 02:16
수정 아이콘
저렇게 강했던 TPA가 나겜에서는 왜 녹턴 발사를..
20/11/02 09:55
수정 아이콘
MSC는 공식전으로 보기 애매해서 빼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20/11/02 10:19
수정 아이콘
라이엇이 주관한 공식대회는 맞습니다.
20/11/02 1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엄밀하게 따지면 공식대회는 맞는데 대회 성격 자체가 애매하다는 얘기를 한겁니다. 리라도 마찬가지긴 하겠네요.
20/11/02 10:27
수정 아이콘
네 뭐 딱 3개 메이저대회(지역리그, MSI, 롤드컵)만 추리는게 좋을수도 있지만 라이엇 주관 타이틀로 정하는게 논란의 여지가 제일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20/11/02 10:28
수정 아이콘
저는 그 3개만 딱 추리는게 오염이 가장 적다고 생각합니다. 리라나 MSC는 오염된다고 봐서요.
문도석사
20/11/02 10: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12TPA가 역체팀 아닙니까? 크크크

보통 역체팀 15슼, 롤드컵역체팀을 14삼화/15슼으로 보는데
근래 18RNG,19G2,20TES가 받던 기대치와 설레발을 고려하면,
리그우승에 중간국제대회우승이 더해지면 가산점을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현시점에 역대 롤드컵 우승팀의 1년 성적을 재현하는 팀이 있다면
16SKT처럼 MSI,롤드컵을 모두 석권한 팀이 역체팀이라는 소리도 나올 것 같네요.
샤한샤
20/11/02 10:31
수정 아이콘
13-15 티원의 영광 잊지 않겠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032 [LOL] 다음 중 전성기 기량에 비해 성적이 가장 아쉬웠던 사례는? [151] GiveLove24081 21/03/12 24081 3
71031 [LOL] 210311 bro : dk, af : hle 후기. [32] patio12745 21/03/12 12745 2
71027 [LOL] T1 프런트진은 하는게 뭘까요..? [72] 조휴일20314 21/03/11 20314 11
71022 [LOL] ??"야스오 서폿 해보고 싶다." [22] roqur18344 21/03/10 18344 1
71021 [LOL] 11.6 패치 예정안 전체 내용 공개 [44] 레이오네15535 21/03/10 15535 0
71014 [LOL] LPL, 현 시점에서의 웨이보 인기투표 라인별 1~3위 [33] Leeka17412 21/03/09 17412 1
71013 [LOL] 경기도 없어 심심한데 롤드컵 수상팀들로 순위권 팀 꾸려보기 [25] Dunn13259 21/03/09 13259 0
71012 [LOL] 비에고 등장 이후 심각해진, 롤의 온갖 버그들 [50] 크림커피18248 21/03/09 18248 0
71011 [LOL] 21년 1월 8일 이후 생성된 프로 계정이 모두 비활성화 됩니다. [18] Leeka13128 21/03/09 13128 0
71010 [LOL] 11.6 패치 프리뷰 예고 및 기타 이야기 [13] BitSae11035 21/03/09 11035 0
71007 [LOL] 3월 8일자 클템 포니의 찍어직어 일부 정리 [70] roqur20784 21/03/08 20784 5
71006 [LOL] lpl 스프링 중반기 종료, 주관적인 상위권 평가 [64] gardhi18768 21/03/08 18768 13
71005 [LOL] 신생 미드라이너의 메이지 숙련도에 관해. [106] LacusClyne23666 21/03/08 23666 18
71004 [LOL] 환하게 웃은 비디디 - 웃픈 밴픽과 함께 끝난 젠지의 복수극 [259] Leeka24787 21/03/07 24787 3
71003 [LOL] 2021 Spring T1 선수 기용 현황판 v8 [30] 우스타18044 21/03/07 18044 2
71002 [LOL] DRX VS BRO 시청후기 [26] 원장17019 21/03/07 17019 1
70999 [LOL] 현 LCK 팀들의 LCK 커리어 표로 살펴보기 [13] Leeka13467 21/03/07 13467 0
70998 [LOL] 마지막 찬스는 우리꺼! 6등 막차 플옵권 싸움. [57] 원장14034 21/03/07 14034 2
70996 [LOL] 한화 vs 젠지 경기.. 당일에 다시 보는 쵸오오오비 활약상 [63] Leeka14834 21/03/07 14834 3
70995 [LOL] 몰락한 명가의 봄 [77] Arcturus18408 21/03/07 18408 25
70993 [LOL] 양대인 감독 인터뷰에 대한 몇가지 의문점. [183] 월광의밤30258 21/03/07 30258 7
70991 [LOL] 버프된 케이틀린! 떡상가나요? [29] TAEYEON13197 21/03/07 13197 0
70990 [LOL] T1 양대인 감독의 인터뷰 [362] 라면30211 21/03/06 3021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